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77 Download: 0

초·중급 한국어 학습자 대상 읽기 지도 방안

Title
초·중급 한국어 학습자 대상 읽기 지도 방안
Other Titles
Reading Instruction for Beginner and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 Through Teaching Method of Reading Aloud
Authors
박민지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는 읽기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말하기, 듣기, 쓰기 외에도 발음과 억양, 의미 전달 능력, 유창성 및 정확성 등의 향상을 위한 기본 요소로 보고,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읽기 전략들 중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을 통해 읽기 수업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제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읽기 교재 중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텍스트를 선정한 후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을 활용한 초·중급 한국어 학습자 대상 읽기 수업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검토 결과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이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정의적인 요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을 통한 한국어 읽기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2장에서는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을 활용한 실제적인 지도안을 구성하기 위하여 한국어 읽기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과 소리 내어 읽기의 다양한 유형별 특징 및 소리 내어 읽기 지도의 유의점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읽기 수업 지도안의 텍스트를 선정하기 위하여 한국어 읽기 교재의 목록을 제시하고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을 참고하여 초급과 중급으로 나누어 주제 및 텍스트를 목록화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등급에 따라 초급에서는 상향식 읽기 과정, 중급에서는 상호적인 읽기 과정을 활용하여 '읽기 전 → 읽기 중 → 읽은 후‘의 수업 구성 기준을 마련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등급별 수업 구성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존의 읽기 수업에 체계적인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을 더하여 각각의 읽기 수업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었던 내용 이해 학습을 소리 내어 읽기 교육 방법과 접목하여 초·중급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읽기 지도안을 작성해 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읽기 지도안을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하지 못했으며, 이에 따른 효과성 또한 검증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읽기 지도안을 한국어 읽기 수업에 적용해보고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지속적인 읽기 교육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reading aloud as a method to instruct reading class among a variety of reading strategie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garding reading as fundamental elements to foster learners’ pronunciation, intonation, communicative capacity, fluency, and accuracy besides speaking, listening, and writing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us, after selecting texts according to learners’ level among reading materials that are actually used in Korean education institutions, a reading instruction plan using reading aloud method for beginner and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was designed. The first chapter clarifies the aim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investigated previous studies. After investigating previous studies,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that prove reading aloud has positive influence not only on development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but also on affective factors, but studies about Korean reading instruction plan throughout reading aloud method haven’t been conducted so far. In order to design practical instruction plan utilizing reading aloud method, the second chapter takes a look into overall theories about teaching reading in Korean, characteristics of reading aloud per its various types, and considerations in instructing reading aloud. The third chapter suggests the list of Korean reading materials in order to select texts for reading instruction plan and then catalogues topics and texts into beginner level and intermediate level with reference to international standard model of Korean education. Additionally, by utilizing bottom-up processing for beginners and interactive models for intermediate learners according to their levels, the criteria for class composition of ‘Pre-reading → While-reading → Post-reading’ was designed. The fourth chapter shows designs of reading instruction in which reading aloud method is applied into existing reading classes based on the criteria for class composition suggested in the third chapter respectively. Throughout the process of the study as above, a reading instruction plan for Korean learners in their beginner and intermediate was designed with reading aloud combined with content comprehension learning, which has been the limitation of reading aloud method. However, this study could not apply the reading instruction plan into the actual field of Korean education, and its effectiveness also was not examined. Therefore, the following study intended to contribute to continuous studies on reading instruction by applying the reading instruction plan suggested in the study into Korean reading classes and examining its effective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