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9 Download: 0

거버넌스 중심의 대북통일정책 연구

Title
거버넌스 중심의 대북통일정책 연구
Other Titles
Governance-centered Unification Policy Research on North Korea
Authors
박은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대석
Abstract
The people of Korea are racially homogeneous, with their rich history and glorious civilization to be proud of. Such pride and spiritual heritage come from the achievement of Sejong the Great for inventing Hunminjeongeum, the Korean script, Admiral Yi Sun-Shin for the naval warfar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invention of metal type which is a century earlier than the Gutenberg's in Europe. The ethnic pride was high in the people of Korea who were living i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from one point in history,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the South and the North. Not long after the division came the tragedy of Korean War, brought by the North. Even after the ceasefire, ceaseless incidents occurred like the attack on Blue House, terrorist attack in Yangon, bombing of Korean Air flight 858, Bombardment of Yeonpyeong, and numerous missile launches. These unending provocations and threatening by the North have literally made the Korean Peninsula into a fratricidal war field without gunfire. The 70 years of division is manifestation of apprehension, conflict and antagonism between the people of Korea. Meanwhile, North Korea recently carried out 6th nuclear test, with the most formidable power ever, after its success i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CBM) launch. Not only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the surrounding countries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are alert to the issue. The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capable of devastating the humankind cannot be justified, for any reason. While all the nuclear weapons existing around the world are disasters and threats to the human being, those in a nation like North Korea, where everything is unpredictable and abnormal, are such a huge catastrophe, as the country is notorious for its severe violation against human rights, homicide of a uterine brother in a foreign territory, just for the maintenance of dictatorship. The launch of ICBM and the 6th nuclear test of North Korea has called for UN's response to adopt the Security Council resolution No. 2375 unanimously. The international society is moving swiftly ever, regardless to capitalism or communism camp, and speaking up for denouncement and sanctions. However, the situation is rather different, even when the people are directly, almost nakedly, exposed to the very threat of North Korea, which arouses futility and poignancy. There is the dispute over the "Redline", which is the respective expression of threat recognition as to how seriously North Korea's threat is being perceived. Also, USD 8 million worth of aid project for North Korea; and Korea's abstention on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stating the denouncement against North Korea; as well as the abolishment of a dedicated organization for North Korea's human rights problem by the Moon Jae-in government; followed by the opposition against the revival of the Humanitarian Cooperation Bureau in the Ministry of Unification, which is devoted to North Korean aid projects; are all that represent the conflicts in the political circle even in this desperately dangerous situation where no one knows when the war is going to begin due to the stringent provocation of North Korea.The revival of the Humanitarian Cooperation Bureau by the Moon government has again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consistency in the inter-Korean policy. The abolishment of the devoted organization for North Korea's human rights problem is something that gives a clue to the future direction in the Moon government's line of inter-Korean policy. Meanwhile, in these days where North Korea is shaking the world with apprehension and risk by the ICBM launch and the 6th nuclear test which is ever powerful, even though the Sunshine Policy by Kim Dae-Jung and Roh Moo-Hyun nor the Oppression Policy of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were clarified as failures in the inter-Korean policy to prevent the completion of North Korean nuclear weapon, both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parties are blaming on each other, avert from the all-party cooperation that will admit their anachronism and overcome the crisis.Due to the two conflicting evaluations as to the inter-Korean