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고등학생의 국어 문법 문제 해결 상황에서의 인지전략 사용 양상 연구

Title
고등학생의 국어 문법 문제 해결 상황에서의 인지전략 사용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se Aspects of Cognitive Strategies for Solving Problems in Korean Grammar by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윤서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inds of cognitive strategies used for learners to solve problems in Korean Grammar. Grammar is the area where most learners have difficult with, yet they do not feel the need to learn it as native speakers of Korean find themselves unfamiliar with the terminologies of Korean grammar and are hardly be motivated to learn the grammar of a language that they are already fluent in. This is why to learners in the classroom, Korean grammar is merely something that they need to put great deal of effort to memorize difficult terms and concepts. However, Korean grammar is not an established rule, but is a collection of rules that classify and examine the language that we already use in an inductive way. Therefore, Korean grammar has to be taught in a way that it can enhance grammatical thinking abilities of the learners through activities that explore the language they use in their daily lives. Exploring language activities is based on various cognitions. This is why it needs to strategically utilize cognition in learning Korean grammar in an explorative way. To this end, the author of this study felt that learners should use effective cognitive strategies to cultivate their grammatical thinking skills. In order to examine what is an effective cognitive strategy, the author re-conceptualized the term 'cognitive strategy' to be used in this study in Chapter II. The definitions of cognitive strategy vary depending on scholar. This is why the term is re-conceptualized in this study as 'significant thinking strategies that help learners effectively cultivate their grammatical thinking abilities when they need to learn and solve problems in Korean grammar'. Based on this re-conceptualization, the author classified the types of problem solving situations involving Korean grammar problems before analyzing the usage patterns of effective cognitive strategies. Moreover, the author gave shape to analytical criteria for analyzing the cognitive strategies through representative cases, and accordingly set the details of the cognitive strategies to be us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criteria and details of cognitive strategies, in Chapter Ⅲ, four learner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ognitive strategies used in solving Korean grammar problems. The four selected learners are 2nd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and have an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1 to 2 in Korean language, which is the top 11% in the entire achievement level.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mock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s is that the test's Korean language subject is focused on measuring thinking abilities. Therefore, in order to confirm the cognitive strategies that can be used to improve grammatical thinking ability, the author examined the aspects of effective cognitive strategies used by four learners selected in this study to solve Korean grammar problems. The results suggest that each learner has different cognitive strategy that they prefer; one learner like to use 'questioning strategy' while they are those who like to use 'reviewing strategy' and 'self-evaluation strategy', respectively. Furthermore, cognitive strategies commonly used for learners were 'goal setting strategy' and 'comparative analysis strategy'. According to the types of Korean grammar problems, 'problem reading strategy', 'sentence conversion strategy', 'analogy and questioning strategy', 'problem reading strategy and questioning strategy' were most commonly used. 'Goal setting strategy' and 'comparative analysis strategy' are commonly used in three types of questions. The author examined how the cognitive strategies widely used have an effect on grammatical thinking abilities by comparing representative cases of the two learners. The results suggest that effective cognitive strategies contribute to the growth of grammatical thinking skills. Based on the results of Chapter Ⅲ, chapter IV proposes teaching strategies to teach and activate effective cognitive strategies. In Section A of Chapter IV, the author suggests a 'modeling' instructional strategy to effectively teach cognitive strategies. In Section B, a 'feedback' teaching strategy is proposed to activate effective cognitive strategies. These teaching