View : 1074 Download: 0

여자 대학생의 물질주의 가치추구와 숙달목표의 변화양상

Title
여자 대학생의 물질주의 가치추구와 숙달목표의 변화양상
Other Titles
Change in Pursuit of Materialistic Value and Mastery Goal in Female College Students: Their Level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ulfillment with Relations to Psychological Adjustment
Authors
박선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This research longitudinally examined the change in the pursuit of materialistic value and mastery goal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where materialistic value is important. One especially chose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early adulthood who are more than 18 years old as they are vulnerable to materialism and experience relatively more difficulty in employment after graduation. Also, on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college years by employing persuasive reasoning and interpretable longitudinal data, and to provide a comprehensive explanation on the factors affecting such characteristic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adjustment. In order to do so, one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 in materialism and mastery goal variables based on a variable centered approach. Moreover, on a person centered approach, one examined the subgroups assuming that the longitudinal changes would qualitatively differ, rather than being identical. This is expected to provide a more sophisticated explanation about the motivational development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confirm the dynamic aspect of change between the two variables. Finally, to explain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influence of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fulfillment;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was examined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adjustment. Through this research, one aims to discuss the pursuit of materialistic value and mastery goal of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early adulthood and assert the importance of it while providing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data of 492 female college students in 7 universitie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 throughout the entire research process as the data was collected across a 6 month period consisting of 4 times of measurement in total. The participants were given self-report online surveys on materialism, mastery goal, basic psychological needs fulfillment, and other related variables on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result showed that first, the pursuit of materialistic values showed significant individual differences in its tendency to increase, and to change increasingly across time. On the other hand, mastery goal decreased across time and did not show individual differences. Materialistic value in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early adulthood grew to be more important throughout college years, showing increase in the pursuit of extrinsic values. However, pursuing mastery goal decreased, showing an overall decrease in intrinsic motivation across time. Second,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showed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early adulthood were divided into three latent classes; low self-enhancement intrinsic motivation type (C1), high self-enhancement extrinsic motivation type (C2), and middle-level motivation type (C3). Low self-enhancement intrinsic motivation type (C1) consisted of 64 female students, which is 13.1% of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and the least of the three groups. This group did not show change in pursuing materialism and mastery goal across time, and maintained the lowest level of materialistic value and the highest level of mastery goal out of the three groups. High self-enhancement extrinsic motivation type (C2) consisted of 152 female students, which is 17.3% of the total and the second largest of the three groups. This group showed change in both pursuits of materialism and mastery goal. Compared to other groups, this group showed the highest initial level of materialistic value and its constant growth, while the initial level of mastery goal was lowest and constantly decreased. Middle-level motivation type (C3) consisted of 271 female students and the largest of the three groups, consisting 55.6% of the total. This group’s initial level of materialism and mastery goal, along with the changes in materialism showed the closest resemblance with the latent growth analysis of the total, showing a gradual increase in the pursuit of materialistic value over time. Third, one examined the influence of sub 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fulfillment on the three latent classes of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which are low self-enhancement intrinsic motivation type (C1), high self-enhancement extrinsic motivation type (C2), and middle-level motivation type (C3) while verifying their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adjustment. As a result, the higher the fulfillment in autonomy need, the participant was more likely the low self-enhancement intrinsic motivation type (C1) than high self-enhancement extrinsic motivation type (C2), and more likely low self-enhancement intrinsic motivation type (C1) than middle-level motivation type (C3). In addition, the higher the fulfillment in relatedness need, the participant was more likely the middle-level motivation type (C3) than high self-enhancement extrinsic motivation type (C2). Their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adjustment variables showed that the high self-enhancement extrinsic motivation type (C2) showed the worst adjustment while the low self-enhancement intrinsic motivation type (C1) showed the best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middle-level motivation