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0 Download: 0

구성주의 교수-학습 환경 실천을 위한 교사 변인 탐구

Title
구성주의 교수-학습 환경 실천을 위한 교사 변인 탐구
Other Titles
Consideration of Teacher Variables for Constructive Instructional-Learning Environments :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Parent Partnership Behavior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Authors
강찬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재삼
Abstract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인재육성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육 체제의 필요성 인식에 따라 교육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교수-학습제제로 구성주의 학습이론이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구성주의에서 학습은 개인적 경험과 흥미에 따라 정한 학습내용을 스스로 구성해 나가는 과정이며, 기본 전제를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에 두고 있으며,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학습활동을 수행하도록 교수자는 학습의 역동성을 이해하고 존중한다. 구성주의 교수-학습환경에서는 학습자중심을 근거로 하여 교수자는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도록 촉진하며 수업에 있어 상호작용 수준을 증진시키고,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을 고려하여 실제적, 맥락적 학습 활동을 제공하여 개인에게 맞는 학습내용을 선택하도록 조언 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권낙원, 2012; Shirvani, 2009). 따라서 교수자는 수업설계시 학습자의 특성 뿐 아니라 학습자의 배경 요인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는데, 교사와 부모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개별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인다는 선행연구들이 발견되었다(Cameron & Lee, 1997; Lopez & Scribner, 1999). 교사 효능감은 교수-학습 과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유아교사와 부모의 협력 관계가 높을수록 교사와 유아 간 부정적인 상호작용이 낮아지고, 교사효능감이 높아진다는 연구를 통해 교사-부모 파트너십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동인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교사-부모 파트너십은 교사 학습자에게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개인적인 성취감이 높아 자신의 직업이 의미 있다고 느끼며 자신이 영향력이 있다고 생각 하며 직무에 더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교사효능감이 높으면 직무몰입도가 높아져 결과적으로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높은 직무만족은 유아의 성취 및 효과적인 교육목적을 달성하게 하고 이전과 다른 차원의 교육법을 생산하기 위한 촉진적 능력에 영향을 주게되어 불명확한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능력을 증진시키는 등의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부모 파트너십, 교사 효능감(일반적/개인적)을 직무만족을 예측하는 예측변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준거변인을 직무만족으로 선정하였다. 예측변인과 관련하여 첫째, 교사-부모 파트너십은 교사와 부모 간에 협력관계가 수반되면 개별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켜 학습 성취도를 높이고, 교사로서 더욱 자신감 있게 교육할 수 있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점에서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교사-부모 파트너십은 교사 직무 수행에 긍정적 정서를 갖게 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고 교사 효능감은 구성주의 교수-학습 환경을 실행·적용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둘째, 직무만족의 주요한 특징은 궁극적으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전체적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바람직한 교수 경험을 통해 지속적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환경을 실천하게 하는 동인이 된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구성주의 교수-학습 환경을 조성을 위해 중요한 교사 변인으로 사료되는 교사-부모의 파트너십, 교사 효능감이 각각 교사의 직무만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검증하며 그 과정에서 교사 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써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가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환경을 위해 부모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학습자를 이해하고자 하고자 하는 수준에 따라 교사의 내적 특성인 효능감에 주는 영향과 교육현장에서 교사로서 느끼는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볼 수 있고 교사가 부모와의 파트너십을 위해 노력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교수자가 학습자의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학습 경험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때 교수자 자신 역시 긍정적인 교수 경험을 갖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학습자 중심의 구성주의 교수-학습 환경을 위한 교수자의 실천과 이를 위한 교수자 지원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반영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일반적 교사 효능감은 유아교사-부모 파트너십과 교사 직무만족을 매개하는가? 연구문제 2. 개인적 교사 효능감은 유아교사-부모 파트너십과 교사 직무만족을 매개하는가?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143명의 데이터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교사 효능감(일반적/ 개인적)과 교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였으며,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교사 효능감(일반적/개인적)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이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Judd와 Kenny(1981)의 매개효과 분석 조건에 따라 유아교사-부모 파트너십이 직무만족을 예측하는지 확인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파트너십(r = .372, p < .05)과 직무만족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조건에 따라 파트너십을 예측변인으로, 일반적 교사 효능감을 준거변인으로 투입하였으며, 그 결과 파트너십(r = .371, p < .05)은 일반적 교사 효능감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조건에 따라 일반적 교사 효능감이 직무만족을 예측하는지 확인 하였으며 분석 결과 일반적 교사 효능감은 직무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 검증 선행조건이 충족되지 않아 연구문제 1은 기각 되었다. 둘쨰, 매개효과 분석 조건에 따라 앞서 유아교사-부모 파트너십이 직무만족을 예측하는지 확인하였다. 다음 조건에 따라 파트너십을 예측변인으로, 개인적 교사 효능감을 준거변인으로 투입하였으며, 그 결과 파트너십(r = .325, p < .05)은 개인적 교사 효능감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조건에 따라 개인적 교사 효능감(r = .509, p < .05)이 직무만족을 예측하는지 확인 하였으며 분석 결과 개인적 교사 효능감은 직무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 검증 선행조건이 모두 충족되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매개변인인 개인적 교사 효능감을 투입한 후 교사 직무만족에 대한 파트너십의 설명력(β = .372, p < .05) 이 매개변인이 없는 상태에서 직무만족도에 대한 파트너십의 설명력(β = .230, p < .05)보다 감소하여 파트너십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개인적 교사 효능감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하여 보면, 유아교사-부모 파트너십은 교사 효능감(일반적/개인적)과 직무만족을 예측하고, 개인적 교사 효능감은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을 예측한다. 또한, 개인적 교사 효능감은 유아교사-부모 파트너십과 교사 직무만족 간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특성과 배경을 이해하여 효과적인 교수-학습 환경을 구축하려는 교사-부모의 파트너십이 교사 직무만족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최해주와 문수백(2013)의 교사-부모 파트너십은 유아교사의 업무에 대한 만족감을 높여서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한다. 