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수진-
dc.contributor.author최효선-
dc.creator최효선-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11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11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6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63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74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성인 초기 여성의 성 고정관념과 연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그 관계에서 자신의 사고나 행동을 억제하는 자기침묵과 성적인 맥락에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성적 자기주장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연애 중인 성인 미혼 여성 35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변인들의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았고, 성 고정관념과 연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성적 자기주장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성 고정관념과 연인관계 만족도의 상관을 제외하고 모든 변인들 간 상관이 유의미하였다. 둘째, 성 고정관념과 연인관계 만족도의 관계를 자기침묵과 성적 자기주장이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 고정관념에서 연인관계 만족도로 가는 직접 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 고정관념과 연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성적 자기주장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 고정관념과 연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성적 자기주장의 단순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할 뿐 아니라, 자기침묵과 성적 자기주장을 순차적으로 거쳐 연인관계 만족도에 이르는 이중매개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성인 초기 여성이 지니고 있는 성 고정관념은 연인관계 만족도를 직접적으로는 예측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성 고정관념은 자기침묵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높은 수준의 자기침묵은 여성으로 하여금 성적 자기주장을 하지 못하게 하여 결국에는 연인관계 만족도를 낮추는 데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인 초기는 친밀감을 획득함으로서 발달 과업을 달성하며, 연인관계는 그 어떤 관계보다도 깊은 친밀감을 제공하기 때문에 성인 초기 발달 과업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여성의 건강한 심리사회적 발달을 위해 만족스러운 연인관계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만족스러운 연인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여성이 내는 목소리가 중요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는데, 대인관계의 친밀함을 유지하기 위한 자기침묵과 성적인 맥락에서의 자기주장은 각기 다른 장면에서 여성의 연인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자기침묵과 성적 자기주장은 성별에 부과되는 이미지인 성 고정관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성에 관한 사회문화적 규범을 개인이 얼마만큼 수용하고 있느냐에 따라 대인관계의 맥락이나 성적인 장면에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정도가 달라졌다. 이러한 성 고정관념은 어린 시절부터 부모, 또래, 교육, 미디어 등에 의한 사회적인 영향력에 의해서 형성된 것으로 성 고정관념을 약화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노력뿐만이 아니라 사회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젠더 교육 강화, 법 제정 및 개정, 정책 구축 및 개선 등 성 평등을 촉진시키기 위한 사회의 다각적인 노력이 있을 때, 여성 개인도 성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만족스러운 연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gender stereotypes, couple relationships satisfaction, self-silencing, sexual assertiveness. The study participants(355 women in relationship) were drawn from various regions of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22.0 and M-Plus 7.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cept for the correlation between gender stereotypes and couple relationships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ll other variables. Second, the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the direct path from gender stereotypes to couple relationships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and sexual assertiveness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stereotypes and couple relationships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dual-mediated effect of self-silencing and sexual assertiveness between gender stereotypes and couple relationships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gender stereotypes of women do not directly predict the satisfaction of couple relationships. However, gender stereotypes influence the level of self-silencing, and a high level of self-silencing can prevent women from making sexual assertiveness, which in turn affects lower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romantic relationship. Adulthood achieves developmental tasks by acquiring intimacy, and couple relationships are important because they provide a deeper intimacy than any type of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ays to promote a satisfying relationship for healthy psychosocial development of women. In particular, self-silencing and sexual assertiveness affects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s in the context of voice. These female voices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gender stereotypes. In other words, the extent to which one can express her thoughts in the contex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sexuality has changed depending on how much individual sociocultural norms about gender are accommoda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women should be able to express their own voices and try to escape from gender stereotypes in order to form a satisfying relationship.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make diverse efforts to reduce gender stereotyp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8 Ⅱ. 이론적 배경 9 A. 연인관계 만족도 9 B. 성 고정관념 12 1. 성 고정관념 12 2. 성 고정관념과 연인관계 만족도 15 C. 자기침묵 17 1. 자기침묵 17 2. 자기침묵과 연인관계 만족도 19 3. 자기침묵과 성 고정관념 21 D. 성적 자기주장 22 1. 성적 자기주장 22 2. 성적 자기주장과 연인관계만족도 25 3. 성적 자기주장과 성 고정관념 27 4. 성적 자기주장과 자기침묵 28 Ⅲ. 연구방법 30 A. 연구 대상 30 B. 측정 도구 32 1. 연인관계만족도 32 2. 성 고정관념 33 3. 자기침묵 34 4. 성적 자기주장 35 C. 연구 절차 36 D. 자료 분석 36 Ⅳ. 연구결과 37 A.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37 1.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 37 2. 주요 변인 간의 상관 분석 39 B. 연인관계 만족도, 성 고정관념, 자기침묵, 성적 자기주장의 관계 41 1. 측정모형의 검정 41 2. 구조모형의 검정 44 3. 구조모형의 분석 45 4. 자기침묵과 성적 자기주장의 매개효과 검정 47 Ⅴ. 결론 및 제언 48 A. 요약 및 논의 48 1.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48 2. 연인관계 만족도, 성 고정관념, 자기침묵, 성적 자기주장의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 49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53 참고문헌 56 부록 70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63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성인 초기 여성의 성 고정관념과 연인관계 만족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기침묵과 성적 자기주장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Gender Stereotypes and Couple Relationships Satisfaction of early adulthood woman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silencing and Sexual Assertiveness-
dc.format.pagevi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