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6 Download: 0

국어·과학 통합 교육을 위한 고전 서사 교육 방안 연구

Title
국어·과학 통합 교육을 위한 고전 서사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educational method of classical narrative for integration education of Korean·science
Authors
김고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본고는‘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주목하여 통합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출발하였다. 따라서 통합 교육을 위한 실질적인 교육 방안을 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제적인 교육 방안을 구성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국어과와 과학과 모두 접합 지점이 있는 ‘동물’이라는 소재를 선별하였다. 각각의 교과가 ‘동물’이라는 공통 주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극대화하고, 보다 흥미로운 통합 교육 방안을 구성해 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통합 교육의 전반적인 흐름을 살피고 목적에 일치하는 국어·과학 통합 교육 방안 마련의 기초를 다졌다. 선행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폈다. 통합 교육과정 연구 및 ‘국어과’에 관한 통합 교육 연구, 서사 갈래 속 동물에 관한 연구가 그것이다. 그간의 연구를 살핀 결과 국어 교육 차원의 통합 교육 논의는 교과 내 통합에 대해서 주로 이루어져 왔음을 확인하였다. 다른 학문이나 타 교과와의 통합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상황인 것이다. 과학과의 통합 교육을 위해 살핀 서사 갈래 속 동물에 관한 연구는 대체적으로 동물의 도구적 역할이나, 수사학적인 장치로서의 역할에 집중한 논의가 대부분이었다. 삶의 모습을 담은 문학의 특수성을 통해, 이야기에 등장하는 동물의 모습에서 인간 삶의 형태 혹은 모습을 찾고자 한 것이다. 때문에 동물 그 자체에 주목하여 서사를 바라 본 연구가 부족하여 새로운 관점을 도입한 고전 서사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Ⅱ장에서는 국어과, 과학과 통합 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먼저 통합 교육이 그간 어떤 흐름을 가지고 발전했는지, 통합 교육의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 적용할만한 내용에 대해 논하였다. B절에서는 동물을 매개로 한 국어와 과학의 통합이 얼마나 유의미한지 살폈다. 동물이 등장하는 서사를 과학과 융합하여 해석해 보았을 때, 과학 교과는 고전 문학 서사에 튼튼한 토대가 되며 문학은 과학적 근거에 풍부한 해석을 제공하게 됨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본격적으로 국어과·과학과 교재 분석을 통해 적합한 교육 내용을 추출하였다. 동물 서사 작품 목록과 과학의 동물 관련 학습 내용을 확인하여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분석해 보았다. A절에서는 국어과 교과서와 과학과 교과서의 검토를 바탕으로 호랑이와 꿩을 대표 동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생태적 습성을 통한 고전문학 작품 감상을 시도하였다. 호랑이의 경우 맹수의 특성 상 생태적 습성 파악이 어려워 이야기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형상화될 수밖에 없다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꿩의 경우 암수의 구별이 뚜렷한 특징은 <장끼전>에서 부부로 형상화되기에 적합하며, 공격적인 습성은 <장끼전> 서사가 다툼의 서사로 발전하는 데 일정 부분 기여하고 있다고 보았다. 과학적 관점에서 바라 본 고전 서사의 해석을 통해 작품에 대한 기존 해석을 학습자가 다시 재평가해볼 수 있으며,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B절에서는 중등 교과서 검토를 통해 토끼와 자라를 대표 동물로 선정하였다. 토끼의 연약한 모습은 <토끼전>의 풍자 의미를 더욱 풍성하게 함을 확인하였다. 자라의 경우 봄철 육지로 올라오는 생태적 습성과 연계하여 <토끼전>의 계절적 배경이 봄이 될 수밖에 없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이들의 습성을 통해 <토끼전>을 다시 바라보고 작품을 보다 합리적으로 이해함과 동시에 ‘동물’이라는 소재를 통해 주고받는 문학과 과학의 상호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선정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융합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표 작품으로 <장끼전>과 <토끼전>을 선별하여 초등학교용, 중학교용 학습 활동을 구성해 보았다. 이를 통해 국어과·과학과의 융합 교육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나아가 고전 문학이 창의적으로 재탄생될 수 있는 소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첫째, 동물 관련 고전 서사 작품을 재조명하여 문학과 과학의 통합 가능성을 밝혔다. 둘째, 고전 서사 속에 깃든 동물의 생태적 습성을 찾아, 고전 문학 감상의 과학적 토대를 확보였다. 셋째, 객관적인 사실에 주목하는 과학 교과에 문학적 감수성을 연계하여 양 교과의 지식을 삶의 지식으로 환원하였다. 앞으로 통합 교육을 위해 연구가 필요한 부분은 여전히 많이 남아 있다. 4차 산업 혁명 시대 속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융합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This paper aims on providing an integrated education plan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at targets 'Creative·Convergent talent raising.' Therefore, the objective is to provide a practical education plan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In order to construct a practical education plan, this paper selected 'animal' as the subject which has a common junction point in both Korean language and science course. Each courses' strengths will be maximized with the common theme of 'animal', and will construct a more interesting integrated education plan.