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6 Download: 0

학교폭력 피해 및 방관경험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itle
학교폭력 피해 및 방관경험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of victims and outsiders of school violence and peer relationship.
Authors
김현경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철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ㆍ고등학교 학교폭력 피해경험 및 방관경험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각각의 관계를 회복탄력성이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 내 4개 중학교, 4개 고등학교 총 610명이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경험유형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 또래관계 질 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성별 및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t검정과 F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을 분석을 위해 1단계로 측정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판별여부와 모형 적합도 등을 점검하고 2단계로 구조모형이 추가된 전체 모형을 분석하는 Anderson과 Gerbing(1988)이 제안한 2단계 접근법(two-step approach)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피해경험 및 방관 경험은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회복탄력성은 또래관계 질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또래관계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회복탄력성을 높임으로써 또래관계 질을 높여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학교폭력 방관경험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폭력 방관경험이 회복탄력성을 통해서만 또래관계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및 방관경험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학교폭력에 적절하게 대처하고 극복하여 성장할 수 있는 개인 내적 능력인 회복탄력성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학교폭력 예방 및 치료 시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상담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확장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학교폭력 경험에서 피해자는 물론 방관자의 정서요인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학교폭력 피해 및 방관경험 학생들의 원만하고 질 좋은 또래관계 형성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how the experiences of victims and outsiders of school violence affects peer relationship,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of two variabl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otal 610 students, 338 students from four middle schools and 272 students from four high schools in Seoul. Questionnaire surveys taken by these students were about the measurement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resilience and peer relationship.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test and t-test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grade. Structural Equation methods were used, which is a two-step approach, suggested by Anderson and Gerbing(1988).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from the experiences of victims and outsiders of school violence was found in resilience, and also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from resilience in peer relationship was discovered. Second, the 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of victims of school violence and peer relationship, which indicates that peer relationship is directly affected by the experiences of victims, and also it can be improved by building up resilience. Third, a significant full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between the experiences of outsiders of school violence and peer relationship was found, which indicates that peer relationship is influenced by the experiences of outsiders only through resilience. This study show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of victims and outsiders of school violence and peer relationship. This suggests that the intervention to improve peer relationship of victims and outsiders of school violence needs to be planned, focusing on building up resilience. And also this study significantly indicates the necessity to focus on not only the experience of the victims of school violence but also on the outsiders. The study may contribute to building a healthier peer relationship of the victims and outsiders of school violence, and planning the basic materials related to counselling interven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developing resili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