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0 Download: 0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환자의 말초신경병증이 수면의 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Title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환자의 말초신경병증이 수면의 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eripheral Neuropathy o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uthors
김남효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환자의 말초신경병증, 수면의 질 및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 및 말초신경병증이 수면의 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의 A 대학병원에서 Taxane계열의 항암화학요법을 2회 이상 받은 112명의 유방암 환자 중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11월 24일부터 2018년 1월 24일까지 시행되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연구자가 직접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하였고, 자가 설문이 어려운 대상자에게는 문답 형식으로 답변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 말초신경병증 증상 사정 도구는‘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hemotherapy 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20 (EORTC-QLQ CIPN 20)’의 공식 한글판 도구를, 수면의 질 측정은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의 번역본을 사용하였다. 우울 정도 측정은 1977년 Radloff 가 개발한 우울 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 depression Scale (CES-D)’를 2001년 전겸구, 최상진과 양병창이 보완 및 수정하여 타당화 시킨‘한국판 CES-D’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사용하였고, t-test 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말초신경병증이 수면의 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경우 연령은 50세 이상이 50.9%로 가장 많았고, 40대, 30대 순으로 나타나며, 대상자 중 기혼이 63.4%이었다. 최종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대학교 졸업, 중학교 졸업 이하 순으로 나타났고, 39.3%의 환자가 직업을 가지고 있었고, 종교는 ‘무’가 57.1%로 나타났다. 항암 횟수는 ‘3회’가 48.2%로 가장 많았다. 수술법의 경우 유방 보존술 50.9%, 유방전절제술 49.1%, 항암 전 폐경 여부는‘예’50.9%, ‘아니오’49.1%로 나타났다. 2.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말초신경병증은 항암 횟수(t=3.456, p=.035) 및 종교 (t=2.460, p=.01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면의 질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요인이 없었고, 우울은 학력(t=3.563, p=.032)과 종교(t=2.722, p=.008)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들의 말초신경병증은 평균 49.27점, 수면의 질은 평균 9.31점, 우울은 평균 1.36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말초신경병증과 수면의 질은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352, p<.001), 수면의 질과 우울도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44, p<.001).또한 말초신경병증과 우울은 강한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598, p<.001). 4.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기 위해 연령, 항암 횟수, 학력, 종교를 통제 변수로 둔 ‘Model Ⅰ’에서는 유의미한 요인이 나타나지 않았고, 말초신경병증과 우울을 추가한‘Model Ⅱ’에서는 말초신경병증이 수면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35, B=.043), 설명력은 14.2%가 증가되었다. 5.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기 위해 연령, 항암 횟수, 학력, 종교를 통제 변수로 둔‘Model Ⅰ’에서는 학력과 종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초신경병증과 수면의 질을 추가한 ‘Model Ⅱ’에서는 말초신경병증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B=.013), 설명력은 29.2%가 증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했을 때, 항암제로 인한 말초신경병증 정도가 심할수록 암 환자들의 수면의 질 저하와 우울 정도가 심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말초신경병증과 그로 인한 수면의 질 저하 및 우울에 대한 중재의 중요성을 상기시키고, 말초신경병증을 사전에 사정하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마사지 요법, 족욕 등의 비약물적 간호 중재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peripheral Neuropathy of breast cancer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hemotherapy o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The data had been collected the survey paper between Nov, 24, 2017 and Jan, 24, 2018 from 112 hospitalized breast cancer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Taxane type of chemotherapy more than once from the hospital in Seoul. In this study, peripheral neuropathy was assessed with the official Korean version of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hemotherapy 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20(EORTC-QLQ CIPN 20), sleep quality with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and depression with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 depression Scale(CES-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analysis and a repeated measures ANOVA using SPSS 21.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udy subjects, in terms of age, 50.9% of them were over 50, then in order of 40 and 30. Also within the subjects 39.3% of them had a job, 63.4% of them were married, and 57.1% of them had no religion. In terms of education, 38.4% of them were high school graduates, then university graduate and middle school graduate after that. 48.2% of them received chemotherapy 3 times. 50.9% underwent breast conserving surgery and 49.1% underwent modified radical mastectomy, 50.9% of them went through menopause and 49.1% did not. 2.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peripheral neuropath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how many times they were treated with chemotherapy (t=3.456, p=.035) and on their religion (t=2.460, p=.016). Also, the depression showed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t=3.563, p=.032) and religion (t=2.722, p=.008). 3. The study subjects scored 49.27 average out of peripheral neuropathy, 9.31 average out of sleep quality, and 1.36 average out of depression. The study shows a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eripheral neuropathy and sleep quality(r=.352, p<.001). Similarly, the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had also positive correlations (r=.344, p<.001). The study show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eripheral neuropathy and depression(r=.598, p<.001). 4. Age, number of chemotherapy, education, and religion were control variables on the ‘Model Ⅰ’, which did not affect the quality of sleep. But In ‘Model Ⅱ’which added peripheral neuropathy and depression, it was shown that peripheral neuropath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leep quality(p=.035, B=.043). Furthermore, it showed statistical relations R2 was increased by 14.2%. 5. Age, number of chemotherapy, education, and religion were control variables on the ‘Model Ⅰ’, education and religion have been shown to affect the depression. In‘Model Ⅱ’which added peripheral neuropathy and sleep quality, it was shown that peripheral neuropath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p<.001, B=.013). Furthermore, it showed statistical relations R2 was increased by 29.2%.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when peripheral neuropathy gets worse, the degree of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of breast cancer patients also gets wors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 of peripheral neuropathy and the results of that should be reminded. Also non-pharmaceutical nursing interventions such as massage, footbath, and etc.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peripheral neuropathy,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of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