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8 Download: 0

다보탑(多寶塔)의 수치와 조영(造營) 계획

Title
다보탑(多寶塔)의 수치와 조영(造營) 계획
Other Titles
Dimension of Dabo-stupa and the Unit of Unified Silla Dynast
Authors
김지윤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I predicted that the Dabo-stupa would reflect the buddhist cosmology, which is composed of Mt.Meru and Tusità, a buddhist heaven in the air above Mt.Meru where the future Buddha Maitreya is waiting for his day of salvation, and also the most beloved heaven at the time, where buddhists would be reborn after this world’s life. The word 'Meru' in a memoir about this stupa could be translated as the 'Meru stylobate', which is an architectural term widely used in Asia derived from Mt. Meru in Buddhist cosmology. To find out the measurement standard of Dabo-stupa, I divided the height of its stylobate by the height of Mt.Meru found in ancient texts and its result was around 22cm. By applying the number to analyze the frameworks of the stupa that repeat the same measurement, 21.8703cm with 0,009 average error was found to be the measurement standard of 144 Dabo-stupa, which can be successfully used to rebuild the stupa’s construction plan. Around 21.8703cm is the length of a handspan, or the widths of 10 fingers. When applying the measurement standard of Dabo-stupa to the other stupa across the Dabo-stupa, with the measurement measur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 stupa, which was built symetrically with the Dabo-stupa in the same period, can be assumed to have been built using the same measurement standard. Also, by converting the measurements from Ocksajo (屋舍 條: the enforced zoning ordinance of architecture of Unified Silla dynasty), which was promulgated by the king 1 century later in the year 834, to the measurement standard of Dabo-stupa, the dimension of the highest aristocrat’s room was 27.56 m2 , while the lowest aristocrat’s and common people’s were 10.75m2 . While the members of the royal family did not have any limits on the height of the exterior wall for the irresidence, with the same conversion, the wall of the second highest aristocrat’s must not be over 175cm, and the second lowest artistocrat’s over 153cm. These are acceptable measurements considering the presumptive average height during the period was 164.7cm for male, and 150.8cm for female contrary to converting to the unit of Dang or Goguryeo dynasty, resulting in rooms and walls unreasonably big and tall, which was controversial among scholars.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measurement standard of Dabo-stupa was still being used in the 9th century. Until now, people believed that the unit of length in Unified Silla dynasty after the mid 7th century was either the unit of contemporary 145 China’s (Dang dynasty, 29.8cm) or Goguryeo dynasty (35cm). But from my analyzation of the structure of Dabo-stupa, its measurement standard is the same measurement standard derived from Han dynasty(B.C. 5-3C). Previous research suggests the family of the unit of Han dynasty(original Han unit is 23.1cm) disappeared during the 7th century, being replaced by the unit of Dang or Goguryeo. However, according to many books on various ancient