즉, 학습자의 특성과 배경을 이해하여 학습 경험을 실제생활 맥락으로 확대시키려는 교수자의 수업설계전략은 학습자의 부모와 신뢰를 기반으로 파트너십을 강화시키며 이에 따라 부모로부터 칭찬이나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받아 교사로서의 만족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지금까지 유아교사-부모 파트너십에 관한 연구는 유아의 발달과 학습지원 및 부모 지원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 이었으나 교수자인 교사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검증한 성과가 있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부모 파트너십이 교사 직무만족 외에 교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교사에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교사-부모 파트너십을 위한 동기부여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사 직무교육 등 교사 지원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둘째, 교사-부모 파트너십은 교사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개인적 교사 효능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도 동시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인 개인적 교사 효능감이 학습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수업을 설계하려는 교사의 적극적인 태도의 결과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 또한 의미있는 성과로 해석할 수 있다. 교육기관 및 교육행정 분야에서 교사와 부모의 파트너십을 통한 효과성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 교사의 의지를 장려할 필요성과 시대적 환경변화에 맞춰 효율성을 제고한 다양한 지원방법 및 유인가를 제공하여 유아교사들을 지지 뿐 아니라 교사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한 다양한 기술적 차원의 변화를 수용해야함을 시사한다. 셋째, 조직차원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원, 기술 시스템의 변화와 함께 개인적 교사 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법 및 전략이 동반되어야 함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파트너십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면서 조직의 구성원인 유아교사의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고 개인적 교사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처치를 해야함을 시사한다. 넷째, 유아교사-부모 파트너십은 일반적 교사 효능감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교사 개인 차원에서는 부모와의 효과적인 파트너십을 위해 유아발달 및 행동 관련 지식을 포함한 유아교육의 전문성을 갖추도록 노력해야 하며 교육기관 및 정부 등 조직차원에서 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교수경험이나 부모와의 파트너십 경험이 적은 초임유아교사의 교사-부모 파트너십을 위한 직무교육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잘 다루지 않았던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결과요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교사-부모의 파트너십이 학습자 및 부모에 초점을 둔 선행요인으로 확인된 다른 기존 연구에 비해 교사변인을 중심으로 다룬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었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교사변인을 중심으로 한 결과요인(직무만족)의 직접적인 관계를 검증하였을 뿐만 아니라 구성주의 교수-학습 환경 설계 시 학습자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교사에 미치는 영향인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개인적 교사 효능감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한다는 결과를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교사-부모 파트너십, 교사 효능감(일반적/ 개인적)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교사효능감(일반적/ 개인적)은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유아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교사 효능감(일반적/ 개인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그 대상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임의 표집하여 조사하였다. 따라서, 표집에 한계가 있었고, 지역 대표성이 없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여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둘째, 본 연구의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함으로써 실제 상황과 다르게 응답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에 후속연구에서는 더 높은 객관성을 얻기 위해 직접관찰, 면접, 사례연구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교사-부모 파트너십 검사는 교사가 평정하도록 하였다. 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관계와 부모가 지각하는 교사관계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부모 평정에 의한 교사관계에 대한 자료를 연구에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와 한계점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예측변인으로 파트너십 단일 요인을 분석 하였는데 후속연구에서는 하위요인 별 각각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준거변인으로 교사 직무만족도 단일 요인을 분석 하였는데 교사와 부모의 관계에서 교사 직무스트레스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에 후속연구에서는 교사 직무스트레스 등의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부모 파트너십의 영향만을 나타냈는데 후속연구에서 실제 유아교육현장의 파트너십을 위해 교사와 부모의 입장을 고려한 협력 도구의 모형 개발이나 이미 개발되어 있는 협력 도구들을 보완하는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교사 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분석 하였는데 교사와 부모 관계를 교사 효능감이 예측하는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는 교사-부모 파트너십의 매개 효과를 검증 하는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교육기관 내에서 부모와의 협력관계를 위한 교사교육을 진행할때에는 다수의 강의식 수업 보다는 소수의 참여식 수업이나 기관 내 교사회의를 활용하여 경력 교사들이 부모들과 협력적 관계 안에서 정보교류하는 노하우를 전달하거나 신임교사들의 어려운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언을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In the 21st 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the learning theory of constructivists has begun to be discussed as an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system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education field i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system of new paradigm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constructivism, learning is a process of constructing self-defined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personal experiences and interests. The basic premise is placed in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learners are actively and actively engaged in learning activities The instructor understands and respects the dynamics of learning to perform. In the constructivist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the instructor promotes the learner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learning based on the learner-centered, enhances the interaction level in the class, and provides practical and contextual learning activities considering the level of the individual learners(Kwon Nakwon, 2012; Shirvani, 2009).