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3 Download: 0

중등 사회과 교사의 융복합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경험 분석

Title
중등 사회과 교사의 융복합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경험 분석
Authors
박유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윤정
Abstract
By looking at the social studies teachers’recognition on convergence education and experience in adapting new way of teaching methods, this study has interpreted difference between original dialogic process of social studies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what difficulties we face in the process of adapting this new curriculm. In order to do this, the interview of ten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had been carried out. Several implications had been discovered as below. Some had understanding ‘convergence education’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in a similar context, while the rest recognized both as a complete different concept. This study interprets the result comes from the teachers’ different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is revised curriculum. Also, the teachers pointed out inconsistency and inefficiency in providing training sessions for teachers and teaching materials under this newly revised curriculum by the government. Teachers were positive that if only improvements are made to these attempts, they assured this curriculum will be effective for the students in the near future. Meanwhile, it was surp.rising to figure out, the teachers themselves did not realize they were actually very much involved in applying new attempts in their actual class, in alignment with the revised curriculum. This suggests teachers are ready to get actively involved when curriculum, teaching, and evaluation forms integration under the support and guidance by the Education Office. More detailed solution are as followed. First, there must be a clear understand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revised curriculum’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by the teachers. Secondly, the number of teachers’ training sessions regarding ‘Integrated Social Studies’ should be increased. Thirdly, the textbook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should be reviewed and revised at a regular base. Finally, revised curriculum’s evaluation system should also be revised. So that, the curriculum forms consistency with college admission flow in Korea.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의 융복합 교육에 대한 중등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 및 경험을 살펴보고, ‘통합사회’의 도입으로 기존의 분과적 사회과 교육과 비교해봤을 때 달라진 점, 실현형태 및 장애요인이 무엇인지를 현직 중등 사회과 교사들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직 통합사회 과목을 가르치는 고등학교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융복합 교육 및 통합사회에 대한 인식과 사회과 교육에서의 융복합 교육과 통합사회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회과 교육에서의 융복합 교육과 통합사회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조사를 통해 ‘융복합 교육’과 ‘통합사회’를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하고 있는 교사와 전혀 다른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는 교사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는 개정 교육과정의 목적 및 취지의 인식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한편 참여자들은 통합사회 교과서 구성과 연수 및 자료제공 면에서 도입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부족한 점이 많다고 보았다. 하지만 ‘통합사회’ 도입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본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개선이 뒤따른다면 학생들의 융복합적 사고력과 탐구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보는 긍정적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교사들은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에서 통합의 의미를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과정의 목표 하에 다학문, 학제적 통합, 초학문적 통합 등의 다양한 의미로 해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통합사회 교과서 구성면에서 통합이 미흡하다고 보았으며,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체계화된 자료 등이 부족하다고 느꼈다. 셋째, 교사들은 통합사회가 기존 사회과 교육과 크게 다르다고 느끼진 못하였지만, 주로 강의식 수업을 진행하던 교사들도 통합사회의 도입으로 활동수업을 하기 시작함으로써 교수학습방법이 변화하였다. 넷째, 교사들은 융복합 교육의 실현에 있어 통합사회 과목이 출발점이 될 수 있을지에 의문을 제기하였지만, 인터뷰 결과 10명 중 6명은 통합사회 과목이 융복합 교육의 기조를 이어가는 매개체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러 가지 개선이 뒤따를 때 융복합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첫째, 교육과정의 개정에 현장 교사들의 목소리가 최대한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연수의 양적 및 질적 향상과 교사 스스로의 수업재구성을 위한 노력, 셋째, 통합사회 교과서의 수정 및 보안, 넷째,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과 연계된 평가제도 및 대입과의 연계성 확보 등을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