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박정연-
dc.creator박정연-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3:31Z-
dc.date.available2018-09-05T08:23:31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6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66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57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ructural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persuasive text in the genre-based perspective. Persuasive text is a type of discourses through which a writer appeals to the readers who have different viewpoints, so that the readers can understand the writer’s argument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on learners’ persuasive text will be meaningful since it is one of the major discourse types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s should successfully produce.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point out that the written language discourse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was not specifically addressed in the genre-based point of view in the preceding researches, considering the situation, context, and readers of discourse. This research is also expected to examine the writing aspect of the persuasive text of the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detail so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writing education for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refore, this paper will qualitatively look into the structural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genres in persuasive text of the Vietnamese learners’. This study is composed as follows: In chapter Ⅰ,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re clarified, and preceding studies are reviewed to lend more support to this necessity for conducting this research. First, the preceding genre-based researche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examined to see the previous discussions and approach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genre-based perspective, which leads to finding ou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Secondly, the preceding studies on written language discourse produced by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analyzed to identify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Finally, the previous studies on persuasive text are examin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uasive text in the aspects of its role, structure and style. Through this process, two research questions are set up, and each one includes another two subordinat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 question No.1 is ‘What characteristics are shown in the structure of persuasive text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at of Korean native speaker?’ The sub-research questions for No.1 are ‘1-1. What is the structure of the Korean native speaker’s persuasive text?’ and ‘1-2. What is the structure of the persuasive text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research question No.2 is ‘What characteristics are shown in the writing style of the persuasive text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at of Korean native speakers?’ The sub-research questions for No.2 are ‘2-1. What is the style of the Korean native speaker’s persuasive text?’ and ‘2-2. What is the style of persuasive text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genre-based approach and genre analysis method is discussed. First, the three major genre-based approaches and the components of genre knowledge are examined. In order to analyze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persuasive text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tems related to the situational context is also examined, and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persuasive text are described in this chapter. In chapter Ⅲ,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are organized under four categories: the study subjects, research procedures, research tools, and data analysis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al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persuasive text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 I set up an experimental group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t an advanced level) and a comparative group (Korean native speakers), and conduct an experiment. The research procedure proceeds in phases: development of free writing tools, validity check for the tools,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I used free writing tools as a research tool and selected topics that will best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persuasive text and language proficiency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t an advanced level.