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6 Download: 0

릴리안 메이 밀러(Lilian May Miller, 1895-1943)의 생애와 작품 연구

Title
릴리안 메이 밀러(Lilian May Miller, 1895-1943)의 생애와 작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Life and Artworks of Lilian May Miller Focus on Works based on Korea
Authors
김효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examining life and activity of American artist Lilian May Miller (1895-1943) who produced artworks of the East in early 20th century, especially focusing on the works based on Korea. Lilian Miller was born in Tokyo and enrolled Kano school atelier(畵塾, juku) at the age of 9. Miller started her career focused on modern Japanese ink and wash painting style. Her work, Korean landscapes drawn in Japanese style, was also selected in 2nd Joseon Art Exhibition(朝鮮美術展覽會) in 1923. Around 1920s, she learned Japanese woodblock printing technique and broadened her field to woodblock prints along with Japanese painting. Miller started production and sales of woodblock prints focused on Korean custom, character and landscape. Subjects used in the works present limited premodern images of Korea. Miller interacted with western shin-hanga(新版畵) artists, Bertha Lum and Elizabeth Keith and mutually influenced each other. Miller recognized them as competitors and tried to produce differentiated woodblock prints by putting self-designed frames and scripts about the prints. She further developed the originality by adopting self-publication style which artist oversees entire steps from initial sketching, carving to printing. Meanwhile, she struggled to deny the fact that she was influenced by other western artists due to excessive rivalry. On the other hand, Miller eagerly tried to advertise relationship between Japanese artists. She interacted and learned from Yoshida Hiroshi(吉田博), alssong with Doi Saiho(土居彩畝) and Shimada Bokusen(島田墨仙). Shimada Bokusen had a major influence on Miller's Japanese painting style. She learned watercolor painting from Yoshida Hiroshi and assumed to be heavily influenced in woodblock printing.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was no clear relationship in painting style between Doi Saiho. It seems that Miller simply wanted to advertise relationship with Doi Saiho due to her popularity and influence as an artist. Miller exploited social network of her father, who was an American Consul General in Seoul, Korea and worked in Department of State, to form a network of key patrons with social and economic power. Miller had wide range of patronage from friend in Japan to American art dealers and collectors. There are only few Nihongas(Japanese painting) of Miller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Miller emphasized her identity as a Japanese style painter and started her career with Nihonga, thus Nihonga is a core importance in examining Miller's works. Accordingly, we examined her works alongside with her activity and concluded that Miller described humid Japanese intrinsic nature in realistic(寫生的) basis. Additionally, she showed competent handling of ink and brush since she practiced Japanese art from early age. Miller's woodblock printing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Korean characters, custom and landscape classified by subject. Woodblock printings of characters and custom were produced mainly in early 1920s. Printing style was confirmed to be influenced by Bertha Lum and painter Nishimura Kumakichi(西村熊吉) and block-carver Matsumoto(松本). Furthermore, Miller produced printings inspired by works from Ukiyo-e artists from Edo and Meiji era. An origin of characters and images can be found in underdeveloped images of Korea in postcards distributed in modern period. Miller adopted unique exhibition method by displaying woodblock printing with explanatory script. Landscape woodblock printing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cenery of farming villages and scenic spots such as Mt. Geumgang(金剛山) and Han river. Majority of works were from late 1920s and demonstrated unique style by adopting self-publication. (It appears that) Miller adequately reconstructed the composition and expression techniques frequently used in woodblock printings, photographs and Nihongas in her works. Western artists who painted Korea during the modern period with Japanese woodblock printing technique were considered as second-rate artists thus their works were hardly recognized as a find art. However, according to Miller's activity, she had a solid identity as an artist. Unlike other contemporary western artists, she considered her origin as Nihonga artist from Kano school and recognized it as her strength and advertised it. Although it was expressed in twisted ways such as a denial of influence from other western artists, it also served as a driving force for pursuing new techniques and