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3 Download: 0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학교 급별 위계화 연구

Title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학교 급별 위계화 연구
Other Titles
A hierarchy study of school grade on Korean spelling education contents
Authors
김아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본 연구는 초, 중, 고등학교에서 지속적으로 다루어지는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위계가 갖는 교육적 실태를 확인하고, 학교 급별 위계에 맞추어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을 재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 위계는 ‘계속성’과 ‘계열성’의 두 가지 속성을 모두 갖는 것으로, 계속성은 한 가지의 동일한 교육내용이 학년이 달라지더라도 단절됨 없이 계속적으로 취급되어야 하는 것을 말하고, 계열성은 하나의 교육내용을 조직할 때 어떠한 것을 먼저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선후 관계를 따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위계는 같은 교육내용을 반복적으로 다루는 문법 교육내용에서 특히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에 주목하였다. 지금까지 학교 교육에서의 한글 맞춤법은 규정에 치중되어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수준의 교육으로만 이루어져 왔다. 이에 따라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은 학교급별 위계를 갖추지 못하고, 단편적으로 쓰기의 교열 과정에 사용되는 지식 정도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한글 맞춤법은 어휘 학습의 출발점이며 쓰기를 비롯한 읽기 능력의 기초적 토대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학교 급별로 단계화하여 중요하게 다룰 수 있는 내용을 되풀이하는 방식으로 교육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글 맞춤법에서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 급별, 또 학년별에 따른 교육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Ⅱ장에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실현 양상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금까지의 한글 맞춤법 교육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현행 한글 맞춤법 교육이 학교 문법 교육에서 소홀하게 이루어져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모든 학교 급에서 한글 맞춤법 제1항만을 반복적으로 다루며, 제1항을 담고 있는 기본 원리를 토대로 전반적인 한글 맞춤법의 이해를 유도하는 매우 유사한 형식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실현 양상 검토를 통해 한글 맞춤법 교육의 위계화에 대한 필요성을 재확인하고,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분석된 적 없던 학교 교육에서의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을 정리하였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학교 급별에 따라 교육내용을 나눌 수 있는 방향을 살펴보고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위계를 구성하기 위한 기준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인식 수준과 교육내용의 난도 수준으로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 인식 수준에서는 학습의 흥미로 인해 생긴 학습동기가 더 많은 문법지식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알고자 하는 학습욕구로 이어져 심화 수준의 모습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교육내용의 난도 수준에서는 한글 맞춤법 조항 이외에도 범위 설정, 문법 용어 사용, 내용 체계 등을 활용하여 위계를 갖춘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위계화 방안으로서 학교 급별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을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학교 급에 따른 한글 맞춤법 교육의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는 위계 설정 기준에 있어서 이론적 탐구에서 더 나아가,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지 못하였다는 점을 밝힌다. 또한 위계화에 따른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효과를 실제 교육현장에서 확인하지 못하였다는 점을 토대로 일반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한글 맞춤법 교육내용의 학교 급별 위계화 방안에 대한 연구는 평생에 걸쳐 사용되는 한글 맞춤법 학습자들을 위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앞으로도 이와 같은 내용을 실제 현장과 관련해 깊이 있게 다루는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educational status of the content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which is continuously handl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o reconstruct the content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Here, the hierarchy has both the attributes of ‘continuity’ and ‘sequentiality’, continuity refers to the fact that one and the same contents of education must be treated on an ongoing basis without disconnection even if the grade changes, sequentiality refers to the sequencing of what is to be taught first when organizing an educational contents. Such a hierarchy was especially necessary in the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which deals with the same contents repeatedly. Up until now, the Korean spelling system in school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rules and has been made only on a level of knowledge transfer. As a result, the content of Korean spelling education does not have a hierarchy by school level, and it stays at the level of knowledge used in the revision process of writing in short terms. However, because the Korean spelling system is the starting point for vocabulary learning and is the basis for reading skills including writing, the contents that can not be deal with in different stages of school are repeated in a manner that can not be deal with properly.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s that for proper education to be carried out in the Korean spelling system, education must be conducted according to school grades and grades. Chapter Ⅱ decided to review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ent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based on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and critically examine the Korean spelling system education so far. As a result, it has been shown that current Korean spelling education has been poorly conducted in school grammar education. In addition, all school classes repeatedly deal with the first paragraph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and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contained in paragraph 1, they have very similar forms that lead to an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Korean spelling system. Through a review of the implementation aspects of the content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we reconfirmed the need for hierarchical Korean spelling education and reconstructed the need for ‘content of Korean spelling’ in school education, which has never been further analyzed.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Chapter Ⅲ looked at the directions in which the contents of education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and looked for criteria to establish a hierarchy of the contents of Korean spelling. As a result, criteria were set based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learners and difficulty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Through this, the motivation created by the interest of learning at the level of the learner’s awareness has led to the need to learn more grammar and to show a level of depth. In addition, the level of difficulty in the content of education was found to be able to organize the content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in a hierarchical manner by using the scope setting and the use of grammatical terms. In chapter Ⅳ, based on the analysis, this article searched for a hierarchy of contents of Korean spelling education and reconstructed contents of Korean spelling education. Specifically,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education of Korean spelling according to each school level were presen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go further from theoretical exploration in the criteria of hierarchy, and indicate that no in-depth study has been conducted. Al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effects of the content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education based on the fact that it has not been confirmed ing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the study on the hierarchical method of Korean spelling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for learners of Korean spelling that is used throughout their life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