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instructor to have an understanding and concern about the learner's background factor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in the course design. Through the partner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parents, it is possible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 learner, Previous studies have been found (Cameron & Lee, 1997; Lopez & Scribner, 1999). Teacher-parent partnership can be an important driver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rough the studies of The higher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the lower the nega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 and Teacher efficacy increases. Teacher-parent partnership not only affects the learner but also affects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achievement of the child and the ability to achieve an effective educational purpose and to enhance the ability to improve the unclear educational environment results. Therefore, in this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teacher efficacy (general / individual) were selected as prediction variables to predict job satisfaction, and criteria variables were selected as job satisfaction. First, the teacher–parent partnership improves the understanding of individual learners and improves learning achievement and helps them to be more confident as teachers. In addition, teacher-parental partnership is an important factor in positively affecting teacher's job performance, and teacher efficacy needs to be interested in positively affecting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constructive instructional–learning environment. Second, the main characteristic of job satisfaction is positively influencing the overall quality improve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nd it becomes a factor for practicing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learning environment continuously through desirable teaching experience. In summary,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arent partnership, teacher efficac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which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teacher variables in constructing instructional–learning environ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will examine what kind of role teacher efficacy works as a media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er's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hich are felt as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wanting to understand learner through partnership with parents in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learning environment. Therefore, we expect that teachers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their efforts for partnership with their parents. This study also expects that the instructor will have a positive teaching experience when he or she actively works for the learner's positive and effective learning experience. Ultimately, it is thought that research will be meaningful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the instructor 's practice for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the learner-centered constituent.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which reflects this purpose is as follows. Research questions 1. Does general teacher efficacy mediate early childhood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Research Problem 2. Does individual teacher efficacy mediate early childhood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ata of 143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and Kyonggido. The variables affecting teacher efficacy(general/ individual)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by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general/ individual) also was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conclusions drawn from them are as follows. First, Judd and Kenny (1981)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 teacher – parent partnership behaviors to predict job satisfac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artnership (r = .372, p <.05)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partner's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general teacher efficacy did not predict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Therefore, research problem 1 was rejected because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condition was not satisfied. Second, according to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condition, we confirme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parent partnership predicts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nership was used as a predictor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as a reference variable. As a result, partnership behavior (r = .325, p <.05) predicted personal teacher efficacy.  In the third con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dividual teacher efficacy predicted job satisfaction (r = .509, p <.05). As a result, personal teacher efficacy predicted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Therefore, the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by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cause all of the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conditions were met.