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1 Download: 0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에 포함된 8가지 과학 실천 분석

Title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에 포함된 8가지 과학 실천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8 Science Practices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Material of Teaching-Learning : Focusing on the Integrated Science Subject
Authors
이정원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애란
Abstract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inquiry learning students are suggested to engage by analyzing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quiry topic & activity(example), and activity paper of teaching material according to 8 science practices and detailed achievement goals as criteria Focusing on the integrated science subject. First, achievement standards of education process contain science practice 6 ‘Constructing Explanations and Designing Solutions’ at the highest proportion of 40 percent and it is followed in the order of science practice 4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and science practice 3 ‘Planning and Carrying Out Investigations’. Science practice 2 ‘Developing and Using Models’ and science practice 5 ‘Using Mathematics and Computational Thinking’ were barely reflected. Science practice 1 ‘Asking Questions and Defining Problems’ was not reflected at all. Second, inquiry topic & activity (example) of education process contain science practice 7 ‘Engaging in Argument from Evidence’, science practice 8 ‘Obtaining, Evaluat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science practice 3 ‘Planning and Carrying Out Investigations’, science practice 4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and science practice 6 ‘Constructing Explanations and Designing Solutions’ in the orde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sequence between science practice included in achievement standards and science practice included in inquiry topic & activity (example). And in most of the key concept,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science practice included in achievement standards in most and science practice included in inquiry topic & activity (example). Third, activity paper of teaching material developed on the basis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contain science practice 2 ‘Developing and Using Models’, science practice 3 ‘Planning and Carrying Out Investigations’, science practice 4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science practice 6 ‘Constructing Explanations and Designing Solutions’, science practice 7 ‘Engaging in Argument from Evidence’, and science practice 8 ‘Obtaining, Evaluat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in the order. Fourth, although the extent of including science practice in each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ducation process, inquiry topic & activity (example), and activity paper of teaching material varied, detailed accomplishment goal of each science practice was found to be all biased for the identical factor. Concretely speaking, science practice 2 ‘Developing and Using Models’ is biased toward activity of using model for relationship among composition factors (2-3), science practice 3 ‘Planning and Carrying Out Investigations’ activity of executing examination for data production (3-2), science practice 4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activity of analyzing for the production of valid and credible evidence (4-1), science practice 5 ‘Using Mathematics and Computational Thinking’ activity of using mathematical expression (5-2), science practice 6 ‘Constructing Explanations and Designing Solutions’ activity of configuring explanation on the basis of student's autonomously acquired evidence (6-2), science practice 7 ‘Engaging in Argument from Evidence’ activity of discussing about configured claim and evidence and raising and accepting criticism (7-3), and science practice 8 ‘Obtaining, Evaluat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activity of gaining through reading and assessing scientific information (8-3) and activity of communicating scientific information or thought (8-5). By contrast, science practice 1 ‘Asking Questions and Defining Problems’ is included only in activity paper of teaching material and is confined only in observing and questioning phenomenon (1-1) and type of raising the problem about the relationship with additional information (1-2).;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통합과학 과목의 성취기준과 탐구 주제 및 활동(예시) 그리고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 활동지를 8가지 과학 실천과 각 실천의 세부 성취 목표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이 어떠한 탐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는 과학 실천 6 ‘설명 구성하고 문제 방안 고안하기’가 전체의 약 40%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과학 실천 4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 과학 실천 3 ‘조사 계획하고 수행하기’ 순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과학 실천 7 ‘증거에 입각하여 논의하기’, 과학 실천 8 ‘정보를 얻고 평가하고 소통하기’는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반영되어 있었고 과학 실천 2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 과학 실천 5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이용하기’는 매우 적게 반영되어 있었다. 과학 실천 1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는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둘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탐구 주제 및 활동(예시)에는 과학 실천 7 ‘증거에 입각하여 논의하기’가 24%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과학 실천 8 ‘정보를 얻고 평가하고 소통하기’, 과학 실천 3 ‘조사 계획하고 수행하기’, 과학 실천 4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 그리고 과학 실천 6 ‘설명 구성하고 문제 방안 고안하기’ 순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과학 실천 2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 과학 실천 5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이용하기’는 매우 적게 포함되어 있었고 과학 실천 1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는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탐구 주제 및 활동(예시)에 포함된 과학 실천은 대부분의 핵심 개념에서 성취기준보다 탐구 주제 및 활동(예시)에 더 다양한 과학 실천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의 활동지에는 8가지 과학 실천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다. 과학 실천 3 ‘조사 계획하고 수행하기’가 21%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과학 실천 8 ‘정보를 얻고 평가하고 소통하기’, 과학 실천 2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 과학 실천 4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 과학 실천 6 ‘설명 구성하고 문제 방안 고안하기’, 과학 실천 7 ‘증거에 입각하여 논의하기’ 순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과학 실천 5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이용하기’와 과학 실천 1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는 매우 적게 포함되어 있었다. 넷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탐구 주제 및 활동(예시) 그리고 교수∙학습 자료의 활동지 각각에는 많이 포함되는 과학 실천 순이 달랐으나 각 과학 실천의 세부 성취 목표는 대부분 같은 것에 편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학 실천 2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는 ‘구성 요소간의 관련성을 보여주기 위해 모형을 사용하기(2-3)’, 과학 실천 3 ‘조사 계획하고 수행하기’는 ‘데이터 수집을 위한 조사 계획하고 수행하기(3-2)’, 과학 실천 4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는 ‘도구, 기술 또는 수학 사용하여 분석하기(4-1)’, 과학 실천 5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이용하기’는 ‘수학적 표현 사용하기(5-2)’와 ‘복잡한 문제에서 비율, 단위 전환 적용하기(5-5)’, 과학 실천 6 ‘설명 구성하고 문제 방안 고안하기’는 ‘학생이 얻은 증거에 기초하여 설명을 구성하기(6-2)’, 과학 실천 7 ‘증거에 입각하여 논의하기’는 ‘학생이 구성한 설명에 대해 논의하고 비판 제기하고 받아들이기(7-3)’, 과학 실천 8 ‘정보를 얻고 평가하고 소통하기’는 ‘여러 자원의 과학 정보를 얻고 읽고 평가하기(8-3)’와 ‘과학 정보나 생각을 의사소통하기(8-5)’의 세부 성취 목표에 편중되어 있었다. 과학 실천 1 ‘질문하고 규정하기’는 교수∙학습 자료의 활동지에만 극히 일부 포함되어 있었고 ‘관찰하여 질문하기(1-1)’와 ‘모형 또는 이론의 관계를 질문하기(1-2)’ 에 국한되어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