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6 Download: 0

학령전기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언어성 작업기억훈련이 음운 인식, 단어 재인 및 작업기억과제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Title
학령전기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언어성 작업기억훈련이 음운 인식, 단어 재인 및 작업기억과제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 of Working Memory Training for the Pre-School Bilingual Children on the Phonological Awareness, Word Recognition and Working Memory Tasks
Authors
KIM YOON AH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As the importance of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is emphasized, the number of bilingual speakers in Korea is increasing. The number of preschools teaching English is growing year by year, as parents push their children to learn English at a younger age. In such an educational setting,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differ in their fluency regarding their first language. A prior study that investigating the cognitive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bilingual children is ongoing. This study has identified differences in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between bilingual children and monolingual children as a measure of working memory task performance. Working memo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higher cognitive systems such as in language learning. Whil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analyze the link between working memory and language,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domestic studies to provide the necessary basis for utilizing working memory as an intervention for children. The current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working memory training on bilingual Korean-English children aged 5-6 years old who were attending English language kindergartens and international institutes. Subjects were split into twelve working memory training group and twelve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no training. The procedure consisted of selection of subjects, pre-assessment, ten sessions of working memory training, and a post-assessment. The tasks performed in the pre- and post-assessment were a phonological awareness task, a word recognition task, and working memory tasks (non-word repetition, CLPT). The pre- and post-assessment of the training group was conducted 2-3 days before and after the working memory training, and the non-training group performed the pre - and post-evaluation assessments at the same intervals as the training group. A 3-way mixed ANOVA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 the phonological awareness task, the word recognition task, and the working memory tasks (non-word repetition). A 2-way repeated ANOVA was run for a post hoc analysis. A 2-way mixed ANOVA was also carried out to find difference between groups for true/false(CLPT) task and recall(CLPT) task respectively. The 3-way mixed ANOVA was conducted to identify response time changes between groups for the phonological awareness task, the word recognition task, and the working memory tasks (non-word repetition). The 2-way repeated ANOVA was conducted for a post hoc analysis. The 2-way mixed ANOVA was also conducted to recognize response time changes between groups for true/false(CLPT) task and recall(CLPT) task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onological awareness task between the working memory train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the former performing better.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times between the training and control groups, with the training group performing faster. This is consistent with the preceding study, which says that working memory training affects linguistic working memory abilities, so it may be worthwhile using working memory training to improve intervention effect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ility on the word recognition task between the working memory training group and the non-training group, with the training group performing better. This is consistent with the preceding study, in which word recognition is successful when the phonological awareness is performed smoothly at the phoneme and syllable level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assessment response times between the train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the word recognition task.