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박보람-
dc.creator박보람-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12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12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5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59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00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 support plan and the change pattern of classroom environment based on the importance of children's particip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ccording to Lansdown's forms of participation. For tho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about teacher's support plan according to children's forms of participation? 1-1. What about children's forms of participation? Are there differences time-periodically? 1-2. What about teachers' support plan according to children's forms of participation? 2. What about the change pattern of classroom environment according to children's forms of participation? 2-1. What about the change pattern of classroom environment? Are there differences time-periodically? 2-2. What about the change pattern of classroom environment according to children's forms of participation? This study collected materials targeting the environment configuration that the children in Meed-Eum class of the 2016 school year participated in. It analyzed the evaluation of daily teaching plan including the speeches and pictures of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environment configuration as basic materials, and raised the accuracy of material analysis using materials such as environment pictures, videos, anecdotes observation records paper, etc.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classified using Stimulated Recall by teacher's support plan category and the change pattern category of classroom environment and analyzed according to children's forms of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forms of participa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time of year, and there is difference in teacher's support plan accordingly as well. First of all, for children's forms of participation, Consultative processes in the first quarter, Participatory processes in the second quarter, and Self-initiative processes in the third and fourth quarters showed the highest level respectively. Namely, over time, a forms of participation with high self-direction was observed more often. When examining teacher's support plan according to children's forms of participation, first of all, for the Consultative processes, respect and demonstration were much used as teacher's support plan. For Participatory processes, suggestion was used the most,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materials were comparatively more frequently used among teacher's support plans. For Self-initiative processes, material provision had the highest rate. Meanwhile, teacher's support plan had high rate among all the forms of participation. Second, the change pattern of classroom environment appeared as a different complexion according to children's forms of participation, which showed the similar result to the change pattern of classroom environment depending on the time of year. First of all, for Consultative processes, change placement had the largest rate, and size expansion did not appear. In Participatory processes, all change patterns of the classroom environments were observed unlike the participation through Consultative and Self-initiative processes. The change pattern of classroom environment that had the most rate was addition, followed by change placement, removal, size expansion and usage change respectively. Finally, In the Self-initiative processes, size expansion had the most rate as a change pattern of classroom environment, and removal was not observed. Size expansion and usage change showed high frequency compared with other forms of participation in Self-initiative processes. These results show that environment change pattern differs depending on the self-direction of children participating in environment configur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eacher's support plan for supporting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was specifically suggested according to children's forms of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effect through the change in participation area was discussed. Furthermore,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there is difference in teacher's support plan according to children's forms of participation implies that teachers' efforts to choose a proper support plan for supporting children's participation is needed. In addition, the resul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hange pattern of classroom environment according to children's forms of participation have great implication for the importance of children's participation in mos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where classroom environment is organized by teacher on their own initiative.;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참여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유아의 참여형태에 따른 교사의 지원 방안 및 교실환경의 변화 유형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참여형태에 따른 교사의 지원 방안은 어떠한가? 1-1. 유아의 참여형태는 어떠한가? 시기별 차이가 있는가? 1-2. 유아의 참여형태에 따른 교사의 지원 방안은 어떠한가? 2. 유아의 참여형태에 따른 교실환경의 변화 유형은 어떠한가? 2-1. 교실환경의 변화 유형은 어떠한가? 시기별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의 참여형태에 따른 교실환경의 변화 유형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지난 2016학년도 믿음반의 유아가 참여한 환경 구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환경 구성에 참여하는 유아의 발화와 사진이 포함된 일일교육계획안 평가를 기본 자료로 분석하였으며, 환경사진 및 동영상과 일화관찰기록지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자료 분석의 정확도를 높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극회상기법을 이용하여 교사의 지원 방안 범주와 교실환경의 변화 유형 범주에 의해 분류되고, 유아의 참여형태에 따라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참여형태는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그에 따른 교사의 지원 방안에도 차이가 있다. 우선 유아의 참여형태는 1분기에는 상의를 통한 참여, 2분기에는 협력적인 참여, 3ㆍ4분기에는 유아 주도의 참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도성이 높은 형태의 참여가 더 많이 관찰되었다. 유아의 참여형태에 따른 교사의 지원 방안을 살펴보면, 먼저 상의를 통한 참여에서는 존중과 시범이 교사의 지원 방안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협력적인 참여에서는 제안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정보제공과 자료제공 또한 교사의 지원 방안 중 비교적 높은 빈도로 사용되었다. 유아 주도의 참여에서는 자료제공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한편 존중은 모든 참여형태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난 교사의 지원 방안이다. 둘째, 교실환경의 변화 유형은 유아의 참여형태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기에 따른 교실환경의 변화 유형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먼저 상의를 통한 참여에서는 배치변경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크기확장은 나타나지 않았다. 협력적인 참여에서는 상의를 통한 참여 및 유아 주도의 참여와 달리 모든 교실환경의 변화 유형이 관찰되었다. 가장 많이 나타난 교실환경의 변화 유형은 추가이며 배치변경, 제거, 크기확장 및 용도변경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 주도의 참여에서는 크기확장이 가장 많은 교실환경의 변화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제거는 관찰되지 않았다. 크기확장 및 용도변경은 다른 참여형태에 비해 유아 주도의 참여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환경 구성에 참여하는 유아의 주도성에 따라 환경 변화 유형이 달라짐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교사의 지원 방안을 유아의 참여형태에 따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참여 영역의 변화를 통해 참여의 효과에 대해 논의한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유아의 참여형태에 따라 교사의 지원 방안에 차이가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적절한 지원 방안을 선택해야하는 교사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와 더불어 유아의 참여형태에 따라 교실환경 변화 유형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는 교사 주도적으로 교실 환경구성이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유아교육현장에 유아 참여의 중요성에 대해 시사 하는 바가 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유아의 참여 4 B. 유아교육기관의 교실환경 12 Ⅲ. 연구방법 15 A. 연구대상 15 B. 연구도구 17 C. 연구방법 및 절차 21 D. 자료분석 22 Ⅳ. 연구결과 23 A. 유아의 참여형태에 따른 교사의 지원 방안 23 B. 유아의 참여형태에 따른 교실환경의 변화 유형 32 Ⅴ. 논의 및 결론 40 A. 논의 40 B. 결론 및 제언 45 참고문헌 48 부록 53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418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아의 참여형태에 따른 교사의 지원 방안과 교실환경의 변화 유형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of teacher's support plan and the change pattern of classroom environment according to children's forms of participation.-
dc.format.pagev,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