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효정-
dc.contributor.author이지혜-
dc.creator이지혜-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06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06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3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32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724-
dc.description.abstractMany congenital heart disease(CHD) patients experience complications or symptoms of heart failure; since the risk gradually increases with age, lifelong self-care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self-care in adult patients with CHD were analyzed, focusing o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data to aid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hat can improve long-term prognosi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D. The subjects consisted of 208 patients receiving outpatient treatment for CHD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Data was collected between 16th August 2017 and 22nd March 2018. As instruments, the Self-Care of Heart Failure Index V.6.2 (SCHFI V6.2) was used to measure self-care in patients with CHD, the Leuven Knowledge Questionnaire for Congenital Heart Disease (LKQCHD) was used to measure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was used to measure social support.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software. The data was described using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 t-tests and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care,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subjects’ mean age was 21.54 years. There were more males, at 61.1%, than females. The most frequent educational level was current university student or higher, at 57.2%. 67.3% of subjects reported ‘student’ as their occupation, 96.2% of subjects were unmarried. 65.9% of subjects reported ‘non-religious’ as their religious status, and 35.6% of subjects had a monthly household income of at least 4.5 million KRW. 2.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hen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diagnosis, 46.6% of the subjects had a complex heart malformation ; 82.6% of subjects had experienced surgery, and 88.0% of subjects had experienced hospitalization. The percentage of subjects currently taking medication for cardiac disease was 43.7%, and the percentage of patients who reported experiencing symptoms of heart failure was 15.3%. The subjects’ mean LVEF was 62.25%, and the most common NYHA classification was Class I (85.6% of patients). 3. Self-care, disease related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of the subjects Subjects’ mean self-care score was 59.10±11.20. For disease-related knowledge, the mean score across all 31 items was 12.38±4.40, and the mean score for social support was 73.28±9.99. 4. Association of self-care, disease related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with subjects’ characteristics Subjects’ mean self-care varied significantly with monthly income (F=2.993, p=.032). On the other hand, self-care confidence,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subjects’general or clinical characteristics. 5. Relationships between self-care, disease related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Overall self-car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knowledge (r=.187, p=.007). Soc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self-care maintenance(r=.184, p=.001), heart failure management(r=.230, p=.001), and self-care confidence(r=.258, p<.001). 6. Factors influencing self-care Disease related knowledge(β=.159, p=.022) and social support(β=.314, p<.001) are significantly effect on self-care ability of congenital heart disease patients. The results of our study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of the self-care with disease related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in patients with CH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elf-care in patients with CHD, it will be necessary to implement nursing interventions that include not only enhancing knowledge but also supportive communication and consultation with the aim of building self-care confidence and creating a more positive experience of disease.;선천성 심장병은 가장 흔한 선천성 기형 중 하나로, 최근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생존률이 증가하면서 전체 환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많은 수의 선천성 심장병 환자들이 심부전이나 합병증을 경험하고, 나이가 들면서 그 위험도는 점차 증가하므로 평생에 걸친 자가 간호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자가 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질병 관련 지식,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증가하는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장기적인 질병 예후와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계획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A 상급종합병원의 선천성 심장병으로 외래 통원 중인 환자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8월 16일부터 2018년 3월 22일까지 이루어졌다.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자가 간호 도구는 Self-Care of Heart Failure Index V.6.2(SCHFI V6.2), 질병 관련 지식은 Leuven Knowledge Questionnaire for Congenital Heart Disease(LKQCHD), 사회적 지지는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및 t-test와 ANOVA를 통해 분석 하였다. 자가 간호, 질병 관련 지식, 사회적 지지 수준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통해 분석하였으고, 일반적, 임상적 특성과 질병 관련 지식, 사회적 지지가 자가 간호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 하였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1.54세였고, 성별은 남자가 61.1%로 여자에 비해 많았으며, 교육수준은 대학교 재학 이상인 대상자가 57.2%를 차지하였다. 직업은 67.3%가 학생으로 과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결혼 상태는 미혼이 96.2%였다. 종교는 무교가 65.9%였고, 가구 월 평균 소득은 450만원 이상이 35.6%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전체 대상자 중 복잡 심기형 환자가 46.6%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82.6%가 수술 경험이 있었으며 88.0%는 입원 경험이 있었다. 현재 심부전 관련 약물을 복용중인 환자는 43.7%였고, 15.3%의 환자가 1개월 이내에 심부전 증상을 경험했다고 응답하였다. 대상자의 좌심실 박출 계수(LVEF, %)는 평균 62.25%였으며, NYHA분류는 Class I에 속하는 환자가 85.6%로 가장 많았다. 3. 대상자의 자가 간호, 질병 관련 지식, 사회적 지지 수준 대상자의 평균 자가 간호 점수는 59.10±11.20점 이었고, 질병 관련 지식은 총 31개 항목에 대해 평균 12.38 ±4.40개의 정답률을 보였고, 사회적 지지 수준은 평균 73.28±9.99점 이었다. 4.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자가 간호, 질병 관련 지식, 사회적 지지 수준 대상자의 월 수입이 300만원 이상인 그룹의 자가간호 수준이 300만원 미만인 그룹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2.993, p=.032). 5. 자가 간호, 질병 관련 지식,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 질병 관련 지식 수준은 자가 간호 총점과 (r=.187, p=.007)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사회적 지지 수준은 하위 영역인 자가 간호 활동 유지(r=.184, p=.001)와 심부전 증상 관리 수준(r=.230, p=.001), 자가 간호 자신감(r=.258,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6. 자가 간호 영향요인 대상자의 질병 관련 지식 수준(β=.159, p=.022)과 사회적 지지 수준(β=.314 p<.001) 모두 자가 간호 수준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으나, 사회적 지지 수준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자가 간호 수준은 대상자의 일반적, 임상적 특성보다 질병 관련 지식 수준 및 사회적 지지 수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지는 자가 간호 자신감을 형성하고 긍정적 질병 경험을 도움으로써 개인의 자가 간호 잠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자가 간호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질병에 대한 충분한 정보의 제공과 함께 지지적 관계 형성을 위한 간호 중재가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 고찰 7 A. 심장병 환자의 자가 간호 7 B.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 11 C. 심장병 환자의 사회적 지지 16 Ⅲ. 연구 방법 20 A. 연구 설계 20 B. 연구 대상 21 C. 연구 도구 23 D. 자료 분석 25 E. 윤리적 고려 26 F. 연구의 제한점 26 IV. 연구 결과 및 논의 27 A. 대상자의 일반적, 임상적 특성 27 B. 대상자의 자가 간호, 질병 관련 지식, 사회적 지지, 32 C.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 간호, 질병 관련 지식, 사회적 지지 40 D. 임상적 특성에 따른 자가 간호, 질병 관련 지식, 사회적 지지 46 E. 자가 간호 영향 요인 54 V. 결론 및 제언 58 참고문헌 63 부록1 (설문지) 72 부록2 (도구사용승인) 85 부록3 (IRB 심의 통지서) 88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07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성인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자가 간호 영향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질병관련 지식,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Factors Influencing Self-Care in Adult Congenital Heart Disease : Focusiong on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dc.creator.othernameLee, Ji-hye-
dc.format.pagevii, 92 p.-
dc.contributor.examiner신수진-
dc.contributor.examiner김건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