Korean stupas, the measurements of those stupas built in those times do not result in integers with regularity to build a proper construction plan when measured by the unit of Dang or Goguryeo. And by examin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family of the unit of Han dynasty was still in use not only in the 7th century, but also in the 8th and 9th century as well. Therefore, given the evidence, it can be assumed that the family of the unit of Han dynasty did not disappear, but was constantly in use throughout the Unified Silla dynasty period.;불국사의 다보탑은 통일신라시대에 불국사가 창건될 당시 함께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불국사와 탑의 창건에 대한 기록을 보면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는 경덕왕대에 대성이 천보(天寶)10년 신묘(辛卯)(751)에 불국사를 처음 창건하였다고 하고 『불국사사적(佛國寺史跡)』과 『불국사고금창기(佛國寺古今創記)』에서는 대성이 불국사를 개수(改修)하고 탑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탑 자체의 개창(開刱)에 대해 기록하고 있는 석가탑 출토『묵서지편(墨書紙片)』의 「무구정광탑중수기(无垢淨光塔重修記)」에 의하면 대성이 이 탑을 경덕왕 즉위 원년인 742년부터 조성하여 세우되 혜공왕대(765〜780)에서야 완성한 것이라고 한다. 동아시아의 탑 중에서도 특이한 형태로 인해 이형탑(異形塔)으로 분류되는 다보탑에 대해서는 그간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방면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중 다보탑의 영조척(營造尺)에 대한 연구는 요네다 미요지(米田美代治)와 박흥수(朴興秀)에 의해 선행된 바 있다. 米田美代治는『朝鮮上代建築の研究』에서 多寶塔의 기준척을 1唐尺 (0.980125曲尺, 29.697cm)이라고 하였고, 朴興秀는 多寶塔의 기준척을 高句麗尺(35.52cm)으로 보았다. 그러나 2007년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실시한 정밀실측조사 결과에 의하면 다보탑의 수치는 고구려척이든 당척이든 어느 척으로도 완수로 환산되지 않았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보탑의 영조척을 구하기 위해 먼저 같은 치수가 반복되는 부재들 간의 의미 있는 비례 관계를 찾아보았다. 그 외에도 전체 부재의 데이터를 종합해 통계를 내 다보탑의 각 부재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준척을 도출하고 그것으로 탑의 각부 척 수를 구하여 다보탑 축성 당시의 조영계획을 재구성해 보았다. 다보탑의 영조척은 약 21.9cm였다. 그리고 21.9cm는 한 뼘 길이로 인체척으로도 볼 수 있다. 이 기준척을 불국사 삼층석탑에 적용했을 때 대부분의 부재의 수치가 완수로 떨어지는 것으로 보아 동일한 기준척으로 불국사의 두 탑을 조영한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다보탑 보다 약 60년 뒤에 만들어진 건축 법령인 삼국사기 옥사 조(屋舍條)의 척 수에 다보탑의 기준척을 대입해 산출해 보았을 때 당시의 방들은 오늘날 방들의 치수와 거의 유사했으며 담장의 높이도 당시 성인 남성의 키 보다 반 뼘 정도 높거나 얼굴의 중간까지 오는 정도의 높이였다. 그러므로 21.9cm의 한 뼘 인체척 혹은 漢尺 계열의 영조척이 8세기의 다보탑과 9세기의 통일신라시대에도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보탑의 영조척으로 탑의 각 부 척 수를 구하여 다보탑 축성 당시의 조영계획을 추리하여 재구성해 본 결과, 다보탑에는 정사각형과 대각선의 도형식, 원과 다각형의 내접원·외접원 관계, 동심원과 격자의 도면을 이용한 설계가 이루어 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전체 조형 계획의 기반에 天圓地方의 우주론이 있으며, 중첩된 원과 사각이 입체적으로 비례감 있게 배치되었다. 수치를 통한 구조 분석에서 중심주는 목탑의 심주와 같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기둥의 직경은 유지한 채 모를 다듬은 형태만 1층과 2층이 4각과 8각으로 달랐다. 1층 사천주의 위치와 형태는 위로부터의 투영도 상에서 보면 다보탑의 전체 조영 계획 중 다른 부재들과의 상관 관계에서 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 형태는 1층 기둥들 사이에 트인 공간을 줌으로써 시각적으로 다보탑의 2층 부가 공중에 떠 있는 듯 한 효과를 주었다. 그리고 불교의 세계관에 비추어 다보탑의 형태와 구조가 가지는 의미를 유추하여 수미산의 높이를 현재의 기단부 높이로 나누어 보았다. 다보탑의 층 수는 부재들 간의 수치 상의 상응 관계에서 살펴보았을 때 2층탑으로 보인다. 그리고 2층 부는 수미산 위의 天들 중 당시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고 사랑 받았던 도솔천일 가능성이 크며 그 가능성을 다보탑과 불국사의 형태적 상관관계 안에서 찾아보려 하였다. 그리고 다보탑이라는 명칭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불국사의 창건과 완성이 어느 종파나 승려에 의해서가 아니라, 김대성과 왕실에 의한 것이었음을 생각할 때 당시에 가장 많이 알려지고 사랑받았던 정토들인 미타정토, 도리천, 도솔천을 모아 놓은 佛國이었을 가능성을 살펴 보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