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황보람-
dc.creator황보람-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12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12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5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54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748-
dc.description.abstract사회적 거절 경험은 정서적, 인지적, 신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Leary, 2010; Baumeister, Twenge, & Nuss, 2002; Eisenberger, 2012). 사회적 거절에 대한 행동적 반응을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보면 상이한 결과가 발견된다. 일부는 공격성을 표출하여 이후 친밀한 관계 형성을 어렵게 하기도 하지만(Bushman, Baumeister, & Phillips, 2001), 반대로 친사회적 행동을 통해 타인과의 연결성을 회복하여 새로운 사회적 유대를 구축하려는 반응이 나타나기도 한다(Gardner, Pickett, & Brewer, 2000). 이처럼 비일관적인 반응 양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새로운 타인과의 만남에 대한 인지과정의 차이 때문이다(Maner, DeWall, Baumeister, & Schaller, 2007). 따라서 사회적 거절 이후 연결성 회복을 위한 반응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새로운 타인과의 만남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향상시켜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거절 경험이 심리사회적으로 적응적 결과인 새로운 타인과의 연결성 회복 의향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애착 안정성 점화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타인으로부터 부정적 평가를 받는 것과 사회적 거절로 인한 고통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진 만 18-25세 여대생 9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전에 만 18-25세의 여대생 중 실험 참여 희망자를 대상으로 부정적 평가를 두려워하는 정도에 대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 결과에 따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 참여자들 모두에게 사회적 거절 유발 절차를 실시하였고, 이후 실험 참여자들은 무선할당 방식을 통해 애착 안정성 점화 글쓰기 조건과 통제 글쓰기 조건으로 배정되어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추후 협동과제에 대한 참여 선호도로 새로운 타인과의 연결성 회복 의향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새로운 타인과의 연결성 회복 의향에 대한 애착 안정성 점화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애착 안정성 점화를 실시한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연결성 회복 의향을 보였다. 다음으로 애착 안정성 점화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수준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애착 안정성 점화 글쓰기를 수행한 집단은 통제 글쓰기를 수행한 집단에 비해 새로운 타인과의 연결성 회복 의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 애착 안정성 점화 글쓰기를 수행한 집단과 통제 글쓰기를 수행한 집단 간 새로운 타인과의 연결성 회복 의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거절 경험이 새로운 타인과의 연결성 회복 의향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애착 안정성 점화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역할을 살펴보고, 사회적 거절을 경험한 개인들이 새로운 유대관계를 구축해나가는데 있어 애착 안정성 점화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Social rejection experience has a negative influence on emotional, cognitive, and physical aspects(Leary, 2010; Baumeister, Twenge, & Nuss, 2002; Eisenberger, 2012). Previous studies that have examined behavioral responses to social rejection have found different results. After the social rejection experience, an individual may express the aggressiveness and make it difficult to form an intimate relationship in the future(Bushman, Baumeister, & Phillips, 2001). On the other hand, an individual may exhibit pro-social behavior to establish new social ties desiring to reconnect(Gardner, Pickett, & Brewer, 2000). The reason for this incoherent response pattern is due to differences in the cognitive processes of meeting new people(Maner, DeWall, Baumeister, & Schaller, 2007).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ositive view of the meeting new people in order for the desire to reconnect after the social rejection to app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curity priming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n the process of social rejection leading to desire to reconnect which is psychological and socially adaptive outcome. For this study, 90 female university students aged between 18 and 25, who were found to be vulnerable to being negatively evaluated by others and social rejection,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Before the experiment, they were tested online survey that divided the level of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nto high/low. The following is experiment processes. First, every participant participated in the social rejection procedure. Then, the group was divided into the security priming writing condition and the control condition. Finally, desire to reconnect was measured with a task in which participants were asked to select degrees of preference for future collaborate tasks. A two-way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nipulation of felt-security and the level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desire to reconnec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the security priming writing on the desire to reconnect. In other words, the group performing the security priming writing task showed a more desire to reconnect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security priming and the level of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the desire to reconnect. Specifically, among the high level of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sire to reconnect showing that those who performed security priming writing task much preferred to reconnect with new people than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prov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rejection experience and desire to reconnect was different according to security priming and the level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t also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security priming to establish new social ties after the social rejection experi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8 Ⅱ. 이론적 배경 9 A. 사회적 거절 9 B. 애착 안정성 점화 15 C.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20 Ⅲ. 연구 방법 25 A. 연구 대상 25 B. 측정 도구 27 C. 실험 자극 및 실험적 조작 28 D. 연구 절차 31 E. 자료 분석 32 Ⅳ. 연구 결과 34 A. 집단구분 34 B. 조작점검 35 C.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37 D. 새로운 타인과의 연결성 회복 의향 38 Ⅴ. 논의 및 제언 43 A. 요약 및 논의 43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8 참고문헌 53 부록 66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86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사회적 거절 경험 이후 애착 안정성 점화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여대생의 새로운 타인과의 연결성 회복 의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Security Priming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Desire to Reconnect after Social Rejection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dc.format.pagev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