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시적 영향관계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Title
시적 영향관계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Poetry Writing through Poetic Influence Relations
Authors
김태양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traditional poetry education and to present the directions of new poetry writing education based on various poetic influences. What was particularly focused in this study was the ‘influence’ presented by Harold Bloom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oets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ms through the definition of the newly re-conceptualized influence for writing education, and thus to determine the directions of new poetry writing teaching. In the field of literary education, poetry writing is only done by reconstructing poems in the textbook without guidance of the processes of writing. Poetry writing education without processes not only increases the burden on the creativity education to learners and teachers but also might restrict learners’ creative process to a re-writing or modification of existing poems in a formal framework of poetry. Harold Bloom of Yale School focused on influence relations of texts 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anxiety’ about the influence relations based on deconstruction. In The Anxiety of Poetic Influence, Harold Bloom revealed the ratio of changing poems of the younger poets in six patterns. Based on his viewpoint, this study has defined three aspects of the influence of poetic relations as ‘active acceptance’, ‘autonomous modification’, and ‘independent expansion’. ‘Active acceptance’ refers to a situation where a poet reveals the inspiration that he or she got from a preceding text or poet while ‘autonomous modification’ means text that is similar to an existing text, yet is added with autonomous reinterpretation. ‘Independent expansion’ means that a poet builds his or her own poetic world. The effects of relations of poems reflected in the poems by Baek Seok and Shin Kyeong-rim, Kim So-wol and Park Mok-wol, Jeong Ji-yong and Yun Dong-ju were examined in this study. Shin Kyeong-rim influenced by Baek-seok for his compassion for the alienated and his descriptive formality while Park Mok-wol added Kim So-wol’s nature-friendly sentiment and rhythm to his poetic meaning, transferred it into revisionism. Yun Dong-ju took Jeong Ji-yong’s figurative expressions and his distance to an object to expand his poetic work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the newly re-conceptualized influences for creative education through works of contemporary poets and suggests three aspects of poetic writing education, which are knowledge, practice, and attitude, based on poetic relations between the existing poems and poems made by adolescent. The first is extension of the horizon of poetic understanding through acceptance of poetry. Learners need to understand that poems are comprised of daily experiences and rhyme by