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61 Download: 0

예비퇴직자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준비도, 참여도, 선호도 분석

Title
예비퇴직자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준비도, 참여도, 선호도 분석
Other Titles
The preparation, participation, and preference analysis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prospective retirees
Authors
홍지선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길어짐에 따른 사회적 인구변화 현상은 우리사회의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현재는 산업화 이후 1960년대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세대로 이들의 퇴직이후의 생활에 대한 제도적· 정책적 방안에 대한 관심이 신문 기사 등을 통해 보도되고 있다. 산업화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세대는 경제활동인구를 제도적으로 조절하는 장치인 정년퇴직제도로 인해 성년이 되고 난 이후 사회적 역할의 의무를 끝마친‘퇴직’이라는 또 다른 인생의 전환기를 맞게 된다. 따라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회인 모두에게 퇴직 후를 준비하는 것과 정년퇴직 후의 생활에 대한 적응문제가 중요하게 자리 잡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사회적 이슈를 인식하여 예비퇴직자들의 평생교육 수요를 분석하여 예비 퇴직자를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 구안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현재는 직장인들인 예비퇴직자들을 대상으로 퇴직이후 평생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분석을 기초로 퇴직자들을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하여 확인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퇴직자의 퇴직에 대한 인식 및 준비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예비퇴직자의 평생교육훈련기관에 대한 참여는 어떠한가? 셋째, 예비퇴직자의 퇴직 준비를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 선호도는 어떠한가? 즉, 예비퇴직자의 재정적 준비정도,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요구, 그리고 예비퇴직자의 개인변인에 따른 평생교육프로그램 선호도는 어떠한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예비퇴직자를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 수요분석 연구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 경기, 기타 지방에 거주하는 지역사회단체 성인을 대상으로‘예비퇴직자를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 수요분석’이라는 주제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는 총 170명이고, 이 중 문항별로 누락되거나 오기 표기된 설문지를 제외한 136명의 설문지를 빈도 분석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예비퇴직자의 퇴직에 대한 인식 및 준비정도에서 예비퇴직자의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예비퇴직자의 퇴직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준비되었는지에 대해선 낮게 나타났다. 퇴직에 대한 인식에서 높은 필요성 및 중요성만큼 이에 따른 퇴직준비계획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나타냈다. 가장 선호되는 은퇴연령은 61세~65세 로 나타났고, 예비퇴직자의 퇴직 이후의 기대 생활에 대해서는 여가활동 희망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 이후의 기대 생활에 대해 재취업의 이유로 건강한 노년생활을 꼽았고 이는 예비퇴직자의 재취업 이유가 단지 경제적인 문제해결에만 있는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그리고 예비퇴직자들의 퇴직준비를 위한 자기 개발은 평균 주당 5시간 이하, 월 10만원 이하의 투자비용, 그리고 3 개월의 기간을 통해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예비퇴직자의 평생교육에 대한 참여 현황은 공공기관(즉, 구민센터 및 평생교육센터) 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부분의 대상자가 온라인교육을 접해보고 자격증 취득을 위한 목적으로 이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온라인교육의 최고 장점으로는 편리성이, 최고 단점으로는 면대면 수업이 불가능으로 조사되어 그 밖의 기타 교육방법으로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수업의 병행을 요구하는 교육방법이 많이 제시되었다. 셋째, 예비퇴직자의 퇴직준비교육 요구에 대하여 적정 교육 시기는 ‘퇴직 5년 전부터’, 주 당 적정 참여 횟수는 ‘주 2회’, 교육 기간은 ‘6개월~1년’, 그리고 퇴직준비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중요한 요인으로 꼽았고, 적정 교육비는 ‘월 10만원 이하’ 와 ‘정부적 차원의 지원’을 요구하였다. 이 밖의 프로그램의 다양성 및 교육방법에서도 다각적인 방법들이 제시되고 요구됨을 설문 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예비퇴직자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선호도에서는 재취업관련 프로그램으로 1위 창업관련 프로그램, 2위 기술자격증 프로그램, 3위 어학과 관련된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여가관련 선호 프로그램 1위는 건강관련 프로그램, 2위 사회참여 프로그램, 3위 봉사관련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에 관한 항목에서 1위는 재취업을 희망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전체 선호도 분석결과 가장 높았다. 개인변인에 따른 퇴직에 대한 인식 및 준비도는 성별, 배우자의 직업, 연봉, 부양가족 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변인에 따른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도는 여성, 51세 이상의 집단, 기혼, 대학교졸업자, 배우자의 직업이 있을 경우, 재직중인 상태, 정규직, 총 재직년수 5년 이상, 부서장급 이상의 경우, 연봉 5000만원 이상, 부양가족 수 3명 이상의 경우에 평생교육 참여의 비율이 높았다고 볼 수 있고, 최종학력에 따른 참여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변인에 따른 퇴직준비를 위한 평생교육 요구 분석에서 고용형태, 연봉에 따라 적정교육시기에 차이가 있었고, 배우자의 직업, 고용형태, 총 재직 년 수에 따라 적정교육기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직급에 따라 적정참여횟수에 차이가 있었고, 성별, 부양가족 수에 따른 적정교육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변인에 따른 퇴직준비를 위한 평생교육은 재취업과 여가관련 프로그램 모두 유의한 결과가 없음으로 나타났으나 설문 응답자의 선호하는 프로그램 기타의견으로 개인의 퇴직이후의 삶과 목표, 그리고 개인의 취미 및 성향에 따른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이 있었음을 배재할 수 없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퇴직자를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 구안을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이라는 제도적 장치를 활용하여 대중적인 참여가 쉬운 퇴직준비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퇴직준비교육에 스스로 참여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과 민간의 긴밀한 연결과 협조를 통해 조직적으로 체계화 된 환경설정이 필요하다. 셋째, 퇴직준비교육으로서의 평생교육프로그램은 다양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자료수집 조사대상자가 사무직에 종사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기타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자들은 제외되었다는 점과 조사대상자의 거주지역이 한 지역에 치우쳐져 있다는 점이 연구의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보다 나은 자료수집의 일반화를 위해 많은 직종과 다양한 지역의 거주 대상자로 연구를 확대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고, 후속연구로서 본 연구의 제한점을 극복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심도 있는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rive at the suggestions for the drafting point regarding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prospective retire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demand for the lifelong education by the prospective retirees by recognizing the social phenomenon of the changes of the population resulting from the lengthening of the average life spans of the human beings due to the improvement of such a level of the social life,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technologies, etc. as an issue of our society. For this, it is intended to propose the suggestions for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retire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eference for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fter the retirement with the prospective retirees, who are the office workers at present, as the subjects. Accordingly, the research problems that were confirmed by being set up in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how are the recognition and preparation regarding the retirement of the prospective retirees? Second, how is the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and training organizations on the part of the prospective retirees? Third, how are the preference regarding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preparation for the retirement on the part of the prospective retirees? Or, in other words, it is intended to take a look at how the preference is regarding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resulting from the extent of the financial preparations by the prospective retirees, the demand for the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and