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종목-
dc.contributor.author이수진-
dc.creator이수진-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30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3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4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46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142-
dc.description.abstract우리는 세상을 살아가면서 수많은 음식을 접하게 된다. 음식에 투영된 인간의 욕망은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 되어져 왔다. 우리나라의 제사문화나 성황당의 풍습에서 보이듯 음식은 인간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담아 소망하는 의미를 갖는다. 소원을 빌며, 풍성하게 차려진 음식들을 사람들과 함께 나누어 먹으면서 즐거운 잔치를 벌이는 가운데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음식이 있었다. 음식에는 시대상과 민족혼이 깃들어 있기도 하다. 현대사회로 넘어오면서 음식에 대한 인간의 욕망은 풍요로움을 그 이상의 다양한 욕구를 담고 있는 도구로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음식이라는 소재를 통해 현대인의 욕망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어느 날 배부름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맛있는 음식에 대한 탐닉을 하는 본인의 모습 더 나아가 현대인들의 모습을 보면서 ‘왜 이런 현상이 반복되는 것일까’하는 의문이 들었다. 배부름에도 불구하고 맛있는 음식을 찾으려하는 멈추지 않는 유혹들, 요즘 ‘먹방’,‘맛집’과 같은 새로운 신조어가 생겨날 만큼 먹는 것에 관한 현대인들의 관심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맛집’은 과거의 단순히 ‘맛있는 집’을 통칭하는 것 이 아닌 ,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현대사회의 발전이 가속화 되면서 인간의 삶은 윤택해지지만 어딘가 허기진 모습이다. 본인은 이러한 현상이 왜 생겨나는지, 현대인의 심리에 어떤 작용이 일어나고 있는지 매체를 통해 살펴보면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대인들은 ‘왜 욕망 하는가’를 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고 동, 서양에는 욕망이라는 주제로 어떤 회화의 표현들이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음식을 이미지화 시켜 연구하는 과정으로서 본인의 작품의 개념과 표현방식을 살펴보고 먹과 채색작업을 하여 병행하여 다양성을 추구 하였다. 표현 방법연구에 있어서 유희적 드로잉, 글과 그림의 효용으로 세분화 시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본인의 작품 안에서 음식 이미지는 복잡한 배치와 어지러운 형상을 띄게 되는데 이것은 현대사회 속 수많은 음식들에 현대인들의 심리를 복합적으로 드러내고자 함과 동시에 현대사회 속에 접할 수 있는 무궁무진한 음식들을 드러내기 위함 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탕으로 본인이 화폭에 담는 욕망의 의미는 인간의 기본 욕구중 하나로서 배설과 같은 자연스러운 것이며, 부정의 의미가 아닌 긍정의 의미라는 것이 연구의 핵심이다. 본인은 삶 속에서 인간이 최대한 향유하고 즐겁게 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작업에 임하고 있다. 음식을 향유하며 즐겁게 살아가는 것이 짧고도 긴 인생을 살아가는 낙(樂)이 아닌가 생각한다. 앞으로 본인이 작업하는데 있어서 본 논문이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기반이 되고, 좀 더 성숙하게 나아가는 발화점이 되었으면 한다.;People experience a lot of food as they live in this world. Human desires reflected in food have been expressed in various ways from the past until now. As shown in the culture of ancestral rites or the custom of Seonghwangdang (shrine to the village deity) in Korea, food signifies human desire to convey the fortunes and hope for good fortunes. Food served as a medium in the act of making wishes, sharing food prepared abundantly with other people and having a pleasant feast. Food also carried the phases of the times and the spirit of the people. Entering the modern society, human desire for food is expressed as a medium that reflects various desires beyond abundance.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desire of modern people through food, a subject matter experienced commonly in everyday life. Realizing one day that modern people as well as the researcher constantly indulge in delicious food even when they are full, the researcher raised a question as to why this phenomenon is repeated. As reflected in the endless temptation to seek delicious food regardless of satiety, modern people’s interest for food is ever so increasing to the extent of coining new words such as ‘meokbang’ and ‘matjib.’The word ‘matjib’ is not simply an acronym to commonly designate existing‘delicious places,’but is becoming a trend in the modern society. The lives of humans are becoming affluent with the accelerated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and yet, human beings somehow still look hungry. The researcher conducted this study to examine the reasons to these phenomena by investigating the workings of modern people’s psychology through various media and considering opinions of various scholars. The query for the background to modern people’s endless desire was examined with a psychological viewpoint. In addition, with a focus on how the theme of desire are expressed in paintings. previous works from the East and the West were examined. As a process of studying the imaging of food, the researcher’s works were thought out in terms of concept and method of expression, and were created with diversity combining Indian ink work and coloring. As for the method of expression, the study divided the methods into playful drawing, the usefulness of text and painting for consideration. In the works of the researcher, the images of food are presented in complex arrangements and chaotic shapes as a way to compositely reveal the psychology of modern people through the numerous food of modern society and concurrently show the endless number of food which can be encountered in modern society. The core of this study is that the desire reflected in the researcher’s works through these methods of expression does not imply negativity but positivity, and signifies what is as natural as excretion, which is one of the basic needs of humans. The researcher has been doing art work with the hope that humans beings will live happily enjoying life as much as possible. One of the ways of living a life, whether short or long, in pleasure is perhaps to enjoy foo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researcher’s future works and also as an inspiration for further artistic growt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1 Ⅱ. 이론적 배경 3 A. 시대적 흐름에 따른 음식 욕망 3 B. 현대사회에 비춰진 음식 욕망의 심리학적 접근 5 1. 보상으로서의 음식 11 2. 과시대상으로서의 음식 12 Ⅲ. 동서양에 나타나는 욕망으로서의 음식과 회화 14 A. 주술적으로 바라본 욕망회화와 음식 14 B. 관찰대상으로 드러나는 음식회화 16 C. 소비사회 속의 음식회화 19 Ⅳ. 조형적 표현 연구 22 A. 유희적 드로잉 22 B. 글과 그림의 효용 25 Ⅴ. 작품분석 29 Ⅵ. 결론 66 참고문헌 68 ABSTRACT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831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음식 욕망의 시각적 유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Visual Play of Desire for Food-
dc.format.pagev, 72 p.-
dc.contributor.examiner오숙환-
dc.contributor.examiner이기영-
dc.contributor.examiner김보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