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9 Download: 0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프랑스어1(2009~2014) 기출문제 분석

Title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프랑스어1(2009~2014) 기출문제 분석
Authors
박신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불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민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졸업 정도의 지식으로서의 프랑스어1의 주요 내용들을 고찰해 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교육부의 초중등 교육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하는 검정고시는 졸업정도의 지식과 그 응용 능력을 검정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국가고사 중 하나인 고졸검정고시 프랑스어 1에 대한 성찰 및 연구를 통해 고등학교 졸업 정도의 지식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검정고시는 그동안 대입수학능력시험 만큼 시사적, 교육적으로 큰 이슈거리가 되거나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나, 검정고시는 정규 교육과정을 밟지 못한 자에게 합격 시 준비한 시험에 대한 학력을 인정해 주는 시험이기도 하며, 수험자가 상위 교육기관에 진학을 원할 경우, 이전 교육의 달성이라는 자격 요건으로서 상위 교육기관의 진학에 도약의 발판의 기능을 하는 국가고사라는 큰 함의가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 본 결과 그동안 검정고시에 대한 연구와 교육적 성찰은 유감스럽게도 매우 희소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더욱이 프랑스어 과목의 검정고시에 대한 연구는 찾기 힘들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고졸검정고시 프랑스어1을 연구 · 분석함으로써 졸업정도의 지식이라고 볼 수 있는 프랑스어1 의 주요 내용들을 도출해 보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고졸 검정고시 프랑스어1을 분석해 본 결과 평가지의 각 회 차당 내용영역의 비율은 일정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평가지 중 12회 차의 평가문항을 종합하여 분석해본 결과 검정고시 프랑스어1은 평균적으로 발음 및 철자(7.3%), 어휘(6.2%), 문법(16.75%), 의사소통(64%), 문화(5.2%)의 비중으로 출제가 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각 내용영역 별 출제가 이루어진 항목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았다. 발음 및 철자 영역에서는 자음에서는 [k], [ʒ], [s], [j]가 주로 출제되었고, 모음에서는 [ε], [ə], [ɛ̃], [ɑ̃], [o]의 인지 여부에 대해 묻고자 하였다. 연음은 연음이 가능한 경우와 불가능한 경우에 대해 측정하고자 하였고, 묵음은 묵음의 예외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인 f, r, x 에서 출제되었다. 어휘 영역에서는 일상적이고 의사소통 영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어휘가 출제 되었다. 또한 어휘를 묻는 과정에서 어휘의 의미관계를 이용하여 묻기보다는 의사소통 내용영역의 대화문에서 제시된 동사와 의미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어휘 찾기 혹은 내용의 흐름상 적절한 어휘를 찾는 문항이 다수 등장했다. 문법 영역에서는 동사항목으로 현재시제, 복합과거, 재귀적 대명동사 문항이 출제되었고, 대명사에는 주어인칭대명사, 간접 목적보어 인칭대명사, 강세형 인칭대명사, 중성대명사, 의문대명사 등이 출제되었다. 형용사 항목으로는 소유 형용사, 의문형용사, 형용사 성수일치, 지시형용사, 형용사(tout), 형용사의 위치에 대해 묻고자 하였다. 관사 항목에서는 정관사, 부정관사, 관사의 변형(부정의 de) 이 출제되었고, 전치사 항목에서는 au, dans, en, sous, sur, pour, a côté de/ derrière 가 출제되었다. 접속사로는 이유관계를 나타내는 parce que에 대한 인지 여부를 묻고자 하였다. 의사소통 영역을 살펴보면 인사하기, 감사하기, 소개하기, 묘사하기(시간, 사람, 사물, 날씨), 길 묻고 가르쳐주기, 사과와 유감, 물건사기, 대답, 만날 약속, 의견 또는 판단, 전화하기, 음식이나 음료권하기, 제안, 기호, 계획이나 희망, 기원 및 축하, 감탄, 경고나 주의, 지시 또는 명령, 초대, 제안에 대한 승낙· 거절, 비교(7차 교육과정에서는 문법 영역에 해당, 2007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 영역)에 관련한 상황 및 의도의 제시문이 다수 등장하였다. 끝으로 문화 영역으로는 프랑스의 일반적 성씨, 주요 정치인, 대중교통, 대표적 문학작품, 지리적 상식과 특산물, 인접국가 상식, 일상적 관습, 풍습, 프랑스 국기 색깔, 프랑스의 국경일, 기념일 등에 관한 문항이 주를 이루었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 고등학교에서 교수 · 학습될 프랑스어1 영역에 대해 공시한 내용을 보면 고등학교 교육과정 프랑스어1은 포괄적이고 광범위하며 다소 모호하게 기술된 측면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꼭 학습 되어야 할 프랑스어1 영역에 대해 구체적 내용을 담은 연구물이 진작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여, 본 논문에서 그동안 시행되었던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프랑스어1(2009~2014)을 되짚어 보고,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이 바라본 고등학교 졸업정도의 최소한의 프랑스어1 지식수준을 본 연구자 나름의 기준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프랑스어1 평가는 예산 등의 이유로 안타깝게도2014년도의 시행을 마지막으로 하여 폐지되었다. 이는 세계화와 다문화 사회에 이미 진입한 우리나라의 현실에 역행하는 교육 정책임을 반박할 여지가 없어 보인다. 이에 교육 관련자들은 검정고시에서 제 2외국어 영역의 향방 혹은 외부기관의 시험결과의 중용 등의 대체 시험 방안과 향방에 대해 다시 한 번 깊은 고민이 요구되어진다.;Cette recherche a pour but d’étudier le contenu principal du français 1 étant le savoir requis pour la fin d’études secondaires. Selon les aliénas de la loi sur l’enseignement primaire et secondaire, il est précisé que l’examen de qualification (ci-après nommé EQ) administré par l’institut coréen du curriculum et de l’évaluation certifie le savoir requis équivalant au niveau d’études de chaque cycle et sa capacité d’application. De ce fait, nous déduirons le niveau du savoir lors de la fin d’études au travers de la réflexion et de l’étude sur le français 1, un des examens nationaux. Nous constatons que l’EQ n’attire pas autant d’attention de manière d’actualité ni pédagogique que l’examen d’entrée à l’université. Néanmoins, l’EQ est un examen qui permet de reconnaître leur niveau d’études à ceux qui n’ont pas suivi le cursus régulier et qui réussissent cet