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3 Download: 0

예술기반경영 맥락에서 임직원의 예술체험 의미와 창의성 발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itle
예술기반경영 맥락에서 임직원의 예술체험 의미와 창의성 발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eaning that employees experience art and the manifestation of creativity in the context of Arts-based management : Focusing on a case of corporation S
Authors
정소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음악예술경영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근
Abstract
최근 글로벌 기업들은 과학중심주의 사고와 경영방식으로 관리하던 보수적인 조직 환경을 탈피하고,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제품 및 서비스를 만들어내고자 창의성에 주목한다. 특히 이러한 가운데 문화예술 경험과 창의성은 불가분의 관계로서 심미적, 정서적, 지적으로 깊은 영향을 주며 사고의 변화를 일으킨다는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예술 향유, 특히 클래식 공연 관람 경험은 한 자아에게 어떠한 의미인가? 공연 관람 경험을 통해 개개인의 창의적 사고 발현 및 행동에 가져오는 변화는 어떤 것인가? 라는 물음에 답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그동안 해당 분야 연구는 단편적 영향에 관한 데이터와 설문 통계 등 실증 분석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여러 선행 연구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수치로 얻는 답변으로는 눈에 보이지 않은 정신적 변화와 이를 통해 업무에서 발현하는 창의적인 행동의 구체적 사례를 이끌어내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예술 경험에 대한 심도있는 효과 분석이나 창의적 행동 발현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 예술기반경영의 맥락에서 임직원들에게 클래식 공연 관람 경험이 가지는 의미와 개개인의 창의적 사고 발현 및 행동에 가져오는 변화를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보다 풍부하게 탐구하는 것에 목적을 가진다. 먼저 탐구 주제의 핵심 배경인 예술기반경영과 창의성의 개념, 그리고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조직 환경을 살펴 보았다. 예술기반경영은 기업이 문화예술을 경영에 활용하여 기업의 전반적 가치를 높이는 전략적 활동으로, 기업 조직 내 소통과 화합을 견인하여 조직 문제를 해결하고 기업의 가치를 제고하는 등 새로운 경영 전략의 패러다임으로 조명되고 있다. 창의성은 시대의 변화와 학계에 따라 다양한 개념으로 정의되어 왔는데, 본 논문에서는 Guilford, Osborn, Amabile 등 경영학자들의 논의 맥락에 따라 창의적 산출물을 내기 위하여 새로운 방식과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개인의 ‘창의적 사고 능력’으로 재정의한다. 또한 창의성 발현에 관한 연구가 환경적인 논의로 이어지면서 조직 내 개인, 집단 및 조직의 창의적 특성과 행동, 환경 조건의 복합적인 상황 요인이 조직 구성원에게 영향을 주어 창의성이 발휘된다는 연구 결과들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창의적 환경 조성’을 염두에 두고 인터뷰를 수행함으로 심층적인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인터뷰 참여자는 총 6명으로 모두 해당 기업이 운영하는 콘서트홀 공연을 2년여간 지속적으로 관람한 임직원이며, 다양한 의견을 수집하기 위해 업무, 직급, 년차의 특성을 고려해 선정하였다. 인터뷰는 2017년 2월 ~ 5월까지 개별적으로 진행한 후 참여자들의 진술을 분석하였다. 그 중 개방코딩으로 수십 개의 의미있는 내용을 뽑아 의미단위를 묶어11개로 분류하고, 연구결과로 6개의 유의한 주제를 도출하였는데, 1) 공연 감상을 통한 감성적인 욕구의 충족과 힐링, 2) 지속적으로 향유하는 클래식 컨텐츠를 통한 질적 사고 발현, 3) 자발적으로 즐기는 예술 향유 공간이 갖는 동기부여의 효과, 4) 진정한 존중으로부터 일어나는 임직원들의 자부심과 애사심, 5) 보수적인 집단의 조직원에게서 나타나는 공연 애착도의 동인, 6) 클래식 공연 향유로 일어나는 창의적 사고와 행동의 변화이다. 분석 과정을 통해 도출된 각각의 주제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연구참여자들에게 일어난 모든 사고와 행동의 변화를 추상화시켜 볼 때 창의성 발현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단편적이고 계량적인 수치로 성과를 검증하기보다는 풍부한 양질의 인터뷰를 통하여 나타나는 심층적인 의미와 이로부터 드러나는 현상에 대한 함의를 고찰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특히 만족도가 높거나 적극적으로 애착도를 보이는 임직원들의 동인을 파악한 점은 타연구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문화예술복지가 임직원들에게 진정성있고 차별화 되었을 때 복합적인 성과물들을 통해 그 가치가 드러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이론적•실무적으로 방안을 모색하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Global corporations have recently focused on creating the most innovative and differentiated products and services by changing their creative and unique way of thinking that escapes from the existing viewpoints. Especially, discussions that experience and creativity of culture and art have an esthetic, emotional, and intellectual effect on each other as an inseparable relation and cause changes of thinking are still proceeding. This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answer questions about what art enjoyment, especially experience of enjoying classical concerts, means to ego and how experience of enjoying classical concerts causes changes in individual way of manifesting creative thinking and behaviors. Meanwhile, the studies of the applicable field have mostly been empirical studies including data and survey statistics about employees’ satisfaction, increases in loyalty to the company, and influence factors of creativity. However, the answers obtained from numerical values have the limits to draw invisible mental changes and specific cases of creative behaviors shown in business through those changes as pointed out in the several precedent studies. And there are few