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70 Download: 0

간호대학생 대상의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Title
간호대학생 대상의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ffects of Handoff Education Program Using SBAR For Nursing Students
Authors
도지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인수인계교육 시 SBAR 활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8년 4월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인수인계와 SBAR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C대학교 간호대학생 4학년으로, 실험군 31명과 대조군 31명으로 총 62명이었다. 본 연구의 인수인계 교육은 Seels와 Richey(1995)의 ADDIE 모형에 따라 개발하였으며, 강의와 시나리오 적용, 역할극 실습으로 구성하였다. 실험군에게는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2일에 걸쳐 총 120분간 시행하였고, 대조군에게는 SBAR를 활용하지 않은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2일에 걸쳐 총 110분 간 시행하였다. 교육의 효과는 사전․사후에 Lee 등(2016)이 개발하고 황은희, 신수진, 도지영(2017)이 번역하고 타당화한 자기효능감 도구와 허경호(2001)가 개발한 도구를 이현숙, 김종경(2007)이 수정․ 보완한 의사소통능력 도구로 측정하였고, 사후 임상수행능력은 김정희(2016)가 개발한 임상수행능력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고, 교육의 효과는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자기효능감의 향상 정도(t=‒17.14, p<.001), 의사소통능력의 향상 정도(t=2.30, p=.025)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임상수행능력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50, p=.618). 이상의 연구결과, 인수인계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유용하였다. 특히, 인수인계 교육 시 구조화된 의사소통 도구인 SBAR를 활용하는 것은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SBAR의 개념을 숙지하고 시나리오에 적용하는 데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과 반복적인 훈련이 필요하므로 2일에 걸친 교육으로 인수인계 시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인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학부교육과정에서 인수인계 교육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기존의 시뮬레이션 등 실습수업과 연계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이 졸업 후 신규간호사의 인수인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교육의 지속적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handoff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using SBAR in handoff education program.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April, 2018. Participants were 62 senior nursing students of C University who had not received any handoff and SBAR training. There were 31 subjects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ADDIE model was adopted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and consisted of a lecture, a scenario application, and a role play. The handoff education program using SBAR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20minutes over two days, and the non‒SBAR handoff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for 110minutes over two days. The educational effects were confirmed by measuring subjects’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s well as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fter the interven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3.0 program. Verification of homogeneity was completed using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d hypothesis testing was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elf‒efficacy(t=‒17.14, p<.001), communication ability(t=2.30, p=.025) in the experimental group more than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between the groups(t=0.50, p=.618).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handoff education program was useful for improving the nursing students’self‒efficacy, communication ability. Furthermore, the handoff education program using SBAR, a structured communication tool, wa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conclusion, to develop handoff ability of nursing students, handoff education program using SBAR should be implemented in undergraduate curricula, which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