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3 Download: 0

고등학교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패러디 교육 방향 연구

Title
고등학교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패러디 교육 방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irections for teaching parody in modern novel education in high school
Authors
박지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본고는 고등학교 문학교육에서 패러디 교육이 미비하게 다루어진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2011 개정 국어교과서와 2015 개정 문학교과서를 분석하여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패러디 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패러디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비판적·창조적 사고역량’, ‘문화향유 역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패러디는 기존의 원텍스트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요소별로 세밀하게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자신만의 관점으로 비판적으로 살펴보는 비판적 사고력과 태도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패러디스트는 새로운 창작물로서의 패러디 텍스트를 창조해야 한다. 모방과 창조의 이중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패러디 기법은 새로운 창작을 수행하는 데에 부담이 있는 학습자들에게 원텍스트의 틀을 제공함으로써 문학 창작에 수월하게 다가가도록 도와준다. 패러디가 가지고 있는 교육적 이점들은 국어교과에서 패러디 교육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에 본고는 문학교육에서 학습 자료로 사용되는 국어과 교과서를 분석함으로써 문학교육의 패러디 요소를 분석하고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패러디 교육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1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된 문학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된 국어교과서를 선정하였다. 고등학교 문학교육에서의 패러디 요소 분석의 경우, 서정, 서사, 교술, 극 갈래의 문학 전 영역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제시된 패러디 소설교육의 의의와 한계, 교육 방향 제시는 소설 갈래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단원, 문학 제재, 학습 활동의 세 측면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여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패러디 교육 방향을 살펴보았다. 본고는 현대적인 개념의 패러디 정의를 받아들여 원텍스트를 향한 조롱이나 회화화의 의도를 벗어난 상호텍스트적 특징을 가진 패러디의 개념을 받아들였다. 린다 허천이 강조한 패러디 개념인 ‘아이러닉한 초문맥성과 전도에 있어서 차이를 가진 반복’을 받아들였으며, 당대의 이데올로기에 따라 새롭게 해석하는 것을 핵심으로 보았다. 이러한 패러디 개념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문학교육에서의 패러디 요소를 단원, 문학 제재, 학습 활동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단원 및 문학 제재 분석은 패러디 개념의 정의, 단원, 문학 제재의 세 측면으로, 학습 활동 분석은 패러디 이해활동, 패러디 창작활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패러디 소설 교육의 의의 및 한계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패러디 소설교육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패러디 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패러디 개념 및 범주를 명확히 해야 한다는 점, 패러디 교육을 위한 제재를 확대해야 한다는 점, 수용과 창작 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증대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 수용과 창작 활동의 교육적 효과 증대는 패러디 원리를 적용한 이해활동 설정, 패러디 창작활동의 교육적 효과 제고, 창작 활동 구성의 다양화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패러디 창작활동의 교육적 효과 제고를 위한 패러디 교육 방향으로 심층적 사고를 위한 모방적 패러디의 강화, 주체적 수용을 위한 비판적 패러디의 확대를 제시하였다. 본고는 현대소설 교육의 패러디 교육 방향 제시를 위해 고등학교 문학교육 전체 장르를 대상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해보았으며 단원, 문학 제재, 학습 활동의 세 측면에서 교과서를 상세하게 분석하여 패러디 교육의 다양한 양상을 확인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편, 본고는 고등학교 문학교육에서의 패러디 개념 교육의 중요성과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패러디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지만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보여주지 못한 한계를 갖는다. 이에 고등학교 현대 소설교육의 패러디 교육에 있어서 실제적으로 교과서에서 활용될 수 있는 패러디 교육방안을 다루는 논의로 나아가기를 기대한다.;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rections for teaching parody in modern novels by analyzing Korean textbook in the 2011 revised curriculum and literature textbook from the 2015 revision with awareness that parody education is inadequate in high school literature classes. Parody is closely related to the capability to “think critically and creatively” and “enjoy culture,” which ar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Learning parody requires a process of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original text and critical thought as well as attitude that understand each element of the parody in detail with the perspective of one’s own. Parodists need to create a text of parody as a new cre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e technique of parody, with two aspects of imitation and creation, helps learners, who feel burden when creating something new from scratch, approach literary creation more easily by providing the frame of original text. Such educational benefits of parody show the necessity of it in the Korean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extbooks of Korean, used to teach literature in class, and discuss the elements of parody in literature education to suggest ways to teach parody more effectively as part of modern novel education. To conduct research, Korean textbook in the 2011 revised curriculum and literature textbook from the 2015 revision have been selected. When analyzing the elements of parody in high school literature education, different styles across the genres — lyrical, narrative, didactic, and instructional, and dramatic— were examined. The scope was limited to novels in presenting the meaning,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educatio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re analyzed in three aspects, such as units, literary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to discuss the ways of teaching parody in the education of modern novels. This paper embraced the concept of parody characterized with intertextuality without the intention of mocking or travesty of the original text based on the modern definition of the term. Linda Hutcheon’s definition as “repetition with a difference in ironic trans-contextualization and subversion” was also adopted and new interpretation according to contemporary ideology is regarded crucial. Based on this concept, the elements of parody in the high school literature education, such as units, literary material, and learning activities are analyzed. The analysis of the units and literary materials was conducted in three aspects of definition of parody, units, and literary materials. Learning activities are analyzed in two parts such as understanding parody and creating parod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novel education through parody a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 Also, educational directions for teaching parody in modern novels are suggested as follows: the concept and categories of parody should be clarified; the materials for teaching parody need to be expanded; understanding and creating activities should be more educationally effective.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ffect of the understanding and creating activities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setting up activities for understanding based on the principle of parody, enhancing educational effect of parody creation activities, and diversifying the creating activities. As directions for parody education to make creating activities more effective, it was suggested to strengthen imitative parodies for in-depth thinking and expand critical parodies for independent recep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curriculum and textbooks of high school literature education were analyzed across all genres in order to present directions for parody education and textbooks are analyzed in detail in three aspects including units,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to look at various facets of teaching parody.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as it only presents general directions for parody education and stresses the importance of teaching parody in high school literature class but failed to provide concrete measures. It is hoped future researchers would discuss educational measures to be applied in the textbooks in teaching parody of modern novels in high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