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3 Download: 0

경제 개념을 연결한 중학교 1학년 수학 수업 설계 및 적용 사례 연구

Title
경제 개념을 연결한 중학교 1학년 수학 수업 설계 및 적용 사례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s Mathematics Course Planning and Application, in Linking with Economic Concept
Authors
손남경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선숙
Abstract
The main revision direction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s to train balanced talents with humanistic imagin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creativity. And based on this purpose, a new subject in as a high school elective course was opened. Since high school mathematics should be the basi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learning, reviewing mathematics concepts from the viewpoint of mathematical connectivity is significantly import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ach economic mathematics to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the lesson that combines economics and mathematics with other subjects from the viewpoint of mathematical connectivity is in conflict with the goals of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es on cultivating positive attitude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hanges of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students and to recogniz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lass, which applied 'Free semester period' that enables students to freely find their career path in economic mathematics class, focusing on the first year middle school by linking 6th grade mathematics class in elementary school. Research problem 1. How can the first grade math class that links economic concepts be designed? Research problem 2. What are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nd the perceptions of the teachers? Research Problem 2-1. What is the attitude and perception of students as a result of applying math lessons in the fir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that link economic concepts? Research Problem 2-2.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 as a result of applying the math class in the fir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that connects the economic concept?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 1, it analyzed the economic material through literature research, 6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for the elementary school, practice books, the 1st grade math textbooks(2 kinds) and social textbooks(1 kind) for the middle school. The study selected mathematical units and decided to construct a mathematical concept according to its frequency of each economic material, and extracted economical materials by constructing economical concepts with reference to the economic materials and economic literature related to the textbooks. Based on this, the study produced the activity plan and the teaching plan, and continuously revised it, while conducting the examination and the class of the expert.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class were 3 students in S middle school and 4 students in M middle school in Seoul, in total of 7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class. As a research tool, teachers 'class evaluation questionnaires, pre- and post-attitude test questions, and students' evaluation questionnaire question were designed and applied.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economics were measured by student, attitude area, and subject through pre-and post-attitude test. The rate of increase / decrease of each subject was analyzed and quantifi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prepared by the students through the questionnaire of the students 'evaluation, the study tried to get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awareness through the last 10 minutes of interviewing for each scho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6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in elementary schol, practice book and 2 kinds of mathematics textbooks of middle school, the part in which economy material and concept most frequently appeared was the 'regularity' area, followed by the 'measurement' area. After constructing the economic concept of "economic decision-making, income, discount, interest, spending, deposit, exchange rate, price, economic-related job" centering on economic material and social material textbooks shown in mathematics textbooks. , it deducted the economic material. After selecting the topic of each seminar based on the prior literature related to textbook analysis and economic education, a total of four activity areas were produced. After completing the activities and course instructional plans, three mathematics teachers and two social teachers were asked to evaluate the class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tries to discuss the suggestion for economic mathematics course. As a result of applying the experimental lesson, the change of pre- and post- attitude test on mathematics and economics by student, attitude area, and subject were analyzed by using Excel and the analysis result was presented by the increase and decrease rate. Through the questionnaire of the students'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the first grade of economic mathematics class in the middle school which links the students' mathematics concept of the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Overall, they showed positive responses leading significant results. The researcher, as well, wrote the questionnaire through the students' self-evaluation questionnaire to compare the students' perceptions. It is meaningful in that not only did it enable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o review the mathematical concepts of the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mathematical inner connection, but also it associated the math and economy with external connectivity of mathematics based on the six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n 2015. Since the newly opened