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1 Download: 0

고등학교 문법 학습자의 학습곤란 항목을 바탕으로 한 교과서 기술 내용 연구

Title
고등학교 문법 학습자의 학습곤란 항목을 바탕으로 한 교과서 기술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viewing of the Textbooks' descriptive contents based on the learning difficulties of grammar learners in high school: Focusing on morpheme, word and word class
Authors
고보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본 연구는 문법 학습자의 형태소와 단어, 품사와 관련된 선행지식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내용이 교과서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검토하여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학습은 학습자들이 스스로 의미를 구성해나가는 과정이며, 학습 상황에서의 다양한 요인이 의미 구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에 행해진 수업방식처럼 교사가 일방적으로 교과서에 쓰인 지식을 전달하고 학습자들은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는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내용을 미리 파악하고, 학습자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이 본 연구가 필요한 이유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습자들의 문법 선행지식을 파악하기 위해 질문지를 개발해 응답을 분석했다. 질문지의 문항은 EBS 문법 강의의 질의응답 게시판에 있는 질문들을 유형화해서 구성했으며 학습자들이 직접 분석을 하는 형태, 객관식 문항에서 정답을 모두 고르고 선택한 이유를 고르는 형태로 제작했다. 질문지 응답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명시적으로 쓰임이나 의미에서의 차이가 드러나는 경우에는 학습자들이 덜 혼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립 명사, 조사 등은 쉽게 분석을 해내지만 문법적인 의미를 가진 형태소는 분석하지 못하는 것이 이러한 경우이다. 둘째, 개념을 정확하게 알지 못해, 유사한 용어가 제시되면 혼동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것이다. 어근과 어간, 접사와 어미를 혼동하거나 격조사와 보조사, 수사와 수 관형사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 등이 이러한 경우이다. 셋째, 쓰임이 비슷한 경우에도 쉽게 혼동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문장 내에서 쓰임이 유사한 동사와 형용사, 관형사와 용언의 활용형 등을 구분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해당 문법 지식이 교과서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교과서의 ‘단어 형성’과 ‘품사’의 단원에서 확인할 수 있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명이 누락되거나 부족한 부분이 있고 예시가 부족하다. 각 교과서의 집필진마다 세부 내용에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설명이 필요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누락된 경우, 설명이 있더라도 충분하지 않은 경우, 예시의 종류나 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둘째, 학습활동에서 제시하는 활동이 다양하지 않다. 대부분 앞서 학습한 개념을 확인하는 수준의 문제나 추가 자료를 통해 새로 학습해서 정리하는 형태의 활동이 제시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에 대한 설명과 충분한 예시가 추가되어야 한다. 특히 질문지 분석을 통해 확인된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내용은 주로 설명이나 예시가 충분하게 제시되지 않은 부분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문법 내용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적절하고 다양한 예시가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학습자 중심의 학습활동을 추가해야 한다. 학습 내용을 단순히 확인하는 활동에서 나아가 학습자 스스로 개념을 형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학습활동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학습 순서를 고려한 내용의 배열이 필요하다. 특히, 문법 학습은 선행지식이 학습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학습 순서를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학습 내용 간의 연결성과 위계성 등을 고려하여 가장 효과적인 순서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보통의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문법 선행지식을 확인했다는 점과 이에 그치지 않고 교과서를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까지 확장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는 다른 문법 영역이나 더 많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학습자의 문법 선행지식을 파악하고 교과서를 검토하는 과정이 교과서를 집필하는 과정과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수업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도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propose improvement plans by examining how the grammar learner's prior knowledge of morpheme, words and word class is handled in textbooks. In terms of constructivism, learning is a process in which learners organize their own meanings, and various factors in the learning context affect the composition of the meaning.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teachers to understand contents that are difficult for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e responses to the stud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grammar prior knowledge. The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were organized by categorizing the questions on the question and answer boards of the EBS Grammar class. The questions are composed subjective and objective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less confused when differences in usage or meaning were revealed explicitly. Free nouns, postpositional particles, etc. can easily analyze but can not analyze the grammatical morpheme. Second, they do not know the concept accurately, and when a similar term is presented, they look confused. Such cases include confusion between the roots and the stem, the affix and the ending, or in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the case-marking postpositional particle and the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the numeral and the numeral determiner. Third, there was a pattern of confusion even in cases of similar use. Learners could not distinguish between verbs and adjectives, predicate and conjugations of predicate that have similar uses in the sentence.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how knowledge of the grammar is being stated in textbooks and suggested improvement plans.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e chapters of ' word formation ' and ' word class' in the textbook are as follows. First, explanations are missing or lacking and there are insufficient examples. Maybe there are differences in detail because of each textbook's authors, but if the contents were missing despite the need for explanation, there were not enough kinds of examples. Second, the learning activities are not diverse. For the most part, there were activities presented such as identifying the concepts just learned, or organizing them through additional materials. In order to modify these problems, improvement plan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a description of the content and sufficient examples should be added. In particular, the difficulty for learners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s was mainly that they did not have sufficient explanations or examples. Therefore, a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grammar content and appropriate and diverse examples should be given. Second, it is important to add a learner-centric learning activity.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presented that allow learners to build their own concepts from simply checking the learning content. Third, it is necessary to arrange content considering the learning sequence of the learner. In particular,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order of learning, since prior knowledge greatly affects grammar learning. Therefore, considering the content connection and hierarchy, the most effective order must be consider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average learner identified difficult grammar prior knowledge and expanded the scope to review textbooks and present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the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be conducted on other grammatical categories or on more learners. It is also hoped that the process of identifying learners' knowledge of grammar and reviewing textbooks will be used in writing new textbooks and preparing for classes at school sites for student' effective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