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48 Download: 0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주제 통합적 독서 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Title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주제 통합적 독서 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Theme-Integrated Reading Education Reflected in Korean Curriculum
Authors
정다경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를 살아감에 있어 다양한 텍스트의 형식과 관점을 비교·대조하면서 읽고 학습자의 생각을 재구성하고, 자신의 관점을 정립하는 능력이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다양한 관점을 다루면서 맥락을 읽어내고, 그 사이에서 스스로의 관점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이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완전한 독자로서의 능력이기 때문이다. 또한 주제를 기준으로 텍스트를 읽으면서 자신의 주제로 재구성하고, 주제의 깊이와 범위를 심화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의 독서 교육은 대체로 단일 텍스트 중심의 읽기 활동에 학습의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제는 여기에서 벗어나 복수 텍스트를 주제 통합적으로 활용한 독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호 텍스트성을 활용한 독서 중에서도 여러 편의 텍스트를 비교·대조하면서 읽고 이를 종합하여 자신의 생각을 재구성하는 능력, 자신의 관점을 세울 수 있는 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주제 통합적 독서 교육을 시행하여야 한다고 보고, 이에 관한 구체적인 확장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주제 통합적 독서의 확장과 체계화된 교수·학습 방안 마련이라는 목적 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주제 통합적 독서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주제 통합적 독서에 관한 기존의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살펴보면서 비판적인 시각에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연구자 간 용어의 정의와 사용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주제 통합적 독서를 ‘하나의 화제에 관한 복수의 텍스트를 읽고 주장과 관점을 비교하면서 자신의 관점을 정립하고 학습자 스스로 주제를 통합하여 재구성하는 독서 방식’이라고 정의하고 이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신토피컬 리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기존의 신토피컬 리딩과 현 교육과정의 주제 통합적 읽기가 어떤 차이와 변화가 있는지를 밝혔는데, 학교 현장의 여건에 맞게 단계를 축소하여 단순화하고, 학습자의 관점을 정립하고 재구성함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교수학적 변환을 일으켰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텍스트 간의 관련성을 기반으로 의미의 관계를 형성하는 상호텍스트성 이론을 살펴보면서 주제 통합적 독서가 상호텍스트성 이론을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특정 화제가 동일한 복수 텍스트를 읽는다는 부분에 초점화된 독서의 방식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주제 통합적 독서를 교육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주제 통합적 독서 교육의 실제와 양상을 파악하였다. 먼저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살펴보고 분석하였는데, 제 5차 교육과정부터 최신의 2015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주제 통합적 독서와 관련된 성취 기준이 계속적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명시적으로 주제 통합적 독서가 드러나는 2009개정 교육과정과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주제 통합적 독서 능력을 강조하면서 성취 기준과 관련 학습 내용에 이를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루어진 교과서 분석에서는 2011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독서와 문법>의 주제 통합적 독서 단원을 비교하며 주제 통합적 독서의 정의와 절차, 학습 제재, 학습 활동의 구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주제 통합적 독서 교육을 행하기 위한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에서 드러난 문제와 한계점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수준에서 주제 통합적 독서 교육이 적합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화된 단계적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읽기 전 단계에서 읽기의 목적을 확인하고, 읽기의 개념과 절차를 파악한다. 이후 읽기 중 단계에서 텍스트의 주요 내용과 주장을 파악하고, 질문을 통해 저자의 관점을 정리한다. 그 후, 관련 텍스트를 추가적으로 검색하여 읽고, 관련 텍스트의 주장과 관점을 비교한 후 토의를 통해 학습자의 관점의 정립과 주제의 재구성을 도모한다. 이를 확장하기 위해 생산적 활동을 수행하여 주제 통합적 독서 교육이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앞으로의 독서 교육은 단편적인 접근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이 보다 다각적인 접근을 할 수 있도록 변모해야 한다. 주제 통합적 독서 교육은 상호 관련된 작품 중에서도 동일한 화제를 다루고 있는 다양한 텍스트를 읽고 주제를 재구성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를 높이고 사고의 확장을 도모하며,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로서 적극적인 의미 구성자가 되게 한다는 특성이 있다. 즉, 주제 통합적 독서 교육은 이런 변화의 필요성에 발맞추어 학습자들에게 다각적이고 총체적인 독서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에서 주제 통합적 독서의 중요성을 밝히고 교과서를 분석하면서 효과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자 중심의 주제 통합적 독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여 구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보다 고차원적인 읽기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교수·학습 방안 마련에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In this research, I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bilities of discerning various types of text's forms and perspectives that enable the readers to rebuild their own thoughts and settle their point of view to live as a member of modern society. Because it is a prerequisite of forming one's own thoughts among many data, and dealing with many