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checklists for analysis are made, which are helpful for examining the structure and the writing style of the persuasive text qualitatively on the basis of preceding researches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that were discussed in the chapter Ⅰ and Ⅱ. And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ed data are examined by using the NVivo program. In chapter Ⅳ, the data analysis results a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progressed experi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on the research question No.1, the persuasive text structure of the Korean native speakers in 1-1 shows clear distinctions in the introduction-body-conclusion structure. In the sub-structure of the introduction, there appears a ‘making argument’ part; in the sub-structure of body, ‘presenting evidence, opposition claim and refutation’; in the substructure of conclusion, ‘summarizing argument’. The structure of the persuasive text of the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1-2 also shows introduction- body-conclusion structure. However, there are some writings with no introductions or conclusions, or no clear distinction between introduction and conclusion. In the introduction, a sub-structure of ‘making argument’ appears, and the way of expressing it is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native speakers. The sub-structure of ‘presenting evidence’ appears in the body while the sub-structure related to ‘urging practice’ appears in the conclusion, which shows difference from the persuasive text structure of Korean native speaker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on the research question No.2, the writing styles of the persuasive text of the Korean native speakers in 2-1 show a pattern of using the final endings such as ‘-da, -simnida’, and a characteristic of a formal written language. Korean native speakers tend to use the psych verbs of ‘think, need’ to express their opinion, and the shift of the speaker-involved tone using the first-person subject pronouns to the non-involved tone is a notable characteristic. The weak modality expressions are more used than the strong ones, which is another characteristic, and the connective expressions such as comparison/contrast, listing, causation, conclusion, amplification and paraphrasing appear in the persuasive texts to make connection between the writer’s arguments. The final endings of ‘-da’ are often used as a writing style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persuasive text in 2-2, but there appear no consistent pattern of final endings, but inappropriate language usage pattern with the inconsistent honorification level of first-person subject pronouns. In the persuasive text of this study which is written in formal written language,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fail to select the proper writing style and just used colloquial expressions. The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express their opinion by using the psych verbs such as ‘think, believe, like’. Their persuasive text shows the difference from that of the Korean native speakers in terms of the writer’s tone. The usage pattern of modality expression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is similar to that of the Korean native speakers, but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 more limited usage of modality expressions in the persuasive text than their counterparts, using only a few connective expressions such as comparison/ contrast, listing, causation, to make a connection between arguments. The chapter Ⅴ provides a summary of the overall results of the study based on the data analysis, and it also describ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ucture and style of persuasive text and examines it from a genre-analytical perspective. It also provides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suasive text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at of Korean native speakers. As a result, some meaningful differences are found, an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ese differences will be useful basic data for the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장르 중심의 관점에서 담화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까닭은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 사회에서 통용되는 장르의 특성을 익혀 글을 쓰게 하여, 문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게 하는 틀이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르 중심의 관점에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에 나타난 구조 및 문체적 측면에서 나타난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득적 텍스트는 필자와 다른 견해를 가진 독자에게 필자 자신의 주장을 받아들이도록 호소하여 독자를 이해시키는 담화 유형이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성공적으로 산출해야 하는 대표적인 유형 중에 하나라는 점에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에 관한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또한 담화의 상황, 맥락, 독자 요소에 대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어 담화를 구체적으로 다루지 못했던 기존의 연구 흐름을 지적하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의 쓰기 양상을 장르 중심의 관점에서 세밀하게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문어 담화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설득적 텍스트의 담화의 구조와 문체에서 나타나는 장르적 특징을 질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이러한 필요성을 뒷받침하고자 하였다. 우선,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장르 중심 연구를 통해 장르 중심의 관점에서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기존 논의와 방향성을 살펴보고 본 연구가 갖는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다음으로는 설득적 텍스트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여 설득적 텍스트의 역할, 구조, 문체적 측면에서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가 생산한 문어 담화와 관련된 연구를 검토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어 담화를 분석해야 하는 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두 가지이며, 각각의 연구 문제는 두 가지의 하위 연구 문제를 포함한다. 