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10 Download: 0
2015 개정 통합사회의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질적 분석
- Title
- 2015 개정 통합사회의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질적 분석
- Other Titles
-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2015 Revision Social Studies Education
- Authors
- 이주영
- Issue Date
- 2018
- Department/Major
-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최민식
- Abstract
- 오늘날 우리의 삶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풍요로워 졌지만 그 이면에는 돌이킬 수 없이 파괴된 자연환경과 고갈된 자원문제가 남아있다. 이러한 환경 문제는 현재 세대의 생존만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미래 세대의 생존권까지도 위협하고 있다.
우리에게 미래 세대가 이 땅에서 안전하고 평화롭게 생존할 자유를 빼앗을 권리는 없다. 이에 1972년 로마클럽을 시작으로 국제 사회는 환경과 개발의 문제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환경 문제로 시작한 국제 사회의 논의는 현재 현 세대와 미래세대를 위해 인류가 함께 노력하여 달성해야 할 운명적 과제로 경제발전, 환경보존, 사회적 평화를 전체적(holistics)으로 실현하기 위해 생산, 소비, 교육, 문화, 생활 전반에 걸쳐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해 무엇보다 사람들의 태도와 가치관의 변혁을 전제로 삼고 있기 때문에, 교육을 통한 의식 개혁을 가장 중요하고 우선적인 과제로 두고 있다.
따라서 유엔은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DESD)’으로 지정하고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국제적 차원으로 장려하고 있다. 그리고 2015년 9월 제 70차 유엔총회에서 그동안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경험을 바탕으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를 채택해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17가지 목표를 제시했는데 목표 4번은 ‘모두를 위한 포용적이고 공평한 양질의 교육과 평생학습 보장’으로 세부목표 4.7은 “2030년까지 모든 학습자들이 지속가능발전 및 지속 가능 생활 방식, 인권, 양성평등, 평화와 비폭력 문화 증진, 세계시민의식, 문화 다양성 및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문화의 기여에 대한 교육을 통해, 지속가능발전을 증진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구체적인 행동으로 실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로 두고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EDS)이 전 세계인이 추구해야 할 가치와 목표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다.
우리나라 역시 ESD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노력을 진행 중인데 특히 학교 교육에서 2007년 교육과정 이후 범 교과 학습으로 총론에 명시된 것을 시작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육 활동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다루도록 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은 현 세대와 미래 세대 모두의 지구적 삶을 위해 가치⦁태도(행동)의 변화를 목표로 두고 있기 때문에 교과 교육 어디서든지 가능하지만 특히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사회과가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다. 특히 학생의 태도(행동)의 변화를 목표로 삼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은 민주 시민적 태도 향상을 목표로 하는 사회과의 교육목표와도 일치한다.
특히 2015 개정 통합사회의 교과목표는 “인간, 사회, 국가, 지구 공동체 및 환경을 개별 학문에 경계를 뛰어 넘어 통합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초 소양과 미래 사회의 대비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한다.”로 “통합적 관점”과 “필요한 역량을 함양한다.”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목표와 일치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1학년 통합사회 교과서 5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통합사회 교과의 성취기준과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 내용을 비교 분석하고 통합사회 교과서 내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해 비판적 담화 분석(CDA)을 시도했다. CDA의 기법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체계 기능 언어학(SFL)의 관념적 메타 기능을 사용한다.
이 분석 방법은 텍스트에서 ‘누가 무엇을 누구와 함께 언제 어디서 어떻게’ 하는가를 탐색하는 방법으로 학생들이 인간과 환경, 지구 공동체와 국가의 관계를 파악하고 지속 가능한 삶을 살기 위해 개인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에 효과적이다.
연구의 결과 통합사회 성취기준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주제는 9개가 유사했다. 사회적 영역이 7가지로 가장 많고 환경적 영역이 2가지, 경제적 영역이 1가지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 문제, 인권, 문화, 세계화, 평화, 통일, 자원 등은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 내용과 일치도가 높아 사회과 수업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범 교과 주제로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체계 기능 언어학(SFL)으로 분석한 결과 통합사회 교과서 5종 모두 현재 우리가 당면한 전 지구적 차원의 환경 문제의 원인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같은 성장위주의 정책이라고 밝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제안한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각 주체들의 역할은 교과서 별로 서술방식의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국제적 차원으로는 각종 국제기구나 국제 협약을 통한 국가 간의 협력을 강조하고 정부 차원에서는 합의한 국제 협약의 내용을 준수하고 국가 내부적으로 다양한 제도와 정책을 마련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다만 일부 교과서는 국제적 차원의 협력이나 국가의 제도 마련을 환경적 차원이나 환경과 경제의 조화라는 기존의 지속 가능한 발전의 관점으로만 서술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어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개인적 차원의 노력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안을 제시 하지만 이를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측면으로 구분하지 않고 서술하거나 환경적, 경제적 측면에 비해 사회적 측면의 노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그리고 학생이 세계시민의 차원에서 할 수 있는 행동(노력)은 2개 교과서만 제시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15 개정 통합사회 교과서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지금까지 시장 중심의 경제정책이 우리의 삶을 풍족하게 만든 것은 사실이나 성장의 한계에 직면한 지구의 삶에도 관심을 기울어야 한다. 지구 공동체에서의 생존이 불가능해지면 지금까지의 성장은 무용지물이 된다. 그러므로 통합사회 내 경제 단원에서 개인의 합리적 의사결정과 함께 사회, 환경과의 조화를 강조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경제적 관점의 일부를 교육할 수 있다.
둘째, 최근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세계 시민 교육으로 그 영향을 확대하고 있다. 우리 사회과 교육 역시 민주 시민성을 국가 차원에서 국제적 차원으로 확대하고 있으므로 사회과목의 하나인 통합사회에서도 시민성 교육을 위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일부를 활용할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이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지구 공동체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를 줄 수 있는 다양한 사회과 교수 방법 개발이 강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업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전개될 수 있도록 예비 교사나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연수 기회가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sustainable development is described in these the 2015 Revision Social Studies Education textbooks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 of the analysis and the core subject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ere used.
Finding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more social factors than environmental and economic factors.
Personal efforts to creat a sustainable society also need to be introduced in more detail.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