methods. Furthermore, it is worth taking note that she effectively used her unique identity in advertising her works. Although Miller's woodblock prints were mainly produced for selling, they possess historical value as they contain combination of different styles. While Miller's works have a limitation that they mostly dealt with images of Korea in the Japanese and western view point, they have historical value since they contain lifestyle of Korea in modern period. Furthermore, study on Miller is a critical importance in Korean modern art history. Miller submitted two artworks, <朝鮮式亭> and <金剛山>, in 2nd Joseon Art Exhibition. It not only drew attention from painters for western female artist to submit in the Eastern painting exhibition(東洋畵部) but also awarded with <朝鮮式亭>. It implies possibility of Miller's influence on popularity of Japanese painting style in Joseon art trend.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casting new light on overlooked Miller's activity and social relations and revealing historical values by examining works of Japanese paintings and woodblock prints of Korea.;본 논문은 20세기 초 동양을 소재로 작품 활동을 한 미국인 화가 릴리안 메이 밀러(Lilian May Miller, 1895-1943)의 생애와 활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을 소재로 다룬 그림들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한 글이다. 릴리안 밀러는 일본 도쿄(東京)에서 태어나 아홉 살에 가노파(狩野派) 화숙에 입문하면서 화가의 길로 들어섰다. 밀러는 근대 일본화풍의 수묵화와 수묵담채화를 중심으로 작품 활동을 전개했다. 일본화풍으로 한국을 그린 풍경화를 제2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하여 입선하기도 했다. 1920년경 일본 다색 목판화 기술을 배워 일본화와 목판화 작품 활동을 병행하며 활동 분야를 넓혀갔다. 밀러는 한국의 풍속과 인물, 풍경에 주목하여 이를 소재로 본격적인 목판화 작품 제작과 판매 활동을 전개하였다. 작품에 나타나는 소재들은 전근대적인 한국의 모습을 한정적으로 보여준다. 동시대 일본에서 활동하던 서양인 신판화(新版畵, Shin-hanga) 작가 버사 럼(Bertha Lum)과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와 교유하며 영향을 주고받았다. 밀러는 이들을 경쟁자로 인식하여 이들의 작품과는 차별화되는 목판화를 제작하기 위해 노력했다. 작품에 직접 디자인한 액자를 덧대거나 그림에 대한 글을 함께 전시하기도 했다. 목판 조각과 인쇄 기술을 배워, 작가가 밑그림과 조각, 인쇄의 모든 과정을 담당하는 자가 출판(self-publication) 방식으로 작품을 제작하며 독창성을 꾀하였다. 한편 서양인 신판화 작가들에 대한 지나친 경쟁심으로 자신이 이들에게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을 은폐하고 부정하기도 하였다. 밀러가 서양인 신판화 작가들의 영향 관계를 숨기려 한 것과는 달리 일본인 화가들과의 교유 사실은 적극적으로 드러내고자 했다. 밀러는 스승이었던 시마다 보쿠센(島田墨仙)을 비롯해 요시다 히로시(吉田博), 도이 사이호(土居彩畝) 등과 교유하며 그림을 배웠다. 시마다 보쿠센의 경우 밀러의 일본화 화풍 정립에 주요한 역할을 했던 스승이었다. 요시다 히로시에게는 수채화를 배웠으며 목판화 제작에도 크게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이 사이호의 경우 뚜렷한 화풍 간 교류는 없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밀러가 도이 사이호의 화가로서의 유명세와 영향력을 의식하여 교유 사실을 과시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밀러는 한국 주재 미총영사(美總領事)를 지내고 미국 외교부서에서 장기간 근무한 아버지의 인맥을 이용하여 사회적 영향력과 경제력을 가진 인사들과 친분을 맺어 이들과 후원관계를 형성하였다. 밀러의 후원자들은 일본에 거주하는 지인부터 미국의 아트 딜러나 수집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현전하는 밀러의 일본화 작품은 그 수가 매우 적다. 그러나 밀러가 일본화 화가로서의 정체성을 중요시했으며 일본화를 통해 처음 미술에 입문하였기 때문에 일본화 작품은 밀러의 작품연구에 큰 의미를 지닌다. 이에 작품과 활동 기록을 함께 검토하였으며, 확인한 결과, 밀러는 사생적(寫生的) 태도를 바탕으로 습윤한 느낌의 일본 고유의 자연을 묘사하는 표현법을 구사하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어려서부터 오랫동안 일본화를 배웠기 때문에 묵의 표현과 붓의 운용에 능숙한 면모를 보인다. 목판화는 주제에 따라 한국의 인물·풍속과 풍경으로 분류된다. 인물·풍속 소재의 목판화는 1920년대 초반에 집중적으로 제작하였으며 화풍에서는 버사 럼의 영향과 당시 협업하였던 인쇄 장인 니시무라 쿠마키치(西村熊吉)와 조각 장인 마츠모트(松本)의 영향이 확인된다. 또한 에도·메이지 시대 우키요에 작가들의 작품을 참고하여 작품을 제작하기도 했다. 인물 도상의 연원은 근대기 유통되었던 사진엽서 속 전근대적(前近代的)이고 후진적인 한국 이미지에서 찾을 수 있다. 밀러는 목판화 작품과 이미지를 설명하는 글을 함께 보여주는 독특한 전시 방식을 취하였다. 풍경 소재의 목판화는 농촌 풍경이나 금강산이나 한강과 같은 명승지를 그린 작품으로 나누어진다. 1920년대 후반에 제작된 작품이 다수를 차지하며 자가 출판 방식을 도입하면서 이전보다 독자적인 화풍을 구사하였다. 우키요에와 신판화, 사진, 일본화 등에서 자주 구현되었던 구성이나 표현기법을 차용해 이를 적절히 재구성한 양상을 보인다. 일본 다색 목판화로 한국을 그린 서양인 작가들을 일류 작가로 볼 수 없으며 이에 이들의 작품도 순수 미술 작품으로 보기 어렵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밀러의 작품 활동을 살펴본 바에 의하면 작가 스스로 예술가라는 확고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동시대 활동한 서양인 신판화 작가들과는 달리 가노파 화숙 출신의 일본화 화가라는 점을 자신만의 강점으로 보고 이를 과시하고자 했다. 서양인 신판화 작가들의 영향을 부정하고 자신을 지나치게 포장하는 뒤틀린 방식으로 표출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밀러가 계속해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 추구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동시에 자신의 독특한 정체성을 작품 홍보에도 효과적으로 이용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밀러의 목판화는 주로 판매를 목적으로 제작되었지만 다양한 화풍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었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가치를 지닌다. 일본과 서구에 의해 타자화된 한국의 이미지를 주로 다루었다는 한계를 지니지만 근대기 한국의 모습과 생활상을 일부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는 역사적 사료로써 가치도 가진다. 나아가 밀러에 대한 연구는 한국 근대 미술사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밀러는 근대 일본화풍으로 한국을 그린 <조선식정(朝鮮式亭)>과 <금강산(金剛山)> 두 작품을 1923년 제2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하였다. 서양인 여류화가의 동양화부 출품은 출품 사실만으로도 화단의 주목을 받았으며 <조선식정>으로 입선하였다. 이는 밀러가 근대 한국 화단의 일본화풍 유행에 일조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그간 주목받지 않았던 밀러의 작품 활동과 교유 관계를 새롭게 조명하고 한국을 그린 일본화와 목판화를 중심으로 한 작품 분석을 통해 미술사적 가치를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