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prior researches, which became the basis of our study, we looked at the overall trend of integrated education and planned methods of liberal arts·natural sciences integrated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The prior research wa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Study of integrated education, study of integrated education regarding ‘Korean language’, and study of animals that appear in narrative literature. The results of the prior studies show that the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was focused merely on the integration within the subject. In another word, it lacked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The study of animals that appear in narrative literature that was reviewed for integrated education of science course, showed that animals mostly appear as instrumental or rhetorical tools. Since animals often are expressed as characters that resemble human beings in literature, people tend to find human society through animal characters. Therefore, with the lack of studies that focus merely on animals of narrative literatures, we found the need of classical narrative education with the new perspective applied. Chapter Ⅱ studies the possibilities and dire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in Korea language and science course. First, we looked at how the integrated education developed in trend within in the liberal arts·natural sciences integrated education, and saw what types of integrated education exists. Based on this, this paper discusses further on what can be implemented. On verse B, this paper reviews how meaningful it is to converge Korean language and science course with the medium of animal. By analyzing narrative that animal appears and converging it with science, results show that science course provides a strong basis to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that literature may have various interpretations with the scientific basis. In chapter Ⅲ, suitable education contents were extracted in earnest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and science textbooks. List of narrative literature with animals and learning contents of animals were reviewed and then analyzed on how it could be implemented. On verse A, with the examination of Korean language and science textbooks, tiger and pheasant were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animal. With the background of its ecological habit, classical literature was reviewed. In the case of tiger, since its hard to understand fully of its ecological habit due to its savageness, it was shaped as various characters inside stories. For pheasants, characterized the married pheasant couple appropriately as pheasants have distinct differences in its sex, and the aggressive side have contributed in developing as a dispute narrative.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classical narratives with scientific viewpoint, learners can re-evaluate the current interpretation and find possibilities of new interpretation. Verse B evaluates middle school textbooks and rabbit and soft-shelled turtle was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animal. Rabbit’s weakness made meaning of satire more plentiful. In the case of soft-shelled turtle, it shows that seasonal background may only be spring, linking the habit of rising to land when water temperature rises, was suggested as spring. Not only did we understand better by re-reviewing the story with the background knowledge of its ecological habit, but also found the interaction between literature and science through the subject of ‘animal.' Chapter Ⅳ provided actual convergence education plan with the background of content selected on chapter Ⅲ. and were selected as main stories, and learning contents were made target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arners. Results showed that Korean language and science courses may be converged in various ways and furthermore, classical literatures may be re-interpreted in various other creative ways. This study is meaningful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proved the possibility of literature and science convergence by re-evaluating classical narratives related to animals. Second, found the ecological habits of animals that appear in classical narratives, and secured scientific basis of them. Third, return both science and literature subjects to knowledge of life by linking science subject that focuses on objective facts with literary sensibility. However, there are still much more studies left for integrated education. More aggressive trials of convergence must be done to achieve the goal of ‘Creative·Convergent talent development’ in the 4thindustrialrevolutiongene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