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1 Download: 0

만 1, 2세 영아의 가정 내 캐릭터 놀잇감 보유현황과 활용실태 및 부모의 인식

Title
만 1, 2세 영아의 가정 내 캐릭터 놀잇감 보유현황과 활용실태 및 부모의 인식
Other Titles
Analysis on present possession and actual usage of the character toys as well as the parents’perceptions of them in the families with 1 to 2 years old infants
Authors
이영주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는 만 1, 2세 영아의 가정 내 캐릭터 놀잇감 보유현황과 활용실태 및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 내 캐릭터 놀잇감에 대한 실제 활용도를 규명하고, 교육적인 활용과 영아의 요구에 적합한 캐릭터 놀잇감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1. 만 1, 2세 영아의 가정 내 캐릭터 놀잇감 보유현황과 활용실태는 어떠한가? 2. 만 1, 2세 영아의 가정 내 캐릭터 놀잇감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지역 등에 거주하고 있는 만 1, 2세 영아의 부모 25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관련 연구 및 문헌조사를 토대로 연구자가 작성하였으며, 총 4개의 범주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우선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복수응답의 경우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캐릭터 놀잇감을 보유하고 있었고, 보유 양은 10개 미만, 10개 이상~20개 미만, 20개 이상~30개 미만, 30개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실제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국내 캐릭터 놀잇감은 뽀로로, 타요, 폴리 순으로 많았고, 해외 캐릭터 놀잇감은 호비, 토마스와 친구들, 헬로 키티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설문에 제시되지 않은 그 밖의 캐릭터 놀잇감은 슈퍼윙스, 터닝메카드, 캐리 등의 순으로 많았다. 보유하고 있는 국내외 캐릭터 놀잇감의 유형은 모형, 교육용 등의 순으로 국내외 순위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영아들의 캐릭터 놀잇감 보유와 관련이 깊은 TV를 시청하는 하루 평균 시간은 30분~1시간 미만, 1~2시간 미만, 30분 미만 순으로 나타났고 좋아하는 TV프로그램은 뽀로로, 타요, 폴리 등의 순으로 캐릭터 놀잇감의 보유량 순위와 1, 2, 3순위가 모두 일치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4명의 부모는 영아에게 캐릭터 놀잇감을 제공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교육적이지 않다거나, 자녀 발달에 적합하지 않고 가격이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위와 같이 보유하고 있는 캐릭터 놀잇감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영아들이 캐릭터 놀잇감을 가지고 놀이할 때, 부모와 놀이, 혼자 놀이, 형제와 같이 놀이하는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캐릭터 놀잇감으로 영아와 함께 놀이하는 시간은 30분~1시간 미만, 1~2시간 미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아 혼자 캐릭터 놀잇감을 가지고 놀이하는 일일 평균 시간은 30분~1시간 미만, 1~2시간 미만 그리로 30분 미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아들은 놀이할 때 비캐릭터 놀잇감보다 캐릭터 놀잇감을 더 선호하였고, 부모의 선호도는 비슷하거나 캐릭터 놀잇감을 선호하는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가 영아와 놀이할 때는 캐릭터 놀잇감으로 더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캐릭터 놀잇감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부모들이 자녀가 좋아하는 캐릭터가 있다면 놀잇감 구매에 영향을 미치고, 놀잇감에서 캐릭터가 흥미와 재미를 준다고 생각하였다. 다음으로 부모는 자녀가 캐릭터 놀잇감을 좋아하는 이유에 대해 매체를 통해 보아서, 캐릭터 자체가 마음에 들어서 등의 순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부모가 캐릭터 놀잇감을 구입하는 이유는 자녀가 좋아해서, 주변의 친구들이 가지고 있어서 등으로 자녀의 선호를 고려하였다. 캐릭터 놀잇감을 구입할 때 결정권은 자녀와 함께 의논하여 결정하거나 자녀가 결정, 부모가 결정하는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캐릭터 놀잇감을 알게 되는 경로는 TV, 주변 사람, 매장 등의 순으로 많았고, 대다수는 TV프로그램이 캐릭터 놀잇감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였다. 부모들은 자녀의 캐릭터 놀잇감을 고를 때 자녀의 선호도, 놀잇감의 품질 등을 많이 고려하였고, 회사나 인지도, 성별에 관해서는 낮게 생각하였다. 또한 부모는 캐릭터 놀잇감의 교육적 기능 및 가치로 흥미와 즐거움 제공, 상상력과 창의성 발달 등의 순으로 생각하였다. 부모가 캐릭터 놀잇감을 선택·활용하는 데 느끼는 어려움으로는 자녀의 요구가 계속 늘어난다거나 캐릭터 놀잇감에 대한 자녀의 흥미가 금방 사라져 경제적인 낭비, 상호작용 시간의 부족이 전체 의견의 80.4%로 나타났다. 끝으로 전체 응답자 중 71.8%의 많은 부모는 캐릭터 놀잇감 관련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희망하는 부모교육의 내용으로는 자녀의 연령 및 발달에 적합한 캐릭터 놀잇감, 자녀와 함께 놀이하는 방법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esent possession and actual usage of the character toys as well as the parents’ perceptions of them in the families with 1 to 2 years old infants. The study investigates the actual usage of character toys within families and intends to provide the prim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toys suitable for both educational purposes and meeting the infants’ demands. 1. What is the current condition of character toy possession and actual usage status in the families with 1 to 2 years old infants? 