type (C3) maintained an average level of psychological adjustment. When examined longitudinally, anxiety level showed to gradually increase over time. This research examined the changes in materialistic value and mastery goal along with adaptive motivation types related to psychological adjustment in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early adulthood as they are part in a society where materialistic value is important and where women’s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activity is increasing. The overall result showed that high pursuit in materialistic value over time had the tendency to change alongside low pursuit in mastery goal and had negative influence in psychological adjustment. On the contrary, low pursuit in materialistic value changed alongside high pursuit in mastery goal and had positive influence in psychological adjustment. In a society where gender equality, women’s achievement and success are growing to be more important, it was confirmed that considering women’s pursuit in goals and values can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explanation of their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in the pursuit of materialistic value as it changed with its interaction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Also, the importance of fulfillment in autonomy and relatedness needs proved to have importance influence in the adaptive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early adulthood as participants who were high in autonomy and relatedness need fulfillment showed more adaptive motivational characteristics.;본 연구는 물질주의 가치가 중시되는 한국 사회에서 대학에 재학 중인 여자 대학생들의 물질주의 가치추구와 숙달목표의 변화를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물질주의에 취약하고 대학 졸업 후 취업에 있어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더 많이 경험하는 18세 이상 성인 초기 여자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설명력 있는 추론과 해석이 가능한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물질주의 가치와 숙달목표 간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대학 생활에서의 여자 대학생의 동기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런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변인 중심(variable-centered)방법에 근거하여 물질주의와 숙달목표 변인의 종단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인간 중심(person-centered)방법에 근거하여 물질주의와 숙달목표의 종단적 변화 특징들이 동일하게 나타나기보다 질적으로 다른 변화 유형들이 나타날 것이라 가정하고 하위 집단들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여자 대학생의 동기적 특성의 발달을 보다 정교하게 설명할 수 있으며, 두 변인의 변화양상의 역동적인 측면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런 집단들의 차이는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하위요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욕구의 영향을 검증하고, 심리적 적응 결과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 성인초기 여자 대학생의 물질주의 가치추구와 숙달목표에 관한 논의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 시작에서 완료시점까지 서울 및 수도권 7개 대학에 재학 중인 여자대학생 49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6개월 간 4차례의 측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들을 대상으로 물질주의, 숙달목표, 기본심리욕구 만족, 심리적 적응 관련 변인들에 대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변인 중심으로 살펴본 물질주의가치 추구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과 증가하는 변화에 있어 개인차가 유의했다. 반면 숙달목표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개인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여자 대학생들의 초기 성인기 시기 물질주의 가치는 대학 생활 중 점차 중요한 가치관으로 고려되어 외적 가치추구가 증가하였다. 반면 숙달목표의 추구는 줄어들어 시간에 따라 내재동기가 감소하는 전반적인 경향이 있었다. 둘째, 잠재계층 성장분석 결과 성인 초기 여자 대학생에게 낮은 자기향상 내재동기형(C1), 높은 자기향상 외재동기형(C2), 중간수준 동기형(C3)의 3개의 잠재계층이 확인되었다. 낮은 자기향상 내재동기형(C1)은 전체의 13.1%인 64명으로 구성되어 세 집단 중 가장 작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 집단은 시간에 따른 물질주의와 숙달목표추구의 변화가 없었고, 세 집단 중 물질주의 가치는 가장 낮은 수준, 숙달목표는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높은 자기향상 외재동기형(C2)은 152명이 포함되어 전체의 17.3%를 차지하였으며 세 집단 중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이었다. 이 집단에서는 물질주의와 숙달목표 추구가 모두 변화하는 특징이 있었다. 세 집단 중 물질주의 가치의 초기치가 가장 높은 수준임과 동시에 꾸준히 증가하는 변화가 나타났으며, 숙달목표의 초기치는 가장 낮은 수준에서 꾸준히 감소하는 변화가 확인되었다. 중간수준 동기형(C3)은 271명이 포함되어 세 집단 중 가장 많은 비율인 전체의 55.6%를 차지하였다. 이 집단은 세 집단 중 물질주의, 숙달목표의 초기치와 물질주의의 변화율이 전체 집단을 대상으로 한 잠재성장분석결과와 가장 가까운 수준이었으며, 물질주의 가치추구는 시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변화가 있었다. 셋째, 한국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나타난 낮은 자기향상 내재동기형(C1), 높은 자기향상 외재동기형(C2), 중간수준 동기형(C3)의 3개의 잠재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심리욕구 만족 하위요인의 영향을 살펴보고 잠재계층과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자율성 욕구 만족이 높을수록 높은 자기향상 외재동기형(C2)보다 낮은 자기향상 내재동기형(C1)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중간수준 동기형(C3)보다 낮은 자기향상 내재동기형(C1)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성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자기향상 외재동기형(C2)보다 중간수준 동기형(C3)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심리적 적응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가장 부적응경향을 보이는 것은 높은 자기향상 외재동기형(C2)이었으며, 가장 적응경향을 보이는 것은 낮은 자기향상 내재동기형(C1)이었다. 중간수준 동기형(C3)은 심리적 적응수준에서도 평균 정도를 유지하였고, 종단적으로 살펴본 결과 불안수준은 시간에 따라 점차 높아지는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물질주의 가치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여성의 학력, 경제활동이 늘어가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초기 성인기 여자 대학생을 중심으로 물질주의 가치와 학습동기의 변화를 살펴보고 심리적 적응과 관련이 있는 적응적인 동기유형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시간에 따른 높은 물질주의가치 추구는 낮은 숙달목표 추구와 함께 변화하는 특징이 있었으며 심리적 적응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와는 반대로 낮은 물질주의 가치추구는 높은 숙달목표 추구와 함께 변화하며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남녀평등의식과 여성의 성취, 성공이 중요해지는 한국사회 속에서 여성의 목표추구와 가치추구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동기적 특성을 보다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물질주의 가치추구는 낮은 내재동기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 중 자율성, 관계성 욕구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보다 적응적인 동기적 특성을 보이는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성인기 초기 20대 여자 대학생의 자율성, 관계성 욕구 만족이 여자 대학생의 적응적인 동기 특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