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01 Download: 0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통한 추상표현주의 작품 분석

Title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통한 추상표현주의 작품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Expressionism Through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Authors
정은주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본 논문은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의 시지각 이론을 통한 추상표현주의 작품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아른하임은 게슈탈트(Gestalt) 심리학의 이론을 토대로 그의 시지각 이론을 발전시켰으며, 이를 예술작품에 적용시켜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작품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였다. ‘본다는 것’은 막연히 보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과정으로, 아른하임은 시각과 지각, 사고가 분리된 것이 아니며 그 자체로 시각적 사고임을 밝힌다. 시각적 사고는 대상을 하나의 전체로 지각할 수 있도록 하는 인지과정으로, 아른하임은 게슈탈트 심리학의 전체성과 형태성에 주목하고 있다. 전체를 다루는 것은 각 요소들이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단순성의 원리로 우리의 시지각 안에서 체제화되어 이해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특히 아른하임은 시지각의 단순화, 선택성, 항등성과 같은 인지적 특성을 강조하고 작품의 구조와 관찰자의 정신적 과정에서 일어나는 상호 작용에 주목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아른하임의 예술심리학의 기본 개념인 균형, 형, 형태, 성장, 공간, 빛, 색, 운동, 긴장, 표현 영역을 통해 작품내에서의 통일과 조화를 이루어 전체성과 단순성을 이룰 수 있게 한다. 아른하임은 그의 시지각 이론을 적용하여 조형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작품에서의 심리적 신비를 풀어내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과 예술심리학의 관점이 어떻게 예술 작품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시지각에 의한 형태주의적 분석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추상표현주의는 구체적인 형식 요소가 사라져 보이기 때문에, 시지각 작용을 통한 구조적인 이해가 어려워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아른하임은 지각자가 복잡한 시각적 현상이나 패턴을 보기 이전에, 대상의 기본 특성을 전체적인 통합적 모습과 구조로써 파악한다는 게슈탈트적 입장에 따라 각각의 표현에 담겨있는 표면의 구조적 패턴, 그리고 내재된 상징을 이해할 수 있으며 비로소 시각적 사고를 통한 작품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지각이 대상의 주요 요소들을 구조적으로 축양하여 수렴한다는 기본 입장을 통해 폴록, 드쿠닝, 로스코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예술작품을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바라보고자 하며, 시지각 그 자체의 심층적인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현매 미술에 대한 시각적 해석의 가능성을 제공하고자 한다.;This purpose is a study on the analysis of abstract expressionism through Rudolf Arheim 's visual perception theory. Based on the theory of Gestalt psychology, Arnheim developed his theory of visual perception and applied it to artistic work, allowing him to look more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Seeing' is not a vague idea, but an active and active process, Arnheim reveals that vision, perception, and thinking are not separate, but are visual in and of themselves.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focuses on the total and formality of Gestalt psychology. Dealing with the whole means that each element is understood and interpreted in our visual perception as a principle of simplicity rather than being individually present. In particular, Arnheim emphasizes cognitive characteristics such as simplicity, selectivity, and equality in visual perception, and focuses on the interplay between the structure of the work and the mental processes of the observer. These interactions enable unity and harmony within the work through ten areas of balance, form, form, growth, space, light, color, movement, tension, and expression to achieve overall and simplicity. Arnheim applied his visual perception theory and tried to solve the psychological mystery in his work by analy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Thus, by looking at how Arnhe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and art psychology view can be applied to abstract expressionism, we can see the artwork again in terms of visual perception, visual thinking and artistic psychology. Especially, abstract expressionism has the characteristic expressiveness of contingency and painters, so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general and ordinary understanding through visual perception because the form, shape, and color are difficult and the style is abstract. However, even though the perceptors see complicated visual phenomena and patterns, they can read the structural patterns and symbols embodied in each expression when they look at the work according to the Gestural position that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sm are to grasp the overall integrated appearance and struc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