cases and pointing out the key point among those cases to be a member of modern society. For now reading mainly on single-text is taking a great proportion of the syllabus that I claim it is needed to change as an reading education which utilize the application of multi texts. To achieve the goal, implementing a Theme-integrated reading education system which would improve one's own point of view by this mutual-text reading comparing many series of texts as a result, lead the readers to rebuild by putting their thoughts together. mutual-text reading put those together especially. The research has been proceeded under the purpose of developing for the widely popularization of the Theme-integrated reading and turning out many excellent educators. On chapter 2, I looked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me-integrated reading and then reviewed it critically. To begin with, looking through the mutual-text theory that forms the meaning fro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xts which is based on, I confirmed that specific topic is one of the way that aiming the same multi-text among them. By critically reviewed Neo-topical reading, I discerned the differences between preexisted Neo-topical reading and present curriculum's integrated-reading. Next, I found that it simplifies the procedure fitted to the school's condition and settles the learner's perspective to rebuild their perspective as an aspect of emphasizing that leads to the change of a didactics. Following this procedure, I set the fundamental for faculty-education by examining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me-integrated reading. On chapter 3, I grasped a real aspect of the Theme-integrated reading education. First of all, I searched and analyzed a curriculum and the text book thoroughly, It was found that the standard of achievement of the Theme-integrated reading is keep rising from 5th curriculum to the most recently revised curriculum. Then the revised curriculum of the year 2009 and 2015 when the Theme-integrated reading exposed overtly emphasize these Theme-integrated reading ability examine the standard of achievement and involved lecturing materials. Next, I analyzed the text book 's Theme-integrated reading which is reflected of the revised text book published in 2011 so to looked through at the aspect of the definition, studying material and organization of studying activities. Through the analysis, I tried to suggest a direction of faculty-learner education to fulfill the Theme-integrated reading education. On chapter 4, I suggested a well organized and concrete faculty-learner education to make up for the faults found in the curriculum and the text book analysis on chapter3 and the suggestion is based on the high school level Theme-integrated reading education to be implemented adequately. Firstly, confirm the purpose of reading on the previous step, then understand how to and the procedure of reading. Secondly, make a main content and topic clear on the reading session to clarify the key point of view of the texts. Lastly, we should read additionally related materials after the reading session, comparing and discussing its theme and perspective to bring about the restructure of perspective for learners. To prevail the thesis statement that the productive activities I conducted express one's own thoughts. As a result, it will lead the Theme-integrated reading education to be executed step by step. From now on, reading education should be revised the way the learners free from one sided approach and approach multi-sided. Read various texts dealing with the same issues among Theme-integrated reading education related materials, and reorganize at many sides would help the learners to comprehend and also help to expand their thinking, hence the learners stand at the center of the education that would turn them out as active-meaning-members. To shorten, the Theme-integrated reading education that I described above have a great meaning of suggesting the readers multi-sided and whole direction of reading that meet ceaselessly changing society's needs. The research clarifies the importance of Theme-integrated reading in the curriculum and analyzes the text book composed by making the Theme-integrated education possible with faculty-education which have gravity for learners. To conclude, hoping that the research I did would be a cornerstone of the faculty-education measure for the scholars and researchers to achieve a higher ability of reading skil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