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train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non-word repetition tas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train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Korean CLP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speed. The training group responded significantly faster on the Korean CLPT (both true/false task and recall task) where subjects were simultaneously assessed on their storage and processing power. This might be due to the training received in manipula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allowing subjects to perform more efficiently, consume less energy, and boost information processing. In addition, an English version of CLPT was also carried out to check the generalized effect on bilingual children. The results in response tim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ining group with an English CLPT (both true/false task and recall task). As the working memory training was done in Korean, this result may be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the training effects to English language performance. This study shows that working memory training affects the improvement of working memory skills related to language (phonological awareness and language processing) as well as response speed on information storage and processing. Working memory training, therefore, should be considered as a language intervention.;영어가 세계 공용어로서 갖는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국내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이중언어사용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제 2언어로 영어를 사용하는 이중언어사용자의 연령대가 낮아지면서 영어를 가르치는 유치원 수는 해가 갈수록 늘고 있다. 이러한 교육적 환경에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경우 모국어와 영어와의 유창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중언어아동의 언어습득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언어적 특성을 규명하는 선행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이중언어아동과 단일언어아동과의 언어 및 인지 발달차이를 작업기억과제 수행력으로 확인하였다. 작업기억은 인지적 영역을 실행하면서 언어 학습과 같은 상위 인지체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작업기억이 정보를 처리하는 작업기억용량과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선행 연구에 따라 언어성 작업기억훈련을 통해 작업기억과제 수행력 향상을 가져온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렇듯 작업기억과 언어와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작업기억훈련을 아동의 중재 자료로 활용하는데 필요한 근거를 제시하는 국내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만 5-6세 학령전기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을 대상으로 언어성 작업기억훈련을 실시하였을 때 음운 인식 과제, 단어 재인 과제 및 작업기억과제(비단어 따라 말하기 과제, 문장 폭 기억 과제)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언어성 작업기억훈련은 저장 및 처리의 조합능력을 평가하는 단어 폭 과제와 이중-처리작업조건 과제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영어 유치원 또는 국제 교류기관에 재학 중인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작업기억훈련 집단 12명, 비훈련 집단 12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절차는 대상자 선정, 사전 평가, 작업기억훈련(10회기), 사후 평가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사전 및 사후 평가에서는 음운 인식 과제, 단어 재인 과제 및 작업기억과제(비단어 따라 말하기 과제, 문장 폭 기억 과제)를 실시하였다. 훈련 집단의 사전 및 사후 평가는 작업기억훈련 2-3일 전·후에 실시하였으며, 비훈련 집단은 훈련 집단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사전 및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언어성 작업기억훈련에 따른 음운 인식 과제, 단어 재인 과제 및 작업기억과제(비단어 따라 말하기 과제) 수행력 변화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고자 3요인 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사후 검정으로 이원 반복 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문장 폭 기억 과제의 정오판단 과제와 회상 과제에 대한 수행력 변화는 이원혼합분산분석을 각각 실시하여 두 집단 간 사전·사후평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언어성 작업기억훈련에 따른 음운 인식 과제, 단어 재인 과제 및 작업기억과제(비단어 따라 말하기 과제) 반응속도 변화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고자 3요인 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사후 검정으로 이원 반복 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문장 폭 기억 과제의 정오판단 과제와 회상 과제에 대한 반응속도 변화는 이원혼합분산분석을 각각 실시하여 두 집단 간 사전·사후평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작업기억훈련 집단과 비훈련 집단 간 음운 인식 과제 수행력은 훈련 집단이 사전·사후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반응속도에서도 훈련 집단이 사전·사후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작업기억훈련 집단과 비훈련 집단 간 단어 재인 과제 수행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자소와 음소의 대응 지식에 관련된 음운 인식이 원활히 이루어지면 단어 재인이 정확히 이루어진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한다. 그러나 단어 재인 과제 반응속도에 있어 훈련 집단과 비훈련 집단 간 사전·사후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비단어 따라 말하기 과제에서 훈련 집단과 비훈련 집단 간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문장 폭 기억 과제(정오판단 과제 및 회상 과제)에서 훈련 집단과 비훈련 집단 간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반응속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저장 및 처리 능력을 동시에 평가하는 문장 폭 기억 과제에서 반응속도 차이는 훈련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이는 언어성 작업기억훈련이 정보의 조작 및 처리에 관여함으로써 훈련 아동에게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빠른 처리를 가능케 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이중언어아동을 대상으로 한 일반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영문 문장 폭 기억 과제도 함께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영문 문장 폭 기억 과제(영문 정오판단 과제 및 영문 회상 과제)의 반응속도차이는 훈련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언어성 작업기억훈련이 한국어로 제시되었음에도 영어로 실시된 작업기억과제 평가에서 훈련 집단이 사후 평가에서 빠른 반응속도를 보였다는 점은 언어성 작업기억훈련의 일반화로 해석된다. 본 연구를 통해 언어성 작업기억훈련이 음운 인식 및 언어 처리와 관련된 작업기억능력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정보의 저장과 처리 속도에도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언어성 작업기억훈련이 언어 중재 자료로서 고려될 근거를 제시하는데 의의를 가진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