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the mediator effect of teacher efficacy showed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partnership behavior on teacher job satisfaction (β = .372, p < .05) (Β = .230, p < .05) in the absence of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ship and job satisf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individual teacher efficacy. In summary, the early childhood teacher–parent partnership predicts teacher efficacy (general / individual) and job satisfaction,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predicts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ddition, individual teacher efficac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teacher–parent partnership to build an effective instructional– learning environment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the learner influences the improvement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partially supports the findings that the teacher–parent partnership of Choi Hae-joo and Moon Soo Baek (2013) has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child interaction by enhancing th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  In other words, the behavior of the instructor who wants to expand the learning experience to the real life context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background of the learner strengthens the partnership based on the trust of the learner's parents and accordingly the praise from the parents and the positive feedback Is expected to be improved. The research on early childhood teacher–parent partnership has proved that most of the research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support for learning, and support for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eacher–parent partnership affects teacher in addition to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motivation for good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teacher support such as teacher job training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Second, teacher–parent partnerships directly affect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individual teacher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elf-efficacy is the result of teacher's positive attitude toward designing class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to encourage teacher's willingness to clarify the effectiveness of teacher–parent partnership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field. In addition, it should suppor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providing various support methods and incentives to improve the efficienc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of the times. Suggesting that they should accept various technological changes that take full account of the teacher's posi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recall that organizational level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accompanied by strategies and strategies for improving individual teacher efficacy along with changes in management, support, and technology system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increase the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trying various efforts for partnership, and analyze various factors that can increase individual teacher efficacy, and suggest that they should be treated accordingly. Fourth, early childhood teacher-parent partnership also affects general teacher efficacy. Therefore, teachers should strive to have experti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luding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behavior, for effective partnership with parents,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o.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for job education for the teacher–parent partnershi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ve less experience of teaching and partnership with parents. Fifth,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outcome factors which were not discussed well in the previous studies. Teacher-parent partnerships were found to be a leading factor focusing on learners and parents. However,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outcome factors (job satisfaction) centered on teacher-parent partnerships and teacher variable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sonal teacher efficacy works a role of the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the job satisfaction which is the effect on the teache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and Kyonggido. Therefore, since there is a limit to the sampling and there is no local representation,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it. Therefore, we hope to carry out a comprehensive study by collecting data on various regions in subsequent studies. In addition, it is not possible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responding differently from the actual situation by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refore, in the subsequent study, various studies such as direct observation, interview, and case study are needed to obtain higher objectivity will be. Third, the teacher–parent partnership test was evaluated by the teacher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erception and teacher perceived by the teacher may be different, so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data on the teacher 's relationship with the parental evaluation. The conclus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analyzing the single factor of teacher job satisfaction as a criterion variable, it is not possible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teacher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parent, so in the subsequent study, it would be meaningful to analyze factors such as teacher job stress. Second, in this study, only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parent partnership behavior was shown. In the follow-up study, the development of model of cooperation tool considering the posi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actual partnership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would be meaningful. Third, in this study, we analyzed teacher efficacy as a mediating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of predicting teacher-efficacy and teacher-parent relationship,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that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parent partnership in subsequent research will be meaningfu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