course "Economic Mathematics"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s a subject that does not appear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t has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applied Economic Mathematics cours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s inner connection. And it is suggested that as after-school classes mainly during the free semester system, this class can be used as a class for students to explore the career pat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it has generalized the research with 7 students and 5 teachers and because each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is different from upper, middle, and lower, there still remains a part to reconstruct in terms of difficulty of the class. In addition, since economic mathematics is a curriculum that integrates economics and mathematics, which is another subject,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co-teachers of economics teachers and mathematics teachers should cooperate or whether the teachers who had received economy education should teach alone. ISince is a math course, math teachers should have enough and profound economy knowledge, I believe that the economy education for mathematics teacher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in order to enable mathematics teacher to teach the course, which is considerably associated with economy concept. In conclusion, from the viewpoint of inner mathematical connection, if the textbook of is issued and the class is enforced, it will be necessary to compare with the textbooks and the mathematical problems based on the economic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lso, follow-up study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to check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with in university is necessary.;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주요 개정의 방향은 인문학적인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갖춘 균형 잡힌 인재를 양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고등학교 선택과목으로 <경제 수학> 과목을 새롭게 개설하였다. 고등학교 수학은 초등학교, 중학교 수학 학습의 토대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수학 내적 연결성의 관점에서 수학 개념 복습은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초등학생, 중학생들에게 경제 개념을 소재로 한 수학 수업을 할 필요가 있으며 수학 외적 연결성의 관점에서 타 교과인 사회에서 나타난 경제 개념과 수학 개념을 연결한 수업은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상충한다. 2015개정 교육과정은 정의적 태도 학습 함양을 방향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자유학기제를 시행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경제 개념을 연결한 중학교 1학년 수학 수업을 학생들에게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태도, 인식의 변화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이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도 알아보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연구문제1. 경제 개념을 연결한 중학교 1학년 수학 수업은 어떻게 설계될 수 있는가? 연구문제2. 경제 개념을 연결한 중학교 1학년 수학 수업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태도 및 인식과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1. 경제 개념을 연결한 중학교 1학년 수학 수업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태도 및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2. 경제 개념을 연결한 중학교 1학년 수학 수업을 적용한 결과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초등학교 6학년 수학교과서, 익힘책과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2종) 및 사회 교과서(1종) 분석을 통해 경제 개념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나타난 경제 개념 별 빈도수로 어떤 영역에서 수학 단원을 선정하고, 수학 개념을 구성할지 결정하였으며 나타난 교과서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경제 개념과 경제 교육과 관련된 선행 문헌을 참고하여 경제 개념을 구성하여 경제 소재를 추출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활동지 및 수업지도안을 제작하였으며 전문가의 검증과 수업을 진행하면서 계속적으로 수정했다. 실험 수업에 참여하는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S 중학교 3명, M 중학교 4명이며 총 7명의 학생들이 실험 수업에 참여하였다. 검사도구로는 교사의 수업 평가 설문지, 사전・사후 태도 검사지, 학생의 수업 평가 설문지 문항을 제작하였으며, 사전・사후 태도 검사를 통해 학생들의 수학 및 경제에 대한 태도 변화를 학생별, 태도 영역별, 교과별로 증감률을 분석하여 수치화하였다. 학생의 수업 평가 설문지를 통해 학생들이 작성한 설문을 토대로 마지막에 학교 그룹별로 약 10분간 인터뷰하는 시간을 통해 학생들의 인식에 대해 좀 더 깊이 알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수학 교과서, 익힘책과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 2종을 분석한 결과 경제 개념이 많이 나타난 영역은 ‘규칙성’ 영역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측정’ 영역에서 많이 나타났다. 수학 교과서에서 나타난 경제 소재와 사회 교과서에서 나타난 경제 소재를 중심으로 ‘합리적인 의사결정, 소득, 할인, 이자, 지출, 예금, 환율, 가격, 경제와 관련된 직업’으로 경제 개념을 구성하고 난 후에 경제 소재를 추출했다. 교과서 분석 및 경제 교육과 관련된 선행 문헌을 중심으로 차시별 주제선정를 선정한 후 총 4차시의 활동지를 제작하였다. 활동지 및 수업지도안을 모두 완성한 후에 수학교사 3명, 사회 교사 2명에게 교사에게 수업에 대한 평가를 설문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경제 수학 수업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고자한다. 실험 수업을 적용한 결과 학생별, 태도 영역별, 교과별로 수학 및 경제에 대한 사전 및 사후 태도 검사 변화를 Excel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증감률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학생의 수업 평가 설문지를 통해 학생들의 초등학교 6학년 수학 개념을 연계한 중학교 1학년 경제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학생의 수업 평가 설문지를 통해 본 연구자도 직접 작성하여 학생들의 인식과 비교 분석하였다.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여섯 가지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교수・학습을 제작하고 수학 외적 연결성으로 수학과 경제를 연결함과 동시에 수학 내적 연결성으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초등학교 6학년 수학 개념을 복습한 데 있어서 의의가 있다.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개설된 진로 탐색 과목인 <경제 수학>은 초등학교, 중학교에는 나타나지 않는 과목이므로 수학 내적 연결성의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초등학생과 중학생들 대상으로 한 경제 수학 수업을 적용한 데 있어서 의의가 있으며 자유학기제를 중심으로 방과 후 수업을 하여 이 수업을 통해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수업으로 할 수 있는 점이 시사점이다. 이 연구의 한계점은 학생 7명, 교사 5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일반화를 했다는 점이고,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가 상, 중, 하로 다 달랐기 때문에 수업의 난이도 측면에서 재구성해야 부분이 있다. 또한 경제 수학은 타 교과인 경제와 수학을 융합한 교과목이기 때문에 경제 교사와 수학교사가 공동으로 협력하여 가르쳐야할지, 경제 교육을 연수한 수학 교사 혼자만이 가르쳐야 할지 논의할 필요가 있다. <경제 수학> 교과목이 수학 과목이기 때문에 수학 교사가 가르치려면 충분한 경제 지식이 바탕이 되어야하기 때문에 경제 교육에 대한 수학 교사의 교사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수학 내적 연결성의 관점에서 봤을 때 <경제 수학> 교과서가 발행되어 수업이 시행된다면 그 교과서와 초등학교, 중학교에 나타난 경제를 소재로 한 수학 문제와 함께 비교 분석하고 대학교 <경제 수학> 과목과 어떠한 연계성이 있는지 비교 분석하여 후속 연구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