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4 Download: 0

라오스지역 주민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라오스지역 주민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Health Behavior of Residents in Lao’PDR: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Health Locus of Control.
Authors
이미선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건정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당뇨, 고혈압, 심혈관계질환 및 암 등과 같은 비전염성질환 (Non-Communicable Disease, NCD)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저·중소득국가에서 높은 NCD 발생률과 사망률로 인해 가계의 부담과 국가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심각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중소득국가 중 하나인 라오스지역의 건강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NCD예방을 위한 건강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저·중소득국가에서 시행 가능한 근거기반의 중재 개발과 적용 및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며, 더 나아가 NCD관련 정책 및 관리체계를 수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라오스지역 주민들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건강통제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라오스의 수도인 비엔티안(Vientiane) 시(capital)와 주(province)에 거주하는 40-59세의 주민 중 고혈압, 당뇨, 심혈관계질환, 뇌혈관질환, 암과 같은 NCD를 진단받지 않은 건강한 사람 694명이다. 연구도구는 Anderson (1995)의 행위모델(Behavioral Model)에 따라 개인속성요인(연령, 성별, 교육수준, 민족, 배우자 유무), 가능요인(사회적지지, 가족수, 주관적 경제상태, 가정내소유자산, 고용상태, 지역), 필요요인(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허약감, 피로 및 수면장애 유무, 고혈압, 과체중)으로 분류하여 측정하였고, 건강통제위는 다차원적 건강통제위 측정도구(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MHLC)를 이용하였다(Wallston et al., 1994). 건강행위는 금연, 절주, 신체활동, 과일 및 야채 섭취, 건강검진 실천여부를 점수화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교차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라오스지역 주민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 연령 48.93세, 교육수준은 무학 및 초등교육이 42.7%로, 민족 중 Lao-Tai가 85.2%로 가장 많았다. 사회적지지는 0-8점 중 전체 평균 1.87점으로 대체적으로 낮았으며, 과체중인 사람이 66.7%로 과반수 이상 차지하였다. 건강통제위 점수는 6-36점 중 내적건강통제위 28.03점, 우연건강통제위 23.90점, 3-18점 중 의사건강통제위 14.98점, 타인건강통제위 12.97점이었다. 2. 건강행위는 5점 중 평균 2.67점 이었으며, 여자가 남자에 비해 건강행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하위영역별 실천율을 살펴보면 여자가 남자에 비해 현재금연, 절주, 신체활동 실천율이 높았고, 교육수준이 증가할수록 과일 및 야채섭취, 건강검진 실천율이 높았으며, Hmong-Mien에서 절주 실천율이 가장 높았다. 3.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속성요인, 가능요인, 필요요인과 건강행위간의 관계를 파악한 Model 1은 개인속성요인에서 남자(β= -.395, p<.001), 고등교육이상(β=.113, p=.012), 민족 중 Hmong-Mien(β=.201, p<.001)이 건강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가능요인에서는 사회적지지(β= .083, p=.024)와 가정내 소유자산(β=.127, p=.001), 필요요인에서는 과체중(β= .113, p=.002)이 건강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Model 1에 건강통제위를 투입한 Model 2에서는 내적건강통제위가 높을수록, 우연건강통제위와 타인건강통제위가 낮을수록 건강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건강통제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우연건강통제위가 교육수준과 건강행위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Z=-2.107, p=.03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라오스지역 주민의 건강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속성요인은 성별, 교육수준, 민족이고, 가능요인은 사회적지지, 가정내 소유자산이고, 필요요인은 과체중, 건강통제위는 내적건강통제위, 우연건강통제위, 타인건강통제위이다. 이와 같은 요인들이 라오스지역 주민의 건강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라오스를 비롯한 저·중소득국가의 NCD예방 및 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통합적 중재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특히, 우연건강통제위가 교육수준과 건강행위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므로, 이를 활용하여 건강행위를 유도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및 중재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alth behavior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to prevent NCD(Non-Communicable Disease) in Lao’PDR.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locus of control between health behavior and predisposing factors, enabling factors, needs factors based on Anderson's behavioral model. Data on 694 healthy people without NCD in Vientiane urban and rural were collected. The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behavioral model (Anderson, 1995) add to health locus of control (Wallston et al., 1994). Measures of health behaviors were current non-smoking, low-risk drinking, physical activity, dietary behavior related to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regular medical check 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d sobel test using SPSS WIN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in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was 28.03±4.92 (range 6-36), that of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was 23.90±5.91 (range 6-36), that of doctors health locus of control 14.98±2.23 (range 3-18), that of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was 12.97±3.15 (range 3-18). 2. The average score of health behavior was 2.67±1.02 and women's score was higer than men's that. In the sub categories, women performed more than men in current non-smoking, low-risk drinking, physical activity. Higher education level was associated with higher dietary behavior and regular medical check up. The highest rate of low-risk drinking was Hmong-Mien in ethnic group. 3. The important variables positive affecting the score of health behavior were gender (women), education level (over high school education), ethnic (Hmong- Mien) of preposing factors. and social support, item ownership in household of enabling factors and overweight of needs factors.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 behavior were positiv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s,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and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were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fewer health behavior. 4.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partly mediated between the education level(over high school education) and health behavior. In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consider a variety of factors in predisposing factors, enabling factors, needs factor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for promoting health behavior when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 in low-middle countries. Above all, there is need to recognize importance of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as a mediator between education(over high school education) level and health behavior when planning and applying intervention to people living in low-middle count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