2. What are the parents’ perceptions towards the character toys in the families with 1 to 2 years old infa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252 parents of 1 to 2 years old infa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values of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drawn from the collected data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as conducted if there were plural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families with infants possessed character toys and the quantities are less than 10, 10 ~ 19, 20 ~ 29, and more than 30. The domestic characters are Pororo, Tayo and Poli whereas overseas characters are Hoby(Shimajiro), Thomas and Friends, and Hello Kitty, both in the order of possession quantity currently in the household. For other characters not stated in the questionnaire are Super Wings and Turning Mechard in the order of possession quantity. The types of character toys are toy model and educational in the order of possession quantity and this order is the same for both domestic and overseas characters. The infants’ average hours of TV watching which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ossession of character toys are 30 minutes ~ less than an hour, 1 ~ 2 hours, and less than 30 minutes in the order of quantity. The most favorite TV program is Pororo, Tayo and Poli in the order of quantity and the rank number 1 to 3 match exactly to that of character toy possession. 4 parents out of the total respondents did not provide any character toys to their infants because they thought those are not educational, not suitable for their children’s development or too expensive. How the families are utilizing the character toys as outlined above are as the following. When the infants play with the character toys, the order of frequency shows that they play with their parents, play themselves alone, and play with their siblings. The time of parents playing with the infants using the character toys are 30 minutes to less than 1 hour or 1 ~ 2 hours in the order. When the infants play, they preferred playing with character toys to non-character toys whereas their parents’preference is either indifferent or the character toys. However, when the parents play with their infants, they displayed more interaction with the character toys. Second, the research results on the parents’perception towards the character toys revealed that 92% of the respondents said their purchase of toys are influenced if their children like certain characters and they also thought the characters add interest and fun to the toys. The parents also thought that they like the character toys because they saw them from media and they like the character themselves in this order.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parents purchase the character toys are because their children like them, or because the friends of their children already own them. This shows the parents consider their children’s preference. The purchase decision is either they decide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or their children decide or the parents decide in the order of quantity.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 parents get to know the character toys are TV, the surrounding people, and the shops in the order and most thought the TV programs influence greatly upon deciding the purchase of character toys. When the parents choose their children’s character toys, they mostly consider their children’s preference and the quality of the toys whereas they did not think much of the manufacturer, the brand awareness or the gender. The educational functions and values of the character toys that the parents think are providing interest and fun, and developing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 the order. The difficulties felt by the parents in choosing and using character toys are the financial waste and lack of interaction time caused by either the children’s demand keeps increasing or their interest in the toys quickly cools down. 80.4% of total respondents expressed this concern. Lastly, 71.8% of the total respondents felt the need for parents’ education for character toys and the desired contents of this education to be selecting the suitable character toys appropriate for their children’s age and development, followed by how to play them with their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