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8 Download: 0

모노하(もの派) 작업에 나타난 자연관

Title
모노하(もの派) 작업에 나타난 자연관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iew of Nature in Mono-ha’s Works
Authors
손혜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본 논문은 일본의 모노하(もの派) 미술이 서구 근대 문명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시작하였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모노하 작가들은 특히 서구의 계몽철학에서부터 시작된 근대적 자연관과 그 근본원인인 인간중심주의를 문제 삼았으며, 이는 자연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드러내는 작업들로 나타났다. 그들은 내용적 측면에서 자연과 그 변화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고 자연의 요소를 표현수단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인간과 자연이 대립적 관계에 있다는 서구의 지배적 자연관에 대한 저항이었으며,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인식을 환기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노하 작가들의 작업에 자연을 중심에 둔 담론들이 투영되어 있었으며, 그것이 일본의 근대 이후 확립된 서구적 자연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의 표출이었다는 점을 논의한 것이다. 본 연구는 모노하 작가들의 자연관을 살펴보기 위해 1960년대의 일본 미술 경향들을 조명함으로써 모노하가 등장하게 된 계기에 사물의 변화과정 또는 그 주변 환경과의 상호 작용을 중시하는 미술 그룹들의 영향이 있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모노하 작가들은 이전 미술 경향들의 작업방식을 수용하고 더 나아가 자연현상을 작업의 일부로 차용함으로써 자연 그 자체를 예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이고자 하였다. 이는 서구 모더니즘의 대상화된 세계를 비판하고자 했던 모노하의 출발점인 미공투 운동의 정신과 맞물렸고 이후 전개된 전시들을 통해 더욱 구체화되었다. 모노하 작가들이 자연이라는 주제를 보다 심화시킨 측면은 그들이 발표한 글들에서도 드러났는데, 특히 이우환과 스가 기시오의 이론에서는 자연을 있는 그대로 구현해 낸 것이 ‘모노’이며, 그들의 작품을 자연 속의 사물과 인간의 상호관계를 드러내는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본고는 모노하 작업을 자연에 대한 인식 변화를 드러내는 미술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한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작품 분석은 사물, 장소, 시간이라는 요소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모노하 작가들은 자연을 표출하기 위한 작업방식으로 사물에 정신적인 의미를 담기보다는 사물이 그대로 드러난다는 측면을 강조하였다. 그들은 현상학적 지각의 방법을 끌어들임으로써 다양한 감각을 통해 경험 가능한 사물과 관람자의 신체적 만남이 곧 인간의 인식 바깥에 주어진 자연과의 조응으로 드러나게 한 것이다. 이는 사물이 놓인 상태 또는 사물이 놓인 공간 안의 모든 요소들의 상호 관련성을 주목하게 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이로 인해 장소의 특수성은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났으며 사물의 물성과 그 주변 환경, 관람자의 움직임 등은 상호 연관되며 관계를 주고 받는 총체적인 장소로서의 자연으로 현현된 것이다. 이렇게 사물의 물리적 성질과 주변 환경의 상호작용이 두드러진 작품들은 자연의 원리에 따라 변화하며 해체되는 과정을 드러냄으로써 시간의 차원 또한 가시화하였다. 작가의 개입이 배제된 장소의 다양한 자연 현상들을 작품화한 예들은 생태적인 순환 원리를 드러내며 자연의 시간 개념 속에서 인간과 주변 환경의 조화를 추구한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모노하 작가들의 작업을 자연이라는 주제로 접근함으로써 ‘모노’가 곧 자연이었고 그들이 추구한 바가 궁극적으로 인간과 자연이 유기적으로 관계 맺는 일원론적 자연관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었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노하가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추구하는, 보다 큰 자연 전체를 드러내고자 한 경향이었음을 살펴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Mono-ha art began with criticism of Western modern civilization. Mono-ha artists, especially, have questioned the modernistic thoughts of nature, which started from the Western philosophy of enlightenment, and the anthropocentricism. And it has been revealed as works that a change of perception. They showed an interest in nature and its change in terms of content, so used nature material as a means of expression. Their works were a resistance to the dominant view of nature in the West that human beings and nature were in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and to revive the perception that harmony with nature.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the various discourses on the work of Mono-ha artists based on nature, also, it is the expression of a critical viewpoint on the established Western view of nature after Japan’s modern era. This study wanted to know that Mono-ha influenced Japanese art groups in the 1960s, which emphasized the process of changing things or their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ono-ha artists have tried to embrace the way of work of previous art trends, moving on from this, and to utilize the natural phenomenon itself as a part of the work, thereby they have brought nature itself into the area of art. This was combined with the spirit of Bikyoto(美共闘) movement, the starting point of Mono-ha, which was to criticize the objectified world of Western modernism, and this has been further elaborated through subsequent Mono-ha exhibitions. The aspect of Mono-ha artists deepening of the theme of nature has also been revealed in their published articles. Especially, in the theory of Lee U-fan and Suga Kishio, they have defined the “mono” as nature as it is, and their works as a process of revealing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ings in nature and human. Then this study approached Mono-ha works in terms of art that reveals change of perception of nature. To examine closely, the analysis of works was divided into ‘things’, ‘place’, and ‘time’. First, Mono-ha artists emphasized that ‘things’ are exposed as it is rather than mental meaning. In order to uncover them, they brought in the method of phenomenological perception. They think that the physical encounter of the things and the viewer with various senses, in other words, that a correspondence with nature that is given outside human perception. This was also to focus the interrelationship of all the elements in the space where the thing is placed. As a result, the specificity of the place has been reveled more concretely,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ings, their surrounding, and the movements of viewer are the manifestation of nature as a comprehensive place that interrelated. In this way, the works of which the physical nature of the things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evealed the process of changing and decomposing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nature, and visualized the dimension of time. Like this, examples of various natural phenomena in the place where the artist’s intervention is excluded are the pursuit of harmony between huma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e natural time concept.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e Mono-ha’s ‘mono’ indicate nature as it is, and to show that their pursuit was ultimately to restore the monistic view of nature in which human beings and nature are organically relate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Mono-ha was a tendency to reveal nature as it 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