policies during the 10-year-long progressive regime and 9-year-long conservative regime, the fight among the political circle is also instigating various discords among generations, as well as between local communities, including that between people on the THAAD deployment. The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s in Korea, involving the North Korean problems, are also posing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the conflict management in the relationships with pro-North Korean countries like China and other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North Korea has brought up maximum tension in the Korean Peninsula by mentioning the red button and threats against the range of nuclear fire after its success in the 6th nuclear test and ICBM launch. Thereafter, North Korea, according to its meticulous peace roadmap, which it had possessed far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nuclear development and ICBM, took a sharp turn recently due to the fierce sanctions it faced. Of course, th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is what we have always wanted. But this was not for delusion, but for the genuine pacifism.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 new North Korean unification policy, which is just and realistic, and can overcome the flaws of past policies, capable of minimizing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involving the North Korean problems, in this situation where the assets of North Korean threat, like the nuclear and ICBM are well established.;우리민족은 유구한 역사와 찬란한 문화를 자랑스럽게 이어온 단일민족이다. 이러한 자긍심을 정신적 유산으로 깊이 간직하고 훈민정음을 창제하신 세종대왕의 공적과 임진왜란을 막은 이순신장군의 위대한 업적, 그리고 인류 최대의 문명의 시작점이고 발명품이라고 할 수 있는 금속활자를 유럽의 구텐베르크보다 한 세기나 먼저 발명한 것에 대한 민족적자부심을 너나없이 높이 기르던 한민족이었고 그러한 민족이 살고 있던 한반도였다. 그러나 한반도는 언제부턴가는, 그 무엇에 의하여 남과 북으로 불러지게 되었다. 남과 북으로 갈라진지 얼마 지나지 않아 북한에 의한 동족상잔의 6.25전쟁의 비극이 있었고 정전 후에도 청와대습격사건과 아웅산 테러사건, 그리고 대한항공기 폭파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 미사일발사 등 끊이지 않고 계속 되는 북한의 도발과 위협으로 하여 한반도는 말 그대로 동족을 상대로 한 총성 없는 전장으로 전락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남북으로 갈라져 어연 70여년이라는 긴 세월은 그야말로 한민족의 불안과 대립과 질시와 반목의 역사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런데 북한은 최근에 들어 대륙 간 탄도미사일발사시험성공에 이어 또 다시 역대 최대 괴력을 과시하는 6차 핵실험을 감행했다. 북한의 엄청난 도발에 한반도는 물론 주변 국가들과 국제사회는 촉각을 세우고 긴장하고 있다. 인류를 파괴할 수 있는 핵무기보유는 그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정당화할 수 없다. 세계에 존재하고 있는 모든 핵무기는 인류에게 재앙과 위협으로 되오나 특히 독재정권유지를 위해 주민들에 대한 잔인한 인권탄압은 물론이고 다른 나라의 영토 내에서 이부형의 살해도 서슴지 않는 북한과 같이 모든 것이 예측 불가능한 정상적이지 못한 국가에서의 핵무기 보유는 인류에게 큰 재앙이 아닐 수 없다. 북한의 대륙 간 탄도미사일 발사와 6차 핵실험에 대응하여 유엔은 핵실험 감행 후 7일 만에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안 2375호가 만장일치로 채택되는 등 국제사회는 자본주의진영과 공산주의진영을 가리지 않고 그 어느 때보다 발 빠르게 움직이면서 규탄과 제재의 강도 높은 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반면 북한의 위협에 가장 직접적으로 발가벗긴 채로 노출되어 있는 국내에서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허무하고 가슴 아픈 실정이다. 북한의 도발을 얼마나 위험하게 느끼고 있는 가에 대한 각자의 위협인지도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는 “레드라인”을 놓고 여야 간에 거센 공방을 벌리는가 하면 800만 달러 대북지원과 북한을 규탄하는 내용이 담긴 유엔결의안에 대한 한국의 기권, 그리고 문재인정부가 북한 인권 문제 전담기구를 폐지하고 대북 지원을 전담하는 인도협력국을 부활시킨 것에 대한 야당의 반발 등 북한의 엄중한 도발로 언제 전쟁이 터질지 모르는 절체절명의 위급한 상황에서도 정치권의 대립은 잦아질 줄 모르고 있다. 이번 문재인정부가 북한 인권문제 전담기구를 폐지하고 대북지원을 전담하는 인도협력국을 부활시킨 조치는 대북정책에 있어서 일관성의 중요성을 또다시 부각시켜 주었고 북한 인권문제 전담기구 폐지 및 대북지원 인도협력국 부활은 문재인정부의 대북정책방향에 대하여서 미리 예상해 볼 수 있게 해주는 대목이기도 한다. 한편 북한이 대륙간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와 역대 최대의 괴력을 과시하는 6차 핵실험을 감행하여 인류를 불안과 위험에 빠뜨리고 세계를 경악하게 만든 오늘날에 와서 볼 때, 김대중, 노무현정부의 햇빛정책이나 이명박, 박근혜정부의 압박정책 모두 북한의 핵 완성을 막지 못한, 대북정책에서의 실패임이 극명하게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진보진영과 보수진영은 그간 대북정책의 시행착오를 인정하고 위기를 극복할 초당파적인 협력은 뒤로 한 채 서로 남의 탓만 하고 있다. 이러한 진보정권 10년과 보수정권 9여 년 동안의 대북정책에 대한 상반된 평가로 인한 해묵은 정치권의 갈등은 사드배치를 놓고 대립되는 국민 분열을 비롯하여 우리 사회의 지역 간 갈등과 세대 간 갈등 등 여러 가지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북한 문제를 둘러 싼 국내에서의 정쟁 및 사회갈등은 북한문제와 관련하여 발생하게 되는 중국을 비롯한 친북국가들과 국제사회의 갈등관리에서도 커다란 악영향을 주고 있다. 6차 핵 실험과 대륙 간 탄도미사일발사시험성공이후 핵단추와 핵 타격 사정권 등 위협적인 발언을 쏟아내면서 한반도의 긴장을 최대로 끌어 올렸던 북한은 강력한 대북제재에 직면하게 되자, 그리고 이미 핵개발과 대륙간탄도미사일완성이후 기획했던 평화공세의 로드맵에 따라 최근 갑자기 평화모드로 급선회 하였다. 물론 한반도의 평화는 우리가 그토록 바라던 숙원이다. 하지만 그 간절한 숙원은 신기루 같은 환상과 이상이 아닌 우리 한반도의 진정하고 정의로운 평화인 것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완성된 핵과 대륙 간 탄도미사일 등 북한의 호전적인 위협자산이 구축되어 있는 상황에서 북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의롭고 현실적이면서도 북한 문제를 둘러싼 내부갈등과 외부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난 대북통일정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북통일정책을 모색하고 제시하는데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