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소현-
dc.contributor.authorYANG YI-
dc.creatorYANG YI-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15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15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9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98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767-
dc.description.abstract자폐 범주성 장애는 사회성의 질적 결함으로 나타나는 아동기 신경발달적 장애다. 장애의 전형적인 특성이 3세 이전에 나타나기 때문에 조기발견을 통한 조기개입은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사회성 발달에 있어 최상의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강조된다. 자연적인 환경과 부모 참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조기개입의 중요한 동향이자 미국 장애인교육법(IDEA)에서 추천된 실제이다. 즉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가 가장 친숙한 환경 안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학습기회 중에서 부모를 통해 중재를 삽입하여 영아의 발달을 촉진한다. 중국의 자폐 범주성 장애는 1982년에 처음으로 보고되었고 2006년 정식으로 아동기 장애로 기재되었다. 현재 중국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조기개입은 기관-중심, 치료사-중심, 자폐 범주성애 장애 아동에만 초점을 맞추는 집중적 접근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부모는 조기개입 중에 능동적인 참여자와 협력자보다 단지 보조교사의 역할에 한정되어 있다. 또한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부모들은 자녀의 일탈적인 특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자녀와의 상호작용 중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증가와 양육효능감의 저하로 연결되며 결국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악순환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중국의 자폐 범주성 장애 조기개입 현황은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와 그 가족의 개별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위한 최상의 성과를 가져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중국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를 위해 부모 참여가 포함된 상호작용 행동 증진을 목표로 하는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조기개입과 관련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아의 사회성 능력 발달을 촉진하는 상호작용 전략 교수 중심의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부모들에게 실시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어머니에게 장애 이해 교육 2회와 상호작용 전략 교수 교육 8회 총 10회기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중국 길림성 장춘시에 거주하고 있는 33개월 이하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와 그의 어머니 총 29쌍으로 구성되었는데 실험집단 14쌍이고 통제집단 15쌍이였다. 연구의 실행방법은 실험집단 14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와 그의 어머니들에게는 주 1회, 60-90분씩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총 10회 제공하였다. 부모교육의 구체적인 실행 방법은 비디오 모델링, 역할극 및 연습, 전략 적용하기, 비디오 분석하기, 함께 계획하기, 스스로 점검하기 등으로 구성되었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어머니-영아 간 상호작용 행동을 측정하였다.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측정도구로는 각각 양육스트레스 평정척도(Parenting Stress Index: PSI), 영유아 양육효능감 평정척도(Toddler Care Questinnaire, TCQ)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행동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어머니와 영아의 자연스러운 놀이 상황의 비디오 자료를 사용하여 최윤희, 이소현(2006)이 제시한 상호작용 행동의 조작적 정의에 따라 평가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사후 변화 정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상호작용 전략 교수 중심의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큰 폭으로 감소되었고,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소폭 증가하였다. 두 집단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변화 정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 전략 교수 중심의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큰 폭으로 향상되었고,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소폭으로 향상되었다. 두 집단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변화 정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상호작용 전략 교수 중심의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행동은 큰 폭으로 향상되었고,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행동은 소폭 감소되었다. 두 집단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행동의 변화 정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상호작용 전략 교수 중심의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어머니-영아 간 상호작용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장애 이해 교육과 상호작용 전략 교수로 구성된 부모교육 내용을 가정방문 형식으로 전달하는 것이 중국 자폐 범주성 장애 조기개입 현장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에서 처음으로 실시한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조기개입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탐색적인 의미를 지닌다. 특히 자폐 범주성 장애 조기개입의 필요한 영아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영아의 특성과 그 가족의 개별적인 교육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중국의 현시점에 본 연구가 지니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Autism spectrum disorder is a childhood neurodevelopmental disorder that manifests as a qualitative deficiency of sociability social communication skills. A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appear before 3 years of age early intervention through early detection is emphas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achieving the best outcomes in the social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Natural environment and parental involvement are important trends in early intervention for infants with autism, are recommended practice in IDEA. In other words, effective practice for infa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volves parents being supported to integrate specific strategies into daily routines and family activities. In China,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first reported in 1982 and was officially listed as a childhood disability in 2006.