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황유나-
dc.creator황유나-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3:58Z-
dc.date.available2018-09-05T08:23:58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0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04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68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음악심상작업(Personal Music & Imgaery, 이하 PMI)을 통해 경험하는 자기인식 관련 변화를 이해하고 그 의미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참여자를 예비 MIT로 모집하였는데, 이는 이들이 처음 Continuum model of GIM의 훈련을 시작한 Supportive Music & Imagery(이하 SMI) 훈련원이라는 점을 미루어 보아 MI에 대한 강한 호기심을 갖으며, 무엇보다 PMI라는 작업을 처음 경험함으로써 그것을 경험하기 이전과의 차이를 가장 극명하게 인지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되기 때문이다. 자료 수집은 반 구조화된 심층 면담 및 개방형 설문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내용 분석의 방법으로 분석되었으며, 종합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PMI를 통해 자신의 욕구, 필요, 감정 등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자기 돌봄’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참여자를 좁은 의미의 ‘자기인식’, 즉 ‘스스로에게 관심을 두어 자신에 대한 정보를 알아차릴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하게 하는 경험으로써 의미가 있다. 둘째, 참여자들은 PMI를 통해, 음악과 ‘깊이 만나는’특별한 경험을 하였으며, 이런 특별한 경험들을 통해 음악의 힘을 알아차리고 음악을 신뢰하게 되었다. 음악과의 신뢰관계 형성은 음악을 치유도구로 사용하는 자로서 자신의 역량에 대해 의심하지 않게 되었으며 자신을 음악과 깊은 관계를 맺는 대상으로 바라보게 하였다. 셋째, PMI는 ‘자기 내면의 치료사’를 발견하는 경험으로, 치료사로서의 나를 새롭게 인식하게 하였다. 참여자에게 PMI경험은 참여자 스스로가 자신의 문제를 ‘탐색-규명-직면-재교육-재구조화’ 하는 심리치유적 경험이었으며, 이를 통해 참여자 스스로 자신의 필요를 경청하고, 이에 대해 민감하게 알아차리며, 자신을 돌보게 된 ‘자기치유’의 경험이었다고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경험은 참여자가 자기 자신을 위한 최고의 ‘자기치료사’를 발굴하고 이 경험을 통해 치료사로서 자신의 역량을 키우고 재인식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MI 경험이 축적될수록 참여자들의 자신에 대한 이해가 확장되어 새롭게 자신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개인으로서, 음악 치료사로서 자신을 발전시켜나가는 작업을 할 수 있었고, PMI를 통해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self-awareness through Personal Music & Imagery (PMI) and it’s meaning. For the study, five Music & Imagery(MI) trainees were chosen to participate. These five participants were considered to have a lot of curiosity about MI because they were just introduced to the Continuum model of GIM going through the Supportive Music & Imagery training. They were also considered to produce clear results differentiating before PMI and after because this study was their first experience of PMI. Semi 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survey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for this study. Collected data are qualitatively analyzed, and complete results are as follows, Through PMI, participants were able to recognize their personal desire, need, and emotion and ways to fulfill these components through ‘self care’. This experience is meaningful as it helps the participants to narrow down on their ‘self-awareness’, making them more interested in themselves and acquire more knowledge about themselves. PMI also became an opportunity where participants had an in depth experience with music, and these experiences became a stepping stone in helping participants recognize its power and trust it as a powerful tool. Trusting music as a powerful device can help the participants to overcome doubt in their ability and build deep relationships with music. Participants were then able to discover a new therapist within themselves through PMI, and recognize themselves differently. PMI experience provided participants therapy through helping them ‘explore’-‘identify’-‘confront’-‘re-educate’-‘restructure’ their problems, allowing them to pay close attention, and sensitively discern their inner conflicts. This helped them recognize PMI as a‘self care’ experience and helps participants discern the best ‘self therapist’within themselves, building and recognizing their ability. As time passes and PMI experience becomes more familiar, participants are able to expand their self awareness, grow as a person and as a therapist, and acquire substantial aid through PMI.-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문제 4 C. 용어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A. 음악과 심상(Music & Imagery; MI) 6 1. 음악과 심상의 정의와 특성 6 2. 예비 음악과 심상 치료사 8 B. 개인음악심상작업(Personal Music & Imagery; PMI) 10 1. 개인음악심상작업의 정의와 특성 10 2. 개인음악심상작업에서 음악과 심상 11 C. 자기인식 13 1. 자기인식의 개념 13 2. 예비 음악과 심상 치료사의 자기인식 16 Ⅲ. 연구방법 18 A. 연구 참여자 18 B. 연구 설계 및 절차 20 C. 자료 분석 23 D. 윤리적 고려사항 24 Ⅳ. 결과 및 논의 25 A. 개인음악심상작업을 통한 자기인식 경험 25 1. 개인 내적 영역 28 2. 음악적 영역 41 3. 전문가적 영역 47 4. 관계적 영역 49 B. 시간적 흐름에 따른 개인음악심상작업의 변화 52 1. 개인음악심상작업의 목적 53 2. 심상 및 음악 활용 55 3. PMI를 통한 인식 변화 58 C. 논의 63 Ⅴ. 결론 및 제언 67 A. 결론 67 B.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69 참고문헌 70 부록 79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84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개인음악심상작업(Personal Music & Imagery)을 통한 자기인식 경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perience self-awareness through Personal Music and Imagery(PMI)-
dc.format.pagev, 85 p.-
dc.contributor.examiner이진형-
dc.contributor.examiner송인령-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치료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