strategies can lead learners to use effective cognitive strategies when learning Korean grammar or solving grammar problems. In addition, continuous feedback teaching strategies can lead to the activation of effective cognitive strategies. In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effective cognitive strategies that can enhance learners' grammatical thinking ability based on the re-conceptualized cognitive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teaching strategies that can teach effective cognitive strategies are proposed. The author expects that learners will no longer memorize grammatical rules in the classroom, rather, they make inquiries about Korean grammar through the use of effective cognitive strategies.;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가 국어 문법 문제를 해결하는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인지전략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국어의 영역 중에서 문법은 대다수의 학습자가 가장 어려워하면서도, 학습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영역이다. 그 이유는 학습자들에게 국어 문법 규칙의 용어가 생소하기 때문이고, 모국어 화자로서 이미 능수능란하게 사용하고 있는 국어의 문법을 배울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실의 현장에 있는 학습자에게 국어 문법은 어려운 용어와 개념을 외워야 하는 것에 불과하다. 하지만 국어 문법은 본래 정해져 있는 규칙이 아니라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국어’를 귀납적으로 살펴보고, 각 기준에 따라서 분류한 규칙의 집합체일 뿐이다. 따라서 국어 문법 교육은 학습자가 실생활에서 쓰고 있는 국어에 대해 탐구하는 활동을 통해 문법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측면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국어 활동을 탐구한다는 것은 다양한 인지를 기반으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국어 문법을 탐구적으로 학습하는 데 있어서 인지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학습자의 문법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효과적인 인지전략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효과적인 인지전략에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Ⅱ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될 ‘인지전략’이라는 용어에 대하여 재개념화를 하였다. 인지전략은 학자별로, 연구의 목적별로 용어 설정 자체나 개념의 정의가 조금씩 달랐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전략을 ‘국어 문법 문제 해결 상황에서 학습자에게 문제 해결과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문법적 사고력의 증진을 도와주는 유의미한 사고의 전략’이라고 재개념화 하였다. 이러한 인지전략의 재개념화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인지전략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기에 앞서 국어 문법 문제 해결 상황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인지전략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기준을 대표 사례를 통하여 구체화하였고,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사용할 인지전략의 세부 항목을 설정하였다. 이렇게 설정된 인지전략의 분석 기준과 세부 항목을 토대로 Ⅲ장에서는 국어 문법 문제 해결 상황에서 사용되는 인지전략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학습자 네 명을 선정하였다. 이때 선정된 학습자 네 명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으로 수능 모의고사 국어 영역 1~2등급의 학업 성취도를 가지고 있고, 이는 전국 단위 상위 11%에 속한다. 수능 모의고사의 학업 성취도에 따라서 연구의 대상을 선정한 이유는 수능 모의고사 국어 영역의 출제 방향이 사고력의 측정에 역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법적 사고력의 향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인지전략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네 명의 학습자가 국어 문법 문제 해결 상황에서 사용하는 효과적인 인지전략의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학습자별로 선호하여 사용하는 인지전략의 사용 양상을 확인했다. ‘질문하기 전략’을 선호하여 사용하는 학습자, ‘검토하기 전략’을 선호하여 사용하는 학습자, ‘자기 평가 전략’을 선호하여 사용하는 학습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에게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인지전략은 ‘목표 설정 전략’과 ‘비교 분석 전략’이 있었다. 국어 문법 문제 상황의 유형별로는 각각 ‘문제 읽기 전략, 문장 변환 전략’, ‘유추 전략, 질문하기 전략’, ‘문제 읽기 전략, 질문하기 전략’이 많이 사용되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세 가지의 문항 유형에서 보편적으로 ‘목표 설정 전략’과 ‘비교 분석 전략’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렇게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지전략이 문법적 사고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학습자 두 명의 대표 사례를 통해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그 결과 효과적인 인지전략과 문법적 사고력의 관계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Ⅲ장의 분석 결과에 따라서 Ⅳ장에서는 효과적인 인지전략을 가르치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교수 전략을 제안하였다. Ⅳ장 A절에서 효과적인 인지전략을 가르치기 위해서 ‘모델링’교수 전략을 제안하였고, B절에서 효과적인 인지전략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피드백’교수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교수 전략은 학습자가 국어 문법을 학습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때 효과적인 인지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피드백 교수 전략을 통해서 효과적인 인지전략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재개념화 한 인지전략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문법적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인지전략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인지전략을 가르칠 수 있는 교수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교실의 현장에서 학습자가 더이상 문법 규칙을 암기하지 않고, 효과적인 인지전략의 사용을 통한 국어 문법 탐구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