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early intervention of ASD in China does not satisfy the individual needs of young children with ASD and their families. While it is acknowledged that parental involvement is an integral part of the success of early intervention programs the most prevalent service delivery model for infants with ASD take places in clinics with a therapist in China. This center-based service model often fails to make efforts to include parents as an important partner in their child’s development. Though intensive therapist-implemented treatments often include parents, the focus is on therapist-child curricula rather than parent implementation. In addition, par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ave difficulty in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of their child's disruptive characteristics. These difficulties can lead to an increased rates of parenting stress and a deterioration of parenting efficacy, which can negatively affect the interaction with the child Thus, current early intervention services necessitate the parental involvement that enhances the parents’ capacity to promote the child’s development within the child’s natural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home visit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ASD. The home visit parent education program of this study consists of 2 sessions of understanding disability and 8 sessions of learning hands-on strategies that promotether mother-infant interactions. Participants were 29 toddlers aged 26-33 months with ASD and their parents living in Changchun, Jilin province, China. Fourteen infants and their parent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home visit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90-minutes sessions for 10 weeks. The program provided parents with opportunities for apply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planning intervention followed by video modeling, role play, and video analysis.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behaviors were measured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using the Parenting Stress Index (PSI).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assessed two tim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using the Toddler Care Questinnaire(TCQ). The mother and child were observed playing with each other and videotaped. The entire play interaction coded with a modified behavior interaction assessment(Choi, & Lee, 2006).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drastically whil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slightly increas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arenting stress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greatly improved, and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slight improvem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hange in parenting efficacy between two groups of mothers. Third, for mother-infant interaction behaviors, the experimental group greatly improved while the control group reported a slight decrease in interaction behavio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hange in the two groups of mother-infant interaction behaviors.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home visit parent education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the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behaviors. Two critical components of the home visit parent education may have led to these results: its targeted content and certain attributes of the intervention. The targeted content focused on disability related information and the primary area of concern in autism. The intervention process was designed to promote active parent learning and participation, including several instructional strategies. In addition, the result of study highlights important distinction in how early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and their families is conceptualized in China. Though a pressing need exists to expand service options and opportunities for young children with ASD and their families, this pioneering study on home visit parent education is meaningful as it shed light on the development of an early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ASD Chin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8 C. 용어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1 A.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발달 11 1. 영아기 발달의 중요성 11 2.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발달의 특성 13 B.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조기개입 동향 17 1. 자연적 환경 17 2. 부모 참여 19 C.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어머니를 위한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 22 1.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어머니를 위한 가정방문 부모교육의 장점 22 2.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어머니를 위한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 선행연구 23 D. 중국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조기개입을 위한 부모교육 26 1. 중국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조기개입 현황 26 2. 중국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조기개입에 있어서 부모교육의 필요성 28 3. 중국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조기개입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현황 30 Ⅲ. 연구방법 35 A. 연구 참여자 35 B. 연구 일정 39 C. 연구 장소 40 D. 독립변인: 상호작용 전략 교수 중심의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 40 1. 프로그램의 목표 40 2. 프로그램의 구성 41 3. 프로그램의 회기별 교육 주제 및 내용 43 4.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 검증 45 5. 프로그램의 회기별 실행 방법 45 6. 프로그램의 회기별 진행 절차 50 E. 종속변인 54 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54 2.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55 3.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행동 56 F. 연구절차 58 1. 사전검사 58 2. 프로그램 실행 59 3. 사후검사 60 G. 관찰자 간 신뢰도 측정 61 H. 중재 충실도 62 I. 사회적 타당도 63 J. 자료처리 방법 67 Ⅳ. 연구결과 68 A.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68 B.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69 C.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어머니와 영아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70 Ⅴ. 논의 및 제언 73 A. 논의 73 B. 제한점 85 C. 제언 86 참고문헌 89 부록 110 ABSTRACT 1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982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상호작용 전략 교수 중심의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중국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Home Visit Parent Education Program on Mothers' Parenting Stress,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in Families of Infa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na-
dc.creator.othernameYang Yi-
dc.format.pagevii, 130 p.-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contributor.examiner박지연-
dc.contributor.examiner이숙향-
dc.contributor.examiner최윤희-
dc.contributor.examiner이소현-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