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9 Download: 0

An Analysis on Koreans’ Perception of Muslims

Title
An Analysis on Koreans’ Perception of Muslims
Authors
MAHA, RAIHAN ROZANA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민
Abstract
As in many other countries, the 9.11 attacks has brought the attention of the world to Islam. Immediately in a matter of a few months following the 9.11 attacks, there is climate in media by giving too much attention to Muslims and giving an exaggerated assessment that all Muslims are violent. The heat and hatred resulted from the 9.11 attacks decreased considerably, but the impact still continuing in the form of prejudice, negative stereotype and distancing, particularly in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too, the 9.11 attacks became a turning point in understanding Islam and Muslim in general. Prior to that period, Islam or Muslims existed far away from many Koreans’ reality. As Korea becomes more culturally diverse, the number of Muslims residing in Korea gradually increased and there is widespread interest in understanding the unique Muslim community in Korea. Academic research on this subject is also increasing.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proposes to fill a gap in the emerging literature by examining the role of personal contact with Muslims, knowledge about Islam, and media coverage about Islam or Muslims as the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formation of perception toward Muslims in Korea. The study was motivated by the fact that,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dealt much attention with European and Western countries in explaining the determinants of public perception of Muslims, there is little discussion in the Korean context. To achieve this, the quantitative data from surveys – online and offline – 309 (228 Korean and 81 Muslim – 22 nationalities) of respondents have been analyzed. The present study discovered and verified that personal contact with Muslim, knowledge about Islam, and media coverage about Islam or Muslims have been recognized in explaining Koreans’ perception toward Muslims. In this study, on average, Koreans’ perception toward Muslims is decidedly more neutral, followed by positive responses. Notably, the trend in neutral opinion toward Muslims is more common among young Kore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reveal that Korean respondents who have personal contact with Muslims correlate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more positive affection. Moreover, data analysis shows there is statistical significance that perception toward Muslims is much likely driven by knowledge about Islam. People who are more knowledgeable about Islam or Muslims tend to express more favorable and positive affection is supported in this study. A large proportion of Korean respondents who say they know about Islam to ‘some extent’ or ‘very well’ tend to express more neutral and positive affection. As the opportunity for many Koreans to get to know about Islam or Muslims mainly through media, there are expectations that media coverage about Islam and Muslims have at least some effects on audiences. The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verified that there i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edia coverage and the perception toward Muslims. Korean respondents who say media coverage about Islam or Muslims is ‘unfair’ are more likely to express positive affection towards Muslims. Additionally, the study also examines differences of Koreans and Muslims’ view on the life of Muslims in Korea based on queries and statements that focus on attitudes about immigrants, integration into Korean society, religious tolerance, treatment in broader society, and important values to learn and adapt. Noteworthy differences were found. For instance, Korean and Muslim respondents were offered a similar list about which values they think is important to learn and adapt. Korean respondents emphasis more on respecting the Korean history and culture, while Muslim respondents emphasis more on the fluency of Korean language. While this study has achieved its aim in analyzing the role of personal contact with Muslims, knowledge about Islam, and media coverage about Islam or Muslims that could affect the formation of perception toward Muslims among Koreans, it has its limitation, such as the low number of respondents. Therefore, the answer from respondents in this study cannot be straightforwardly generalized to the overall population. There is a need for future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theoretic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personal contact, knowledge about Islam, and media coverage about Islam and Muslims on perception toward Muslims in Korea.;미국의 심장부를 강타한 9.11 테러는 이슬람 또는 무슬림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변화시킬 정도로 인류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비이슬람권 언론에서는 지구촌 곳곳에서의 테러가 무슬림들과 관련이 있음을 우려스럽게 보도하였고, 이에 따라 무슬림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도 일반인들 사이에서 크게 확산되었다. 물론 지금은 세월이 흘러 테러 당시의 열기와 증오가 상당부분 줄어들었지만, 활발한 국제이주와 다문화사회의 형성 과정 속에서도 무슬림에 대한 편견과 거리두기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도 서구 사회와 마찬가지로 9.11 테러가 이슬람과 무슬림을 이해하는 인식을 바꾸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한국의 일반 국민들은 9.11 테러 이전까지는 이슬람과 무슬림 자체에 대한 적대감이나 불안감을 거의 갖지 않았으며, 자신들의 일상생활과는 별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인식했다. 그러나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변화되는 와중에 국내에 거주하는 무슬림의 수도 점차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독특한 무슬림 문화에 대한 관심도 더욱 확산되었다. 최근에는 이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본 연구는, 무슬림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이 개인적 접촉, 이슬람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지식, 그리고 언론매체의 보도에 의해 어떻게 영향 받고 있는지를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밝혀보았다. 이러한 구체적인 인식 조사 연구는 이미 서구사회에서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에야 다문화사회로 급속하게 변해가고 있는 한국사회에서는 아직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설문조사는 228명의 한국인과 22개국 출신 81명의 무슬림들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졌고, 이를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무슬림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이 어느 정도 수준에서 얼마나 긍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정리할 수 있었고, 더 나아가 그러한 인식이 무슬림과의 개인적 접촉, 이슬람에 대한 정보와 지식 수준, 그리고 언론매체의 보도 등의 변수와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인들의 무슬림에 대한 인식은 개인적인 수준에서 중립적이고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대가 낮은(20-29세) 응답자들이 보다 더 중립적이고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슬림과의 개인적 접촉, 이슬람에 대한 정보와 지식, 언론매체의 보도 등 3가지의 변수가 모두 한국인들이 무슬림에 대한 인식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무슬림과 개인적 접촉이 많을수록, 이슬람과 무슬림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지식을 가지고 있을수록 한국인 응답자들은 더 긍정적으로 무슬림들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이었다. 또한 일반 한국인들은 이슬람과 무슬림에 대한 정보를 언론 매체를 통해 획득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들 언론 매체의 보도가 공정하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한국인과 무슬림 각 집단이, 한국 사회로의 통합 과정, 종교간 포용 정신, 다문화사회 속에서의 공존, 그리고 한국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가치 등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두 집단 간에는 대략 유사한 지향점이 확인되었지만, 일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예를 들면, 무슬림들의 한국사회 적응과 공존을 위해, 한국인들은 한국의 역사화 문화에 대한 학습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한 반면, 무슬림들은 한국어 능력이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답하였다. 한국사회가 포용적 다문화사회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른 문화집단의 문화적 특성에 대한 적극적인 상호문화적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개인과 집단 간의 경계를 넘어 활발한 개인적 접촉이 이루어지고, 서로의 문화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와 배려가 실천되고, 언론매체의 중립적으로 올바른 뉴스가 생산되고 공급되는 것이 포용적 다문화사회의 전제 조건임을 이 연구는 밝히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