examen. Il est également une condition requise afin d’intégrer l’établissement d’enseignement supérieur au niveau de leur EQ, s’ils veulent continuer leurs études. Mais après avoir analysé des études antérieures, nous remarquons qu’il est rare et difficile de trouver des recherches sur l’EQ et la réflexion pédagogique, en particulier celui de français. Ainsi, cela nous amène à l’occasion d’extraire le contenu principal du français 1 par le biais de l’examen et de l’analyse de ce dernier. Suite à l’analyse, nous découvrons que la proportion des épreuves dans l’ensemble de l’examen lors de chaque passation n’a pas été homogène. Cependant nous trouvons une proportion moyenne des 12 passations : la prononciation/orthographe (7,3%), le lexique (6,2%), la grammaire (16,75%), communication (64%) et la culture (5,2%). Après un regard brève sur les items de chaque épreuve, nous avons des résultats comme suit : Dans la partie de la prononciation/orthographe, nous avons souvent comme sujet d’items : [k], [ʒ ], [s], [j] pour les consonnes et la reconnaissance des sons [ε], [ə], [ɛ̃], [ɑ̃], [o] pour les voyelles, l’évaluation des cas possibles ou non de liaison ainsi que les cas d’exception tels que [f ], [r], [x] en ce qui concerne les sons muets. Dans le lexique, son niveau est celui du sens général. Le sujet d’items ne se présente pas en lien avec la relation sémantique mais la plupart d’entre eux sont le mot à trouver approprié au contexte ou étant en relation sémantique avec le verbe présenté dans le dialogue de l’épreuve de communication. Dans la grammaire, le présent, le passé composé, les verbes pronominaux se présentent pour les items du verbe ; les pronoms personnels, toniques, neutres et interrogatifs, etc. pour ceux des pronoms ; les adjectifs possessifs, interrogatifs, démonstratifs, indéfinis (tout) et l’accord en genre et en nombre, ainsi que leur place pour les adjectifs ; les articles défini, indéfini et le changement d’article (‘de’ de la négation) pour les articles ; au, dans, en, sous, sur, pour, à côté de/derrière pour les prépositions ; la reconnaissance de ‘parce que’ (cause) pour les conjonctions. Dans la communication, il y a beaucoup de phrases indiquant des situations de : salutation, remerciement, présentation, description (l'heure, la personne, l'objet et la météo), demande et offre de l'information pour trouver le chemin, excuse et regret, achat, réponse, prise de rendez-vous, avis ou jugement, appel téléphonique, proposition de boissons ou de la nourriture, suggestion, goûts, projet ou souhait, vœux et félicitation, exclamation, avertissement ou précaution, indication ou ordre, acception ou refus de l'invitation et de la proposition ainsi que comparaison (celle-ci avait fait partie de l'épreuve de grammaire pour le 7ème programme d'enseignement, mais a apparu dans celle de communication en 2007). Dans la culture, ses items sont composés principalement des noms de famille fréquents en France, des personnages politiques importants, des transports en commun, des œuvres littéraires représentatives, du sens commun de géographie et de spécialités régionales, celui des pays voisins, des us et coutumes, des couleurs du drapeau français et des jours fériés ou commémoratifs français, etc. Ces résultats démontrent le fait que l'étendue du savoir du français 1 est très vaste et ambiguë. Toutefois, nous considérons qu'ils peuvent s'employer comme un guide pédagogique secondaire important étant donné qu'ils sont un document d'analyse assez clair portant sur le savoir du français 1. Le français 1 a été supprimé pour des raisons budgétaires, etc. en 2014, l'année de la dernière passation. Il est incontestable que la suppression de la matière de seconde langue étrangère (matière d'option 2) est une mesure éducative allant à l'encontre de l'ère de mondialisation. Si l’institut coréen du curriculum et de l’évaluation a de réelles difficultés budgétaires ou d'autres afin de l'administrer, nous pensons qu'une gestion flexible de l'EQ pourrait être une alternative : la prise en considération des résultats d'autres examens de français, et la dispense d'une matière, tels que FLEX, DELF/DALF, etc. qui sont des examens gérés par des établissements de confiance pour évaluer le niveau du français. Cela permettra aux candidats vivant une période de compétences plurilingues d'élargir un éventail de choix et de se motiver en vue d'apprentissage de langues étrangèr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불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