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35 Download: 0

농촌지역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치매지식과 태도

Title
농촌지역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치매지식과 태도
Other Titles
Differences in Dementia Experience ,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Middle age and Elderly age in Rural area
Authors
정혜경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건정
Abstract
This research i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ementia experience and demenetia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middle aged persons and elderly persons in the rural area. For the collection of data,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iddle-aged persons between the ages of 40 and 64 and the elderly persons over 65 living in D Myeon, Po-hangsi from May 24, 2016 to June 14, 2016. As the research tool, the slef reporting questionnaire composed on dementia experience and awareness,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 was used. The research tool developed by Cho Maeng-jae(2009) was used, and for dementia attitude, the research tool developed by Lee Yeong-hwi (2007)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78 middle-aged 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ose who had the highest percentage were: those between the ages of 40 and 54 (67.9%), males (53.8%), married persons (74.4%), those with jobs (74.4%), those with average monthly income of over 2 million won (57.7%) and those whose highest level of education was high school (46.2%). Of the 80 elderly 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ose who had the highest percentage were: those between the ages of 65 and 74 (68.8%), women (68.8%), married persons (73.8%), those without jobs (81.3%), those with average monthly income of 1-2 million won (48.8%), and those whose highest level of education was middle school (88.8%). 2. The participants’ dementia experience differences. In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y had taken the dementia test,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5.1% of the middle-aged persons who answered ‘yes’ and 92.5% of the elderly persons who answered ‘yes.’ In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y had acquired the dementia information, the percentages of answering ‘yes’ in both the middle-aged persons and the elderly persons were significantly high (80.8% and 95.0%, respectively). 3. The participants’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 differences The average scores of the dementia knowledge of the middle-aged persons and the elderly persons were 8.79±1.90 and 9.81±1.98, out of 15,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scores of the dementia attitude area of the middle-aged persons and the elderly persons were 41.67±6.60 and 35.77±6.23, out of 60, respectively. 4. Differences in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mentia experienc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in dementia knowledg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middle-aged persons when their average monthly income(t=3.939, p=.019) was high, and they had jobs(t=2.965, p=.004). In dementia attitude according to experience, it was so, when there were no surrounding persons(t=-2.771,p=.007) who received dementia diagnosis of the elderly. 6. Th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 The facors influencing dementia konwledge and attitude wire surrounding persons who received dementia diagnosis β=-.258(p=.049), and as the factors influencing dementia attitude, jobsβ=.049(p<.001), surrounding persons who received dementia diagnosis β=.327(p=.003)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e study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dementia experiences,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 between the middle-aged persons and the elderly persons of the rural area. Dementia knowledge in the two groups improved from the past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dementia attitude between the middle-aged-persons and the elderly persons.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lternative ways for conversion into positive dementia attitude and it can be inferr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mentia education programs each for the middle-aged persons and the elderly persons.;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연령에 딷라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치매지식 및 태도에 대해 파악하고 비교·분석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며 치매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일개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장년층 78명, 노년층 80명, 총 158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24일부터 6월 14일까지 진행되었고,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성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치매지식은 조맹제 등(2009)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치매태도는 이영휘(2007)가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test,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치매경험 중·장년층의 경우 평균 연령은 50.10±7.56세, 최종학력은 고졸이상이 46.2%로 가장 많았고, 월소득은 200만원 이상인 경우가 57.7%, 대상자의 74.4%가 결혼을 하였으며 75.6%가 동거자와 함께 살고 있었다. 노년층의 경우 평균연령은 71.64±4.84세, 최종학력은 중졸이상이 41.3%로 가장 많았고, 월소득은 100-199만원에서 48.8%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대상자의 73.8%가 결혼을 하였으며 26.3%가 동거자가 있었으나 혼자 사는 경우 73.8%로 높게 나타났다. 치매 검사 유무의 문항에서 중·장년층은 ‘있다’ 5.1%, 노년층은 ‘있다’ 92.5%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다. 치매정보 취득 유무의 문항에서는 중·장년층과 노년층 모두 ‘있다’(80.8%, 95.0%)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매발병 가능성에 대해 중·장년층과 노년층 모두 ‘나도 치매에 걸릴 가능성 있다’(43.6%, 42.5%)고 응답하였고, 치매진단시 희망 돌봄자로는 중·장년층과 노년층 모두 의료진, 배우자, 자녀 순이었다. 2.. 대상자의 치매지식과 태도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치매지식은 15점 만점에 중·장년층 평균 8.79±1.90점, 노년층 평균 9.81±1.98점이었다. 영역별 치매지식 분석 결과를 보면 치료 및 예방 영역은 3점 만점에 중·장년층 2.33±0.57점, 노년층 2.41±0.63으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역학 및 제도 영역은 3점 만점에 중·장년층 1.03±0.78점, 노년층 1.82±0.77점으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치매태도는 60점 만점에 중·장년층 평균 41.67±6.60점, 노년층 평균 35.77±6.23점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과 치매경험에 따른 치매지식과 태도 중·장년층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지식은 월소득(t=3.939, p=.024), 직업(t=2.362, p=.02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치매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경험에 따른 치매지식과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년층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지식은 연령(t=2.965, p=.004), 교육수준(t=2.903, p=.040), 월소득(t=4.126, p=.020), 결혼유무(t=2.505, p=.019), 동거형태(t=2.505, p=.01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치매태도는 종교유무(t=2.826, p=.006), 월소득(t=5.492, p=.006), 직업유무(t=4.347,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매경험에 따른 치매지식과 태도에서는 치매진단 받은 주변인(t=-2.771, p=.007; t=-2.962, p=.00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치매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치매경험을 통제한 상태에서 치매지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는 치매진단 받은 주변인(t=-2.096, p=.038)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치매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직업유무(t=2.904, p=.004), 치매진단 받은 주변인(t=3.063, p=.00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 농촌지역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치매지식 및 태도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집단 모두 치매지식은 과거에 비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치매태도에 대해서는 중·장년층과 노년층 간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농촌지역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치매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상자의 연령, 성별, 교육수준, 결혼 유무, 직업유무 등 개별적인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긍정적인 태도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치매예방교육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치매지식과 태도를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