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애란-
dc.contributor.author윤현정-
dc.creator윤현정-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28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2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4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44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120-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는 생활수준의 향상, 평균연령의 증가로 인하여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이에 따른 노인 부양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노인 요양시설의 증가와 더불어 요양시설에 입소하는 노인들도 급증하는 추세이다. 노인이 노인요양시설의 입소하는 것은 그동안의 익숙한 생활환경과 밀접한 가족과 떨어져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하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높고 우울감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기 쉬우며 제한된 환경과 관계 안에서 생활해야하기 때문에 대인관계가 축소되어 심리적으로 소외감이나 고립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은 지역 사회 거주 노인보다 우울감이 높고 대인관계가 위축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다루기 위한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우울감과 대인관계를 알아보고 집단미술치료를 시행 후 대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에게 한국형 노인 우울 검사(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와 대인관계 변화척도(Relationship Change Scale : RCS)를 실시하였다. 한국형 노인 우울 검사에서 8명의 연구 지원자 중에서 14점 이상 받고 대인관계 변화척도에서 지원자들의 평균점 이하를 받은 노인 중 미술활동이 가능한 2명의 노인을 선정하여 연구의 동의를 얻은 다음 집단미술치료를 시행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6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사전, 사후 검사를 제외하고 주 1회 60분 동안 총20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자료 수집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매 회기 녹음을 하였고 이를 전사한 축어록, 연구 관찰 일지, 미술 작업과정과 작품 사진 그리고 복지사와의 면담을 참고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대상자 A, B의 미술적, 언어적 표현과 행동, 정서 변화와 집단의 역동을 관찰하여 기록하고 매회기 대상자의 작품과 자료 수집한 내용을 통하여 대상자들의 우울과 대인관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대상자들이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미술매체를 다루는 것에 흥미를 느끼면서 저하되었던 의욕이 상승하게 되었다. 그리고 대상자들이 초기에 보였던 수동적이고 무기력한 모습이 점차 완화하였고 따라서 이는 우울감이 감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대상자들 사이에 점차 친밀감과 신뢰감이 쌓이고 서로 지지하고 격려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초기에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상호작용이 회기가 지날수록 자연스럽고 원활해졌다. 특히 집단작품을 할 때 대화가 풍부해지고, 공감대가 형성되어서 집단의 응집이 일어났는데 이는 긍정적인 대인관계의 형성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As Korea has become one of the fastest aging society in the world with an improving income level and an increasing longevity, supporting senior people has emerged as a major social issue. Obviously, growing number of senior people are moving into senior care facilities that are mushrooming nationwide. For senior people, moving into those facilities is a quite stressful experience that might result in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isolation and loneliness because they need to adjust to new environment away from home and limited relationships in contrast to intimate relationships they used to have with their own family members. In this regard, more systematic and therapeutic approach is required for such senior people in care facility since they tend to have more serious degree of depression and intimida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an the other senior people residing at their home with family. In this paper, I intend to observe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on senior people who reside in senior care facility in S city, with a focus on how such therapy should help change and improv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vercome depression. First,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and 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were given to a group of eight senior people. Then, two participants were selected who scored over 14 in KGDS and below the average score in RCS and also were physically able to conduct art activities. With their agreement to this research activities, 20 sessions of one hour weekly group art therapy were provided over six months (June 2016 ~ December 2016). In terms of research approach, data and information were collected from audio/video recording, notes, daily research memo, progress reports, photos of art works and interview notes. For detailed analyses, all of their artistic expressions, emotional and verbal expressions, changes in emotions and behaviors and group dynamics were carefully monitored and moreover, any changes i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 degree of depression were thoroughly documented in each session.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is summarized as below: First, group art therapy seemed to help the participants to more actively express their underlying artistic desire and improve their motivation while exploring various interesting art materials. As a result, participants were able to overcome their initial passive and hopeless attitude and thereby turned more positive, engaged and less depressed. Second, group art therapy also helped the participants to build mutual trust by supporting and encouraging each other’s art works and activities. Such interactions became more frequent and natural over time, which rarely took place at the beginning of therapy. More specifically, when they conducted cooperative works, they had meaningful dialogue and active conversation, which led to mutual bondage, a pragmatic proof of formation of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From this thorough research, I could conclude tha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and helpful for senior people in a care facility to improve their depression and develop mor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Ⅱ. 이론적 배경 6 A.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 6 B.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우울 15 C.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대인관계 16 D. 노인집단미술치료 18 Ⅲ. 연구방법 22 A. 연구대상 22 B. 연구절차 24 C. 측정도구 25 D.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26 E. 자료분석 29 Ⅳ. 연구결과 30 A. 한국형 노인 우울검사 (KGDS) 결과 30 B. 대인관계변화척도(RCS) 결과 33 C. 회기내용분석 36 Ⅴ. 결론 및 제언 79 참고문헌 83 부록1. 87 부록2. 88 부록3. 89 부록4. 90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829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집단미술치료가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우울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f Group Art Therapy’s effect on the elderl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t the senior care facility-
dc.creator.othernameYoon, Hyun Jung-
dc.format.pagevii, 93 p.-
dc.contributor.examiner박숙영-
dc.contributor.examiner한경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