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지은-
dc.contributor.author하현재-
dc.creator하현재-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20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2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1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10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06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예상하는 중요한 요인인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공격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자기애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207명과 여학생 202명을 포함한 409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공격성 척도, 자기애 척도,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조사대상자의 특성은 빈도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각 요인별 평균이 차이가 있는지 보기 위해 t-test 검정을 실시하였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자기애가 조절역할을 하는지 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요인들 간에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차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이 있었다. 먼저 부모의 양육태도 중 심리적 통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성에 대해서는 간접적공격성과 언어적공격성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간접적 공격성은 여학생이 더 높았고 언어적 공격성은 남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흥분성과 신체적 공격성의 평균점수도 남학생이 높게 나왔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자기애에서는 자기중심성, 자기칭찬과 주목의 요구가 모두 남학생이 더 높게 나왔고 자기애 전체에 대해서도 남학생이 더 높게 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각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격성의 하위요인 중 간접적공격성, 흥분성, 언어적공격성, 신체적 공격성 모두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에 따른 자기애가 조절효과를 주는지에 대해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남학생의 신체적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조절변인으로서 자기칭찬과 주목의 요구가 남학생의 신체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여학생의 신체적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조절변인으로서 자기애가 여학생의 신체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남학생의 언어적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조절변인으로서 자기애가 남학생의 언어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를 제외한 다른 변인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른 자기애를 조절변수로 투입하였을 때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한 모형으로 나오고 설명력도 증가하였지만 조절효과가 있다고 말할 만큼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격성을 가진 청소년에 대해 심리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돕고, 학교 장면에서 볼 수 있는 폭력행동이나 부적응적 행동에 대한 예방과 상담적 접근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aggression of parent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o study the relation with th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aggression, an important factor which expects adolescents' psychosocial adaptation and check the moderation effect of narcissism according to gender in this relationship. For this, a self-report survey includi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cale, aggression scale, narcissism scale, and demographic questions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409 persons including 207 male students and 202 female students who are in regional middle school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IBM SPSS Statistics 23.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he survey was examined by frequency analysis. And then,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verages by factor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The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if narcissism according to gender plays a role of moderation in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ag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tical result of the gender differences in male and female students among major factors h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ub factors. First,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 has found that male students perceive it higher than female students. Aggression ha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direct and linguistic aggression of male and female students. It h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are higher in indirect aggression and male students are higher in linguistic aggression. The average points of excitability and physical aggression have found that male students are higher, but they were no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narcissism, egocentricity, self-approbation, and requirement of noticing has found that male students are higher. And the entire parts of narcissism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male students are higher. Second, the analytical result of the correlation of each factors has found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s an effect on their children's aggression as all of indirect aggression, excitability, linguistic aggression, and physical aggression show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In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aggression, the moderation effect of narcissism according to gender has found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s an effect on male students' physical aggression. And self-approbation and requirement of noticing as moderator variables have found to have the similar moderation effects in the effect on male students' physical aggressi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emale students' physical aggression. Narcissism as a moderator variable has found to have the similar moderation effects in the effect on female students' physical aggressi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ale students' linguistic aggression. And narcissism as a moderator variable has found to have a moderation effect in the effect of male students' linguistic aggression. However, for other variables except these, there were significant models in interac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moderator variables and explanatory power increased when narcissism is input as a moderator variable, but it was not as significant as there is the moderation effect. These result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helpful for understanding adolescents with aggression psychologically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preventing violent or maladaptive behaviors which can be found in school scenes and approach of counsel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부모의 심리적 통제 5 1. 부모의 양육태도 5 2.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공격성과의 관계 6 3.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기애와의 관계 7 B. 자기애 7 1. 자기애 7 2. 자기애와 공격성과의 관계 9 3. 성별에 따른 자기애와 공격성과의 관계 10 C. 공격성 10 Ⅲ. 연구방법 13 A. 연구대상 13 B. 측정도구 14 1.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14 2. 공격성 척도 15 3. 자기애 척도 16 C. 연구절차 17 D. 분석방법 18 Ⅳ. 연구결과 19 A. 연구변인의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19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19 B. 조절효과 검증 22 1.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남학생의 간접적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중심성의 조절효과 23 2.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남학생의 언어적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중심성의 조절효과 24 3.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남학생의 신체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중심성의 조절효과 25 4.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남학생의 간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칭찬과 주목의 요구의 조절 효과 26 5.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남학생의 언어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칭찬과 주목의 요구의 조절 효과 27 6.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남학생의 신체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칭찬과 주목의 요구의 조절 효과 28 7.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남학생의 간접적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애의 조절효과 29 8.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남학생의 언어적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애의 조절효과 30 9.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남학생의 신체적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애의 조절효과 31 10.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여학생의 간접적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중심성의 조절효과 32 11.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여학생의 언어적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중심성의 조절효과 33 12.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여학생의 신체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중심성의 조절효과 34 13.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여학생의 간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칭찬과 주목의 요구의 조절 효과 35 14.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여학생의 언어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칭찬과 주목의 요구의 조절 효과 36 15.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여학생의 신체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칭찬과 주목의 요구의 조절 효과 37 16.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남학생의 간접적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애의 조절효과 38 17.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남학생의 언어적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애의 조절효과 39 18.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남학생의 신체적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애의 조절효과 40 Ⅴ. 결론 및 논의 42 A.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42 B. 연구의 의의 46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7 참고문헌 49 부록 58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54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공격성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기애의 조절효과(남녀비교)-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aggression of parent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 The moderation effect of narcissism according to gender-
dc.format.pagevi,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