the factors of the prospective retirees. For a research of the preference and analysis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prospective retirees, this research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investigation. The subjects of the investigation were the adults of the regional social groups who resided in Seoul, Gyeonggi, and the other provinces. A questionnaire on the topic of 'The analysis of the demand for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prospective retirees' was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s of 136 persons, excluding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wrongly mark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is research, were utiliz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we were able to find out the high interest in the retirement planning education on the part of the prospective retirees with regard to the recognition and the extent of the preparation regarding the retirements by the prospective retirees. In contrast, it appeared low regarding whether a specific plan has been prepared regarding the retirement plans of the prospective retirees. To the extent of the high need for, and the importance of, the recognition regarding the retirement, it appeared that the retirement preparation plans resulting from this have not been materializing well. It appeared that the reasonable age for the retirement that was the most preferred was between 61 years old and 65 years old. And, it appeared that, regarding the life after the retirement of the prospective retirees that was highly expected, there were more people hoping for the leisurely activities. Regarding the life expected after the retirement and as a reason for the re-employment, the healthy, elderly life was selected. And this suggests that the reason for the re-employment on the part of the prospective retirees does not only lie in the solution of the economic problem. And it was analyzed that, regarding the self-development for the preparation for the retirement on the part of the prospective retirees, it was done through an average of less than 5 hours per week, through the investments costs per month of less 100,000 won, and through the time period of 3 months. Second, regarding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participation in relation to the lifelong education and training organizations on the part of the prospective retirees, the public organizations (Or, in other words, the gu citizens centers and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s) appeared the highest. And it was able to find out that most of the subjects had come into contact with the online education and had used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the qualification certificates. It was investigated that, as for the best strong points of the online education, it was the convenience, and, as for the worst weak point, it was the impossibility of the face-to-face studies. And, as for the other education methods, the education method that requires the concurrent online study and the offline study was presented a lot. Thir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the demand for, and the level of preference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retirement preparations by the prospective retirees, first, regarding the extent of the financial preparations, over a half of the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y have been making the financial preparations. And although, as for the method of the preparation, the citizens pension was selected as ranking number one, the conclusion that the support for the financial preparations on the governmental level was needed was arrived at. Regarding the preference for pre-retirement education on the part of the prospective retirees, the reasonable time of the education was 'from 5 years before the retirement', The reasonable frequency of the participation per week was '2 times a week'. The time period of the education was between 6 months and 1 year. And the diversity of the programs of the pre-retirement education were selected as the important factors. And, regarding the reasonable educational cost, 'less than 100,000 won per month' and 'the support on the governmental level' were demanded. With regard to the diversity of the other programs and the methods of the education, too, it was able to find out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investigations that the many-sided methods have been presented and demanded. Regarding the demand for, and the level of preference of, th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prospective retirees, the programs related to the reemployment mostly showed the high intention to participate. And, regarding the programs related to the leisure, it was able to analyze that the level of the preference of the remainder after excluding the raising of the pets appeared high. It can be said that the preference for such programs are the results that were answe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astes, hobbies, and matters of preference of the individuals.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mand for, and the level of preference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resulting from the individual factors (Gender, age,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etc.), it appear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with regard to all the individual factor items. The suggestions for draft point regarding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prospective retire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bove are the following. First, the pre-retirement education to which the access by the public is possible must be provided by utilizing the systematic device called "lifelong education". Second, through the intimate connections and cooperation with the public organizations so that the prospective retirees can participate in the pre-retirement education by themselves, the environmental setup that has been organizationally systematized is needed. Third,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s the education for the preparation for the retirement must be diverse. As for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they are the point that the subjects of the investigation for the collection of the data were the adults who were engaged in the office work and the people who worked in other occupations were excluded and the point that the residential areas of the subjects of the investigation leaned toward one region. As a result, for the generalization of the collection of the data that is better,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research to the subjects of the many occupational types and the subjects who reside in the diverse regions and carry out the research. And, as for the follow-up researches, there is a need for the in-depth analyses through the additional researches that overcome the points of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