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2 Download: 0

고등학교 심화 수준의 '표준 발음법' 교육 내용 연구

Title
고등학교 심화 수준의 '표준 발음법' 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rules of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for an advanced level of high school
Authors
박영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value of standard pronunciation as a material for the formation of grammatical knowledge, and to identify and utilize the provisions to explore the methods of standard pronunciation education. Until now,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education has focused on "correct pronunciation” itself and therefore memorizing the rules for standard pronunciation. Consequently, the standard pronunciation was just recognized as a manual rule. However, by using the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learning about phonology can be done in depth, especially in phonology units. It is also possible to expand the value of the utilization of the standard pronunciation with units other than the phonology un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standard pronunciation can be used as grammatical interpretation text and to provide specific methods for educational use. In chapter Ⅱ-A of this study, an educational approach was sought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tandard pronunciation. Standard pronunciation is characterized as a norm, a subject of phonology and an object of inquiry. The guidelines for standard pronunciation education are proper correct pronunciation education, grammatical principles education, and comprehensive exploration education. In chapter Ⅱ-B of this study, conducted a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to review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in standard pronunci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ducation of the current standard pronunciation presented to the learning activity a clause in which there exists a gap between the pronunciation of reality and the standard pronunciation itself. Also,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 on current standard pronunciation was focused on regulation-oriented learning by selecting clauses that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phonology. Also, learning activities focused on right and wrong pronunciation, which allowed us to see aspects where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were not used as a grammatical interpretation material.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Chapter III-A intend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the use of standard pronunciation in phonology and for the use of independent organization. Chapter III-B divided the standard pronunciation clause, which can be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into the utilization clauses in the phonology section and the utilization clauses in the composition of independent units. After the selection of a clause, the areas of meaning for the grammatical interpretation of the selected clause were subdivided into sections. When standard pronunciation is used within the phonology, it is first possible to use the clause in grammatical terms through its connection with phonology.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a clause in which the actual pronunciation differs from the standard pronunciation as a source of inquiry. Next, the meaning of the grammatical interpretation when standard pronunciation is composed of independent units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clause are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Therefore, it is used to distinguish phonology by phonological constraints from phonology by morphological principle. Next, I have discussed an understanding of correct pronunciation and constructive aspects of the standard pronunciation. In chapter Ⅳ, detail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presented in the analysis of textbooks for classifying various areas of meaning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standard pronunciation. In section A of this chapter specifies the methods of teaching standard pronunciation in the phonology section. The possibilities of learning were divided into ‘learning the phonology system through an explanatory teaching method’, ‘learning phonological principle using knowledge recognition models’, ‘learning the difference between reality pronunciation and standard pronunciation through inquiry learning’. In section B of this chapter, when the standard pronunciation method was organized as an independent unit, the possibilities of learning were divided into ‘the study of distinctive learning of phonology’, ‘Correct pronunciation learning through problem solving learning’, ‘learning about problems in content composition’. Also the method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 specifi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activitie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has failed to reveal the actual educational effect of grammar education using the standard pronunciation clause. There is also the difficulty of generalization that only the provisions chosen in this book will be educational. However, based on the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preceding study of the standard pronunci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standard pronunciation clause, which is worthy of grammatical interpretation, was selected and that the methods of exposing it to learners were explored and presented in the sense of finding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this discussion, the study of pronunciation education can develop learners ' ability to actively explore grammatical phenomena,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the resulting goals with correct pronunciation.;본 연구의 목적은 문법적 지식 형성의 자료로서 표준 발음법의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고 조항을 선별 및 활용하여 표준 발음법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표준 발음법에 대한 교육은 표준 발음법에 대한 규정 자체를 중심으로 ‘올바른 발음’에 초점을 두고, 표준 발음에 대한 규정을 암기하는 학습 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이에 따라 표준 발음법은 그저 수동적으로 받아들여야 할 어문 규범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표준 발음법 규정을 활용하여, 음운 단원에서 특히 음운 변동에 대한 학습을 깊이 있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음운 단원뿐만 아니라, 단원 외 구성으로 표준 발음법의 활용 가치를 확장할 수 있다. 이렇듯 표준 발음법을 문법적 해석 텍스트로서 활용할 수 있음을 밝히고 교육적 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Ⅱ장 A절에서는 표준 발음법의 특성 고찰을 통해 교육적 접근 방향을 모색하였다. 표준 발음법은 준수해야 할 규범으로서의 성격, 음운 규칙 설명의 대상, 탐구의 대상으로서의 특성을 갖는다. 이를 통해 모색할 수 있는 표준 발음법 교육의 방향은 올바른 발음 교육, 문법적 원리 교육, 종합적 탐구 교육으로 밝혔다. Ⅱ장 B절에서는 교육과정 분석과 교과서 분석을 실시하여 표준 발음법의 교육 실태를 검토하였다. 분석의 결과 현행 표준 발음법에 대한 교육은 현실 발음과 표준 발음의 괴리가 존재하는 조항을 학습 활동에 제시하고, 음운 단원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조항들을 선정하여 규정 중심의 학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 활동은 이분법적 사고를 조장하는 옳고 그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표준 발음법 규정을 문법적 해석의 탐구 자료로서 활용하고 있지 못한 양상을 살필 수 있었다.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속성에 따른 표준 발음법의 교육 내용 범주 구분을 위해 표준 발음법 교육 내용의 속성별 구분의 필요성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표준 발음법 조항을 음운 단원 내 활용 조항과 표준 발음법 독립 단원 구성 시 활용 조항으로 나누어 선정하였다. 조항을 선정한 후에, 선정한 조항의 문법적 해석의 의미 영역을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 것인지 세분화하였다. 표준 발음법을 음운 단원 내에서 활용할 때, 먼저 음운 지식과의 연계를 통해 음운 지식을 체계화할 수 있다. 이는 음운 체계에 대한 지식 이해와 음운 변동의 규칙성 이해, 표준 발음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통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표준 발음법을 독립 단원으로 구성했을 때의 문법적 해석의 의미 영역을 분류하였다. 음운 변동 규칙의 생성 원리 구분, 올바른 발음에 대한 이해, 표준 발음법 구성에 관한 거시적 탐구를 통해 통합적 문법 체계를 형성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표준 발음법에 대한 해석의 다양한 의미 영역을 분류한 것에 대한 구체적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Ⅳ장의 A절에서는 음운 단원 내 표준 발음법 교육 방안을 구체화하였다. 이는 ‘설명적 교수 방법을 통한 음운 체계 학습’, ‘지식 인지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음운 변동 원리 학습’, ‘탐구 학습을 통한 현실 발음과 표준 발음의 괴리 학습’으로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Ⅳ장의 B절에서는 표준 발음법을 독립된 단원으로 구성했을 때, 학습의 가능성을 ‘음운 변동에 내재된 음운 및 형태론적 정보 변별 학습’, ‘문제 해결 학습을 통한 올바른 발음 학습’, ‘내용 구성상의 문제점 고찰 학습’으로 나누어 교수·학습 방안을 학습 활동의 구현을 통해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는 표준 발음법 조항을 활용한 문법 교육의 실제 교육적 효과는 밝히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본고에서 선정한 조항만이 교육적으로 유의미하리란 것에 일반화의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표준 발음법의 특성 고찰을 통해 표준 발음법의 문법적 해석 가치를 밝혀내고,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조항을 선별하여, 그것을 학습자에게 노출하는 방법을 구체적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고의 논의를 바탕으로 발음 교육에 대한 연구가 단순히 올바른 발음으로 결과적 목표만을 중시하는 것이 아닌, 문법적 현상에 대한 학습자들의 능동적 탐구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