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8 Download: 0

에곤 실레 작품에서 본 미술치료적 의미 고찰

Title
에곤 실레 작품에서 본 미술치료적 의미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t Therapeutic Meaning in the Artworks of Egon Schiele : Centered on the Klein's Object relations Theory
Authors
임다운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미술은 이미지를 통해 내면세계를 보여주는 자기표현 방식으로 창작자는 감각적 수준에서 작품에 자신의 생각, 감정, 지각을 표현하여 자기 직면과 성찰, 변화의 가능성을 얻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20세기 태동되었던 표현주의 미술은 19세기 말 출현했던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에 영향을 받았으며, 고전 미술이 추구했던 대상 재현의 전통에서 벗어나 인간의 심리와 감정 묘사에 관심을 두었다. 따라서 표현주의 화가들은 시대적 상황과 개인의 내면에서 촉발된 불안과 갈등을 자신만의 독특한 표현법으로 드러내며 심리적 안정을 추구하였다. 실레는 이러한 표현주의의 정신과 목적을 충실히 이행한 20세기 표현주의 화가로 다양한 주제의 작품을 제작하며 스스로의 내면을 끊임없이 탐구하고자 했고 이를 통해 불안과 갈등을 진정시키려 노력하였다. 실레는 유년 시절 성병으로 인한 아버지의 광기와 죽음, 형제자매의 죽음을 경험했으며, 아버지의 죽음에도 냉담한 어머니와 장기간 갈등을 빚는 등 불우한 가정환경 속에서 자랐다. 또한 그는 누드모델과의 혼전 동거와 선정적인 작품을 그린 죄로 투옥되는 비극적 경험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레는 죽기 전까지 미술을 놓지 않았고 끊임없는 작품 활동으로 스스로의 내면을 탐구했으며 말년에 이르러 심리적으로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실레가 그린 작품들의 변천사와 심리적 변화를 클라인의 대상관계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미술치료의 핵심적 매개인 미술의 치유적 속성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개인의 관계의 변화가 작품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미술치료적 의미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실레의 작품과 심리를 클라인의 대상관계 이론에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레는 아버지의 죽음과 관련한 대상관계 결핍으로 나르시시즘과 죽음 본능 그리고 성의 파괴성에 몰입하였던 것으로 추측되며 이러한 심리가 자화상과 파괴적 성향의 작품들로 나타났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레는 열악했던 초기 양육 환경과 어머니의 냉담함으로 인해 자위행위를 시도하고 어머니를 분열하였을 수 있으며 이로부터 촉발되는 편집분열적 불안과 갈등이 어머니 시리즈를 중심으로 표현되었을 수 있다. 하지만 실레는 어머니를 대신했을 수 있는 안정적인 상대인 발리와의 관계 경험을 축적하고 작품에 표현하게 되면서 대상관계 결핍에서 비롯된 심리적 초상을 직면하고 재구성하는 우울적 자리로 이행하였을 수 있다. 따라서 실레는 에디트와 결혼한 이후 분열되었던 대상들을 통합하고 사랑할 수 있는 객관적 시각과 정신적 성숙을 획득하여 작품 속 인물들을 평화롭고 사실적인 방식으로 그려냈을 수 있다. 이상의 연구에서 실레의 작품과 심리의 변화를 통해 살펴 본 미술의 치유적 속성은 다음과 같다. 미술은 개인의 심리적 어려움을 담아줄 수 있는 그릇이자 내면 정서를 반영해주는 거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은 미술작품에 자신의 무의식적 갈등을 작품으로 외현화하고 승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객관적 시각에서 내면을 성찰하고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실레가 안정적이고 지지적인 인물인 발리와의 관계 이후 작품의 변화를 보였다는 것은 미술치료 환경에 있어 내담자와 치료사가 맺는 관계의 중요성을 시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내담자는 미술치료사와의 관계를 통해 결핍되었던 초기 관계를 탐색하고 보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적 변화와 성장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Art is the method for self-expressing one’s inner world. The creator expresses one’s thought, emotions, senses at the sensible level into one’s art to confront oneself’s reflection and possibility to change. Especially, expressionist art which started at 20th century has been affected by Freudianism. It escaped from subject reproduction that the classic art has been pursuing and focused on human psychology and expressing emotions. Therefore, expressionists revealed their anxiety and inner conflict during the end of an era through their unique way of expression to pursue psychological stability. Schiele is Freudianism artist who has served Freudianism’s spirit and the purpose. He constantly created an art based on the various topics to research inner-self and to calm anxiety and the inner conflict. Schiele experienced father’s lunacy from venereal disease and the death of brothers and sisters during the childhood and raised in the underprivileged family background with his mother who kept callous attitude despite of the father’s death. Also, due to premarital cohabitation with the nude model and making lewd work, he also tragic experience of being imprisoned in a jail. Nevertheless, Schiele never gave up art in his death and researched his inner world through constant art making and finally reached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 twilight of his lif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Schiele’s work history and psychological changes through Klein’s object relations theory and seek art’s healing attribute, which is the key parameter of the art therapy. This research also aims to cover the meaning of art therapy by looking into how the changes of personal relationship had affected the changes in his works. Due to this purpose, the result of researching Schiele’s work and the psychology by the object relations theory is as follows. There is a speculation that Schiele has been immersed in a narcissism, death, instinct and sexual destructibility because the lack of object relation on his father’s death. His unstable psychological status appeared as the self-portrait in the works of destructive propensity. Likewise, Schiele tried masturbation due to inferior early caring environment, mother’s coldness and being separated from her and paranoid-schizoid anxiety stirred from all the situations played as the main theme in his “mother”series. But after Schiele had earned relation experience from stable partner, Wally and starting to expressing them on his works, he seemed like to faced with psychological portrait on his lack of object relations and fulfilling and restructuring his depressive position. Therefore, Schiele could have drawn the people in the works as peaceful and realistic way after the marriage with Edith and integrated split objects and earned the possibility of cure on the basis of mental maturity and relational growth.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on the “healing” attribute of art-therapy through artwoks of Schiele and chages in his psychology. Art can serve as the conceptual container for one’s internal conflicts and challenges while function as the mirror to reflect one’s psychological state at the same time. So the individual can externalize and sublimate one’s unconscious conflicts through the work, so they can self-examine and find possibility to change in the objective point of a view. Furthermore, the fact that Schiele has made changes in his works after starting relationship with stable and supportive partner, Wally, explains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 and the therapist. From this perspective, the client can search and supply deficiency in one’s early stage relationship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art therapist and get support on inner change and the grow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