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1 Download: 0

창작 전문가에 의한 중학생의 소설 창작 수업 실행 연구

Title
창작 전문가에 의한 중학생의 소설 창작 수업 실행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reating Fiction instructed by Creation Professional for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정수민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창작 교육은 문학 교육의 일환으로서 지니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장 적용에 어려움을 보이는 편이다. 특히 소설 수업은 입시를 우선하는 교육적 풍토에서 교사가 정전 중심으로 작품을 해설하고 학습자는 이를 암기하는 강의식 진행을 반복해왔다. 따라서 소설 창작은 소설 이해·감상 학습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았다고 볼 수 있다. 한 편의 완결된 글을 쓰기 위해선 창작 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분량도 많다. 이러한 이유로 교사가 창작 지도에 관심을 기울이고 학습자는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고 공유할 수 있는 분위기는 좀처럼 형성되기 힘들다. 7차 교육과정 이후로 창작 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많아졌으나 실질적인 창작 수업 방안을 모색하기는 쉽지 않다. 이에 본고는 창작 전문가가 중학생을 대상으로 소설 창작 수업을 실행해보고 창작 교육 방안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했다. 창작 전문가에게 창작은 필자의 성향과 능력, 태도, 창작 방식에 따라 특수한 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창작 전문가는 창작을 전문적으로 행한다는 정체성 하나로 창작 교육에서 이미 고유한 성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창작 교육에서는 창작 전문가의 역량만큼이나 학습자를 한 명의 필자로서 존중하고 그의 아이디어가 소설에서 요구되는 구성과 표현을 갖추도록 돕는 교육자의 관점이 적극적으로 요청된다. 작품의 문학적 완성도가 아닌, 학습자가 창작을 거치면서 일어나는 내면의 변화를 탐색해야 한다는 점에서 창작 전문가에 의한 소설 창작 수업은 창작 교육의 독특한 현상을 보여줄 수 있다. 연구자는 창작 전문가이자 예비 교육자로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도서관에서 7주간 소설 창작 수업을 실행했으며 그 결과, 4명의 학습자들이 창작 능력 및 태도, 동기뿐 아니라 창작 경험의 폭에서 특기할 만한 차이를 보이며 그것이 지속적으로 창작 수업의 변수로 작용해 적절한 교육적 처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학습자 개인의 창작 과정에 개입하면서 창작자와 교육자의 연결점을 찾는 데 어려움을 느꼈고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면서 학습자들이 각자 한 편의 작품을 완성하도록 이끌었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창작 전문가에 의한 소설 창작 수업의 의의를 밝힐 수 있었다. Ⅱ장에서는 소설 창작 수업을 실행하기 전, 국어 교과서 속의 문학 창작 활동을 분석하고 학생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각각 소설 창작 교육에 적합한 활동 구성 방식과 학교 현장에서의 창작 수업 시도가 미진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창작 전문가에 의한 소설 창작 수업의 가능성을 짚어보고 소설 창작 수업에서 이론적 바탕으로 삼은 쓰기 워크숍 모형과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창작 전문가에 의한 소설 창작 수업의 실행 과정을 제시했다. 소설 창작 수업 교수·학습 모형과 절차를 설계하고, 각 차시별 수업 지도안에 따른 소설 창작 수업의 실제를 4명의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관찰한 결과와 중간 결과물, 일대일 면담 내용을 분석해보았다. 학습자들은 7주 동안 아이디어 구상부터 시작해 초고 쓰기, 고쳐 쓰기, 감상 및 평가하기 단계를 거쳤으며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창작 과정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Ⅵ장에서는 창작 전문가에 의한 소설 창작 수업의 실행 결과를 살펴보았다. 4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후 인터뷰 답변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자 개인의 창작 과정과 결과를 파악하고 어떠한 정서적 변화가 나타났는지 구체적인 소감을 들었다. 또한 담당 사서 선생님의 소설 창작 수업 평가와 연구자의 자기 성찰을 분석함으로써 창작 전문가에 의한 소설 창작 수업의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했다. 본고는 창작 전문가가 창작 개념에 대해 재인식하고 쓰기 주체가 아닌 쓰기를 가르치는 주체로서의 변화를 시도한 점에서 겪어야 했던 어려움과 그것을 해결하고자 한 과정과 결과를 담아내고 있다. 이는 창작 수업의 교육 주체를 창작 전문가로 넓힘으로써 학습자가 창작을 통해 올바른 자아를 형성하고 개인의 성장을 도모하는 데 또 다른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일한 필자로서 학습자와 학습자의 창작 과정에 적절히 개입하고 소통하려는 자세의 중요성 역시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Despite the importance of creation education as a part of literary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apply creation education to the actual field. Especially, in the educational climate where priority is given to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fiction classes have been repeatedly carried out by teachers explaining the previous classic works and learners simply memorizing them. Therefore, the emphasis on fiction creation class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classes on fiction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Moreover, writing a completed piece of an essay takes a lot of time and page amounts.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for teachers to pay attention to creation classes and learners to express their thoughts in writing a fiction and sharing it. Although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creation education has increased since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t is not easy to find practical creation teaching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creative possibilities of fiction creation by middle school students with creation professionals. For creation professionals, creation can be a special concept based on their tendencies, abilities, attitudes, and creative methods. Therefore, creation professionals can make unique achievements in creation education based on the identity of professionally performing creative work. In creation education, not only the competence of creative experts but also their viewpoints are actively requested. This is to respect an individual learner as a writer and help his or her ideas to be realized for the composition and expression required in a fiction. The fiction creation class performed by the creation professionals can demonstrate the unique phenomenon of creation education in that learners can explore the internal changes that take place when a creator does not focus only on the literary perfection of the work. The author of this study, as a creation professional and preliminary educator, conducted a seven-week fiction creation class at the libra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four learners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in creative ability, attitude, motivation, and creative experience, which constantly served as a variable in the creation classes and required for appropriate education. The author interfered with the learner's individual creation process and found it difficult to make a connection between the creator and the educator, and led the learners to complete each of their works while trying to overcome the difficulty. Finally, the author was able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creative writing lessons with creation professionals. In chapter Ⅱ, the study analyzed the literature on creation activities from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conducted student interviews before operating fiction classes. As a result, they showed that there were not sufficient activities for fiction composition and creative writings at school.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ies of fiction creation classes instructed by creation professionals and examined writing workshop model and creativity development learning model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basis in novel creation class. In chapter Ⅲ, the study presented the process of creating fictions instructed by creation professionals.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results of the fiction creation classes based on the teaching plan of each lesson hour and the findings from observing the four learners’ contents of the intermediate paper. The learners spent seven weeks for designing ideas, writing, rewriting, appreciating, and evaluating them, showing different aspects of the creation process. In chapter Ⅵ, the study reviewed the results of the practices of creative writing with creation professionals. By analyzing the data gathered for the four learners, the author understood the learner's personal steps and results, and learners told their specific emotional changes occurred during the session. Also by analyzing the evaluation of fiction creation classes from the librarian and self-reflection of the author, the study tried to show the possibilities of creating fiction class instructed by creation professional. This paper describes the difficulties, problem-solving procedures, and results that a creation professional had to experience in re-recognizing the conceptualization of creation and trying to make oneself converted from a subject that used to write a fiction to a subject that teaches how to write a fiction. By broadening the scope of educational agents toward creation professionals, this study can suggest a new direction to guide learners to form proper selves through creation and promote their personal growth. Also, since the author was put into the same pos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attitude to communicate with learners and appropriately intervening with their process of creation can be emphasiz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