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7 Download: 0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기술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Title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기술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Other Titles
A Single Case Study on Group Art Therapy for the Social Skills of Special Class Student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echnical Fields
Authors
최윤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기술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변화과정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특수학급 2학년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집단미술치료의 진행은 S시에 위치한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미술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개별학습실 내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기간은 2017년 8월부터 2017년 10월 까지 이며, 일주일에 1~2 회, 회기 당 80분씩 총 11회기를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고, 미술치료 석사학위 전공생 한 명이 진행을 보조하였다. 연구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동적학교생활화(KSD)와 교사용 사회적 기술 척도(SRSS)의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하였으며 통계 패키지인 SPSS 25.0을 사용하여 t-검증 처리하였다. 또한 회기별 관찰 내용, 축어록, 연구자의 연구일지를 수집하여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기술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용 사회적 기술 척도(SRSS)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에 의하면, 집단미술치료가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기술의 하위영역 중 자기주장에는 유의미한 변화를 주지 못하였으나 협력과 자아통제는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동적학교생활화(KSD)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전검사에서는 수업시간에 공부하거나 엎드려 누워있는 모습을 그렸고, 인물 간의 상호작용이 거의 없으며 인물 간의 거리가 멀리 배치되어 있었다. 또한 인물이 한쪽으로 치우쳐 작게 묘사되어 있어 고립감이 느껴지며 경직된 자세로 있어서 학교생활에 부적응적인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후검사에서는 친구와 함께 운동을 하거나 미술작업을 하며 상호작용 하는 모습이 표현되었고, 인물간의 거리가 가까워 졌다. 인물이 적절한 크기로 배치되어 있으며 즐겁게 웃고 있는 표정이 나타났고 즐거운 분위기라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동적학교생활화 검사에서 긍정적인 사회적 기술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집단미술치료 내 사회적 기술 행동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집단미술치료 초기에는 자신의 감정과 상황을 언어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책상에 엎드려 있거나 방관하였다. 재료를 부탁하거나 도움을 요청하지 못했으며 대화를 이어나가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다른 참여자의 괴롭힘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으며, 미술재료를 과도하게 많이 쓰거나 갑자기 소리를 지르는 등의 충동적인 행동이 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의 후기에는 자신의 긍정적인 감정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감정까지 언어적으로 표현하며 자연스럽게 대화를 이어나갔다. 공동의 목표를 위해 서로 의견을 나누며 정서적으로 교류하는 집단지향적인 행동이 관찰되었다. 또한 다른 참여자의 제안을 받아들이고, 괴롭힘에 대해 적절히 대응 하였으며, 미술재료를 과도하게 많이 쓰거나 소리를 지르는 등의 충동적인 행동을 스스로 관리하고 통제해 나갔다. 이는 협동작업 위주로 구성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내에서 사회적 기술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고,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조절하고 적절히 타협해 나감으로써 사회적 기술 행동 증진에 영향을 미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process of changes of group art therapy in the social skills of special class student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echnical fields. For this purpose, six disabled students who were eleventh-graders in a special class of a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echnical fiel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Group art therapy was performed in a separate classroom during art class for the special class of Technical High School in S cityl. Assisted by a student in the master’s course in art therapy, the researcher personally conducted the study in a total of 11 sessions―1-2 sessions a week, 80 minutes per session―from August to October 2017. To analyze the results, pretest and posttest were performed by using Kinetic School Drawing (KSD) and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for teachers, and t-test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of SPSS 25.0. The observations in each session, the list of abbreviations, and the researcher’s journal were collected to examine the changes made by group art therapy in the social skills of special class student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echnical fields.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the pretest and posttest using SSRS for teachers found that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the special class student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echnical fields. Group art therapy made no significant change in self-argument among the sub-areas of the social skills of the special class student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echnical fields but significantly improved cooperation and self-control. Second, KSD found that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the special class student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echnical fields. In the pretest, they drew characters studying or lying on their face in class, with the characters making almost no interaction among them and being distant from one another. The small characters clustered on one side, giving a feeling of isolation, and their stiff posture confirmed they were maladjusted to school life. In the post test, they expressed interaction with peers through exercise or art work, with the characters closer to one another. The characters who were proper in size were well distributed, enjoying a good laugh, and the students described that they were merry. Therefore, KSD could confirm the positive changes in the social skills. Third,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ly skilled behavior of the special class student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for technical fields. In the beginning of group art therapy, the students made no verbal expression of their own emotions and situations and lay on their face or looked on. They failed to ask for materials or help and to keep up the talk. They also failed to cope properly with other participants’bullying, and made impulsive behavior, such as overuse of materials or a sudden yell. At the late stage of group art therapy, they made verbal expression of their own emotions and situations and asked a favor of one another. They made verbal expression of their own negative emotions as well as positive ones and kept up the talk naturally. Group-oriented behavior by which they shared opinions and made emotional interaction for a common goal was observed. They accepted others’ suggestions, coped well with bullying, and regulated and controlled impulsive behavior, such as overuse of materials or a sudden yell, for themselves. This is becaus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collaboration provided chances to put social skills in practice and the efforts to control their own emotions and needs and make a compromise with the aim of achieving the common goal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in the social skil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