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3 Download: 0

Mark Bradford 회화작품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Title
Mark Bradford 회화작품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the Application of Mark Bradford Painting’s Forms in Fashion Design : Centered on the Hand cut-out Method
Authors
문혜원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보림
Abstract
현대 사회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며, 새로운 시대에 부합하기 위해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는 과거 디자인에서 보여지는 조형성과 기능성의 형태를 넘어 사회, 문화, 정치구조 등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 패션 디자인 분야에서도 과거 천편일률적인 구조에서 벗어나 현대인들의 다양한 니즈에 맞게 디자인을 창출하기 위해서 다양한 영역간의 협력과 경쟁을 기반으로 표현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디자인의 기법과 스타일을 표현하는 방식에서도 기존의 틀을 벗어나 서로 다른 방법을 결합하여 새로운 미적 가치를 제시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마크 브래드포드 회화작품의 조형성을 응용하여 선과 면의 요소를 강조한 모티프를 도입하여 디자인하였다. 마크 브래드포드는 주변 환경에서 발견되는 버려진 재료들을 이용하여 콜라주와 데콜라주를 결합한 작품으로, 선과 면을 이용하여 거미줄처럼 엮여있는 복잡한 생활 속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표현하고, 다층 구조로 인해 투시성이 강조되어 다채로운 색채를 표현하는 예술가이다. 이러한 조형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노방을 일정한 크기로 컷팅 하여 레이어링 하고, 선과 면을 응용한 모티프를 핸드 컷 아웃 기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기법을 결합한 작품이 지닌 독특한 조형성을 패션 디자인에 접목시킴으로써 표현영역을 확대하고자 한다. 연구의 이론적 체계로서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 내용과 방법으로 서론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단행본, 전시 홈페이지, 영상, 각종 문헌자료와 인터넷 리서치 자료들을 토대로 마크 브래드포드의 회화작품의 형성배경을 조사하고, 조형적 특성을 선과 면, 색채, 재질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브래드 포드의 작품이 응용된 디자인을 조사하여 본 연구와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연구하였다. Ⅲ장에서는 핸드 컷 아웃 기법에 대한 고찰하기 위해 기법의 기념과 종류를 살펴보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핸드 컷 아웃 기법이 현대 패션 디자인에 응용된 사례도 분석하여 이미지 특성을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마크 브래드포드의 회화작품의 조형성을 선, 면, 색채, 재질로 분석하고, 선의 요소를 강조한 모티브 3가지, 면의 요소를 강조한 모티프 3가지를 디자인에 접목시켜 패턴 디자인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모티프를 바탕으로 총 6착장의 아이템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크 브래드포드 회화작품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은 수직선, 수평선, 사선, 곡선, 방사선 등의 선이 반복 구성되어 형성한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기하학적인 형태들이다. 이를 작품의 모티프로 도입함으로써 역동적이면서 리드미컬한 회화적인 이미지를 창출 할 수 있었다. 둘째, 마크 브래드포드 회화작품에서 나타나는 콜라주 기법을 작품에 도입함에 있어서 노방을 일정한 크기로 컷팅하여 레이어링 하였고, 데콜라주 기법은 선과 면을 모티프로 구성하고 스티치 한 뒤, 핸드 컷 아웃 기법을 사용하여 소재 표면을 제거하였다. 이를 통해 바탕소재가 투시되어 색채의 대비, 공간감과 부조감을 통해 입체적인 형태를 극대화 시켜 표현할 수 있었다. 셋째, 소재 사용에 있어서는 노방과 올이 풀리지 않는 펠트 소재를 사용하였고, 소재의 두께와 레이어의 개수, 컷팅의 크기에 따라 소재의 유연성과 실루엣에 영향을 주었고 그 결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였지만 각기 다른 실루엣을 구성할 수 있었다. 넷째, 색채 표현에 있어서는 작가의 2가지 작품 색채를 결합하여 투명과 불투명의 독특한 조화를 표현하였다. 이너 색채는 소프트한 톤을 주로 사용하여 색과 색이 중첩된 자연스러운 톤 변화를 부드럽고 마일드한 느낌으로 표현하였고, 아우터 색채는 모던한 느낌을 주는 무채색에 비비드한 레드를 사용하여 톤의 대비 효과를 강조하여 경쾌한 이미지 표현을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마크 브래드포드 회화작품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을 모티프로 도출하고 이를 패션디자인에 접목시키기 위해 소재의 레이어링과 핸드 컷 아웃 기법을 사용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현대 패션디자인 표현에 있어 다양한 기법을 결합하는 방식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시도가 지속된다면 무한한 확장의 가능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Our modern society is endlessly changing,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paradigm of design transcends form and function, reflecting the society, culture, and political structures, in accordance with the new era. The field of fashion design is also moving away from the monotonous structure of the past, creating designs that fit the various niches of modern people through the expansion of expression based on the cooperation and competition with various other fields.. Also, even the methods of the techniques and styles of expression is moving away from the existing standard, combining different ways to create new artistic value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by applying the form of Mark Bradford’s paintings, incorporating