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6 Download: 0

로버트 하이네켄(Robert Heienken) 작품에 나타난 비판의식

Title
로버트 하이네켄(Robert Heienken) 작품에 나타난 비판의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ritical Consciousness in the Works by Robert Heinecken
Authors
최예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논문은 로버트 하이네켄(Robert Heinecken, 1931-2006)의 작품에 나타난 비판의식을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1960년대 미국에서는 사진이 형식주의 모더니즘이 추구하는 작품의 유일성, 작가의 독창성의 이상(理想)을 해체하는 수단으로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사진의 위상변화와 함께 미국 내 대학에서는 미술교육 내에 포함되어 있던 사진교육이 독립된 교육과정으로서 편성되기 시작하였다. 하이네켄은 1960년대 사진교육을 이끌었던 1세대 사진교육자 중 한 명이었으며, 당시 사진계에 나타난 새로운 경향을 이끌었던 작가로서 작품을 통해 당대 혼란했던 미국사회의 일면을 실험적 방식으로 작품에 담았다. 본 연구는 사진작가로서 하이네켄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으며, 그의 작품 원동력이 비판의식에서 기원하고 있다고 보고, 작품전체에서 비판의식이 어떠한 방식으로 표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가 활발히 활동을 시작한 1960년대의 미국에서는 사회 내 잠재되어 있었던 갈등들이 심화되면서 반전운동, 반 인종차별 운동, 반문화운동과 같은 저항적 움직임으로 표출되기 시작하였다. 하이네켄은 당시 일어난 사회적 변화를 목도하면서, 그리고 작가 개인의 복잡한 성장환경의 영향으로 기성세대가 세워 놓은 기존의 가치관과 행동양식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키웠다. 하이네켄은 1951년 UCLA에서 미술을 공부하기 시작했지만, 회화나 조각보다는 동시대 사람들의 삶과 문화가 담겨 있는 사진이미지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그는 전통적인 사진미학에서 벗어나 사진의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을 실험했던 사진교육학회에서의 활동을 통해, 또 비티즘의 영향을 받은 아상블라주 작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작품세계를 정립하였다. 1960년대 초중반 하이네켄의 작품은 사진의 매체적 순수성을 강조하면서 이미지에 어떤 조작도 허락하지 않는 에드워드 웨스턴과 f.64그룹의 작품으로 대표되는 형식주의 사진에 반(反)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 그는 광고, 신문, TV 이미지 등 매스미디어 이미지의 조작과 변형을 통해, 변화한 미국인의 삶과 가치관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내기 시작하였다. 하이네켄은 작품을 통해 폭넓은 주제, 다양한 소재와 재료의 사용을 보여주었으며, 그의 작품들은 하나의 사조나 양식으로 분류되기 힘들 정도로 다채로운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하이네켄의 작품에서 일관되게 발견할 수 있는 특징은 소비주의의 폭력 그리고 소비의 대상으로서 성(性) 등 사회적 이슈에 대한 비판의식이었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하이네켄이 작품을 통해서 필요에 따른 합리적인 소비가 아닌, 보다 우월한 가치를 향유하기 위한 부적절한 소비를 유도하는 광고 이미지의 허구성을 드러내며, 그 속에 내재된 미국 사회의 소비지상주의 풍조를 비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는 작품에서 매스미디어가 생산하는 각종 이미지 속에 내재된 사회적 통념이나 고정관념 등을 자연화하고 확대시키는 방식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표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그는 작품을 통해 남성의 욕망과 환상이 반영된 여성의 누드 이미지에 조작이나 변형을 가함으로써 서구의 전통적 성 관념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하이네켄의 작품은 조형적인 측면에서 당시 주류를 이룬 형식주의 사진에 반(反)하였고, 주제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미국사회의 부조리한 측면에 대항하는 특성을 보였다. 하이네켄의 작품에 나타난 비판의식을 알아본 본 연구는 그가 미국 사회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사회의 리얼리티를 작품에 담아낸 작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이네켄의 작품분석을 통해 확인한 이러한 특징은 작가가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현실의 모습을 동시대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게 해주었으며, 이러한 점에서 그의 작품이 가지는 미술사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ritical consciousness in the works by Robert Heinecken (1931-2006). In the 1960s America, photos began to draw attention as the means of disbanding exclusiveness of works, which is pursued by formalist modernism, and ideal of artists' originality. In addition, together with the change of status of photos, photo education, which was included in art education, started to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curriculum at universities. Robert Heinecken who led a new trend in the photo industry was one of the first generation photographers to have led photo education in the 1960s and contained the aspects of confused American society through his works. This study focused on his activities as a photographer and aimed to examine how critical consciousness was expressed in his entire works after seeing that his works were motivated by critical consciousness. The 1960s America witnessed the aggravation of hidden conflicts in society and they began to be expressed as resistance movements such as anti-war movements, anti-racial discrimination movements, and counterculture movements. Robert Heinecken developed critical viewpoint toward the existing values and patterns of behavior established by older generation while witnessing the social changes and owing to the influence by complex personal growth environment. He began studying art at UCLA from 1951 but was more interested in the photo images containing the lives and culture of the people living in the same age, rather than paintings and sculptures. Also, he strayed from traditional photo aesthetics and established his own unique world of art through photo education academy activities, during which he experimented new aesthetic possibilities of photos, and through the exchanges with the assemblage artists who were influenced by Beatism. His works emphasized media purity of photos and had the tendency to go against formalism photos, which are represented by Edward Weston who did not allow any modifications to images and the works by Group f/64. Since the mid-1960s, he began to talk about the changed lives and values of Americans through transforming mass media images including commercials, newspapers, and television. Robert Heinecken showed using extensive topics, various materials in his works and the works displayed diverse aspects to the extent of being unable to be classified based on trend or style. However, one characteristic consistently found in his works is critical consciousness toward social issues including violence of consumerism and gender as target of consumption. First of all, this study identified that he exposed fictitiousness of commercial images inducing inappropriate consumption so as to enjoy superior values and not rational consumption for needs and that he criticized the inherent consumerist value trend of American society. Moreover, it has been found that he expressed critical viewpoint toward the style of naturalizing and expanding social notions or stereotypes inherent in all sorts of images created by mass media. Lastly, he revealed critical viewpoint toward traditional gender notion of the Western world by making fabrications or changes in the nude images of women reflecting men's desires and fantasies. As examined previously, the works by Robert Heinecken went against formalism photos, which were the mainstream of the time in formative aspect, and had the characteristic of resisting irrational aspects of American society. This study which looked into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Robert Heinecken identified that he is the artist who was constantly interested in American society and contained social reality in his works. This characteristic demonstrated that he wanted to share the aspects of reality with the people living in the same age and in that sense, the meaning of his works in art history can be foun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