연구 문제1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설득적 텍스트의 구조는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가?’이다. 연구 문제 1에 대한 하위 연구 문제는 ‘1-1. 한국어 모어 화자의 설득적 텍스트의 구조는 어떠한가?’, ‘1-2.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의 구조는 어떠한가?’이다. 연구 문제2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설득적 텍스트의 문체는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가?’이다. 연구 문제 2에 대한 하위 연구 문제는 ‘2-1. 한국어 모어 화자의 설득적 텍스트의 문체는 어떠한가?’, ‘2-2.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의 문체는 어떠한가?’이다. Ⅱ장에서는 장르 중심 접근법과 장르 분석 방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장르 중심 접근법에서 주요하게 논의되는 세 가지의 장르 중심 접근법을 살펴보고, 장르 지식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되는 설득적 텍스트의 장르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서 상황적 맥락을 살펴보는 항목들에 관련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으며, 이에 따라서 설득적 텍스트의 장르적 특징을 기술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을 연구 대상, 연구 절차, 연구 도구, 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정리하였다.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의 구조와 문체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 집단인 베트남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 집단과 비교 집단인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절차는 자유 작문 주제 선정, 주제의 타당성 검증, 자료 수집, 자료 분석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에 적합하고 설득적 텍스트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주제를 선정한 자유 작문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Ⅰ장과 Ⅱ장에서 살펴보았던 선행 연구와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설득적 텍스트의 구조와 문체를 질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분석 항목을 마련하였으며, NViv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한 특징들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진행된 실험을 토대로 연구 문제에 따라서 자료 분석 결과를 정리하였다. 연구 문제1에 대한 자료 분석 결과 1-1의 한국어 모어 화자의 설득적 텍스트의 구조는 서론-본론-결론의 상위구조의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서론의 하위구조에서는 주장 밝히기, 본론의 하위구조에서는 근거 제시하기와 반대 주장 언급 및 반박하기, 결론의 하위구조에서는 주장 요약하기의 구조가 나타났다. 1-2의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의 구조는 서론-본론-결론의 구조가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일부의 글에서는 서론 또는 결론이 없거나 그 구분이 모호한 글이 보였다. 서론에서는 주장 밝히기의 하위구조가 나타났는데, 이를 표현하는 방식이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것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본론에서는 근거 제시하기의 하위구조가 나타났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실천 촉구하기와 관련된 하위구조가 나타나 한국어 모어 화자의 설득적 텍스트의 구조와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문제2에 대한 자료 분석 결과 2-1의 한국어 모어 화자의 설득적 텍스트의 문체는 ‘-다, -ㅂ니다’의 종결어미를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격식적 문어체의 특징을 보였다. ‘생각하다, 필요하다’의 심리사고동사를 사용하여 필자의 의견을 표현하였으며, 1인칭 주어 대명사를 사용한 화자 관여적 어조에서 비관여적 어조로 이동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강한 양태표현보다는 약한 양태표현이 더 많이 사용되는 점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으며, 설득적 텍스트에서 필자의 논증을 연결하기 위해 비교/대조, 나열, 인과, 결론 도출, 예시, 부연, 환언의 기능을 하는 다양한 연결표현이 나타났다. 2-2의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의 문체는 대체적으로 ‘-다’의 종결어미가 사용되었으나 서론-본론-결론으로 이루어진 한편의 글에서 일관적으로 종결어미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불어서 종결어미와 1인칭 주어 대명사의 높임 등급의 불일치로 적절하지 못한 언어 사용 양상도 보였다. 한편, 격식적 문어체의 성격을 보이는 본 연구의 설득적 텍스트에서 구어체의 표현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가 설득적 텍스트에 어울리는 적절한 문체를 선택할 때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는 ‘생각하다, 믿다, 좋다’의 심리사고동사를 사용하여 필자의 의견을 표현하였으며, 필자의 어조를 나타내는 부분에서도 한국어 모어 화자의 설득적 텍스트와 차이를 보였다. 양태표현의 사용 양상은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것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가 양태표현 사용에 있어서 더 제한적이었으며, 논증의 연결을 위해 비교/대조, 나열, 인과의 연결표현에 국한된 사용 양상을 보였다. Ⅴ장에서는 Ⅳ장에서의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체적인 연구를 종합하여 정리하였으며 본 연구가 갖는 의의 및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설득적 텍스트의 구조와 문체에 주목하여 이를 장르 분석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와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의 차이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미 있는 차이점들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지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4 1.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장르 중심 연구 4 2. 설득적 텍스트에 관한 연구 12 3.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가 생산한 한국어 문어 담화 연구 18 C. 연구 문제 22 Ⅱ. 이론적 배경 24 A. 장르 중심 접근법 24 B. 장르 분석 방법 30 C. 설득적 텍스트의 장르적 특징 33 Ⅲ. 연구 방법 41 A. 연구 대상 41 B. 연구 절차 43 C. 연구 도구 44 D. 자료 분석 방법 45 Ⅳ.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 분석 결과 51 A. 설득적 텍스트의 구조적 측면 51 1. 한국어 모어 화자의 설득적 텍스트 구조 분석 51 2.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 구조 분석 59 B. 설득적 텍스트의 문체적 측면 64 1. 한국어 모어 화자의 설득적 텍스트 문체 분석 64 2.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 문체 분석 80 C. 교육적 적용 및 시사점 91 Ⅴ. 결론 94 참고문헌 102 부록1. 자유 작문 도구(한국어) 107 부록2. 자유 작문 도구(베트남어) 110 ABSTRACT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55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득적 텍스트 구조와 문체적 특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tructural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persuasive text-
dc.format.pagevii, 117 p.-
dc.contributor.examiner박선희-
dc.contributor.examiner이정란-
dc.contributor.examiner이해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