motifs that accentuate the lines and surface elements. Mark Bradford is an artist that uses disregarded materials foun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reating works that are a combination of collage and decollage, and uses the lines and surfaces to express the complicated spiderweb of communication found in life. Bradford uses multiple layers which emphasize the perspective, expressing various colors. no-bang is cut to a consistent size and layered to effectively express thes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forms of the unique works that use motifs that are made up lines and surfaces made with the hand-cut-out method and combined with other methods, are applied to fashion design to expand the range of expression. As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study, the contents of each chapter are as the following. ChapterⅠpres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contents, and methods in the introduction. Chapter II investigates the background of Mark Bradford’s paintings based on books, exhibition homepages, videos, various documents and internet research, and analyse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to lines, surfaces, colors, and materials. The designs that are applications of Bradford’s works are investigated to compare the similarities to this study. Chapter III looks at the types and history of techniques to contemplate the hand-cut-out technique, and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The modern fashion designs that are applications of the hand-cut-out technique are analysed as example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Chapter IV analyses Mark Bradford’s paintings in lines, surfaces, colors, and textures, and incorporates 3 motifs that emphasize the line element, and 3 motifs that emphasize the surface elements into the pattern design. A total of 6 items were manufactured with these motifs as the base.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is as the following. Firs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found in Mark Bradford’s paintings are straight lines, horizontal lines, diagonal lines, and curves repeating to form triangular, rectangular, or other polygonal shapes.Incorporating this into the work’s motif allowed for a dynamic, yet rythmical, painted image. Second, the collage technique found in Mark Bradford’s paintings are incorporated into the work by cutting the no-bang into consistent sizes and layered, and the decollage technique composes and stitches the lines and surfaces as the motif, which is then processed with the hand-cut-out technique to remove the material’s surface. Through this, the base material shows through, and maximizes the 3-dimensional form through color and contrast, and the space and sense of relief. Third, the material used was felt to prevent the no-bang and string from falling apart;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the number of the layers, and the size of the cutting affected the material’s flexibility and silhouette, and the layers and same materials were used, but each was able to make its own unique silhouette. Fourth, when it comes to color expression, the color palette of 2 of the artist’s works were combined to create unique transparent and opaque combinations. The inner colors used were mostly soft tones to express the natural tone changes between colors in a soft and mild way, while the outer colors used were achromatic and vivid red to emphasize the contrast in tones to create a light and cheery atmosphere. This study used the layering of materials and the hand-cut-out technique to expres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expressed with the various lines and surfaces found in Mark Bradford’s art works, in fashion design. Furthermore, if methods to combine various techniques for the expressions in modern fashion design are analysed, studied, and attempted to further develop based on this study, there is potential for unlimited expan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