in-depth effectiveness analyses on art experience or in-depth studies on manifestation of creative behaviors when compared to emphasis on the culture and art necessity and various attempts to apply art to business administr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 research on the meaning of experience of enjoying classical concerts provided for employees by companies in a context of art-based business administration and the changes in manifestation of individual creative thinking and behaviors more richly. Before the study, Arts-based management,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an effect of organizational environment on manifestation of creativity which ar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search theme were examined. Arts-based management is a strategic activity to increase the overall value of enterprises as they utilize culture and art in management and has been a paradigm of a new business strategy including solving organizational problems by making a contribution to communication and harmony in business organization and increasing the value of enterprises. Creativity has been defined as various concepts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and the academic circles. It is again defined as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individuals that enables new methods and approaches to produce creative outputs according to the contexts of agronomists’ discussions including Guilford, Osborn, and Amabile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the studies have found that creativity is manifested because factors of complex situations including individuals in organization,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groups and organization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have an effect on constituent individuals of organization as the studies on manifestation of creativity are connected to discussions on environment.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in-depth meaning by bearing ‘the creation of creative environment in mind’ and conducting interviews. Participants in the interviews are total 6 persons, the employees who have continued to watch the concerts of the concert hall managed by the applicable company for 2 years. They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uties, positions, service years to collect various opinions. The interviews were individually arranged from February to May 2017 and the participants’ statements were analyzed. Among them, dozens of meaningful contents were selected by open coding and were classified into 11 by binding them by meaning unit. And 6 significant subjects were drawn as the result of the study as follows: 1) emotional desires’ satisfaction and healing by appreciating performances, 2) manifestation of qualitative thinking through classical contents to continue to enjoy, 3) motivation effects of space to enjoy art voluntarily, 4) employees’ loyalty to the company that occurs from true respect, 5) drives of attachment to performances shown in members of conservative groups, and 6) changes in creative thinking and behaviors that occur from enjoyment of classical concerts. Each subject drawn through the analytical process has found to be shown being organic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be naturally connected to the manifestation of creativity when all the changes of thinking and behaviors that occur in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tudied the in-depth meaning shown through the rich interviews of good quality and the implications about the phenomena done in them rather than verifying the results with the fragmentary and quantitative numerical values. Especially, the point that the agent of the employees who showed high satisfaction or attachment actively was grasped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studies. As examined in the study, it implies that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welfare can be shown through the complex accomplishments when it has authenticity and is differentiated for employee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provide the foundation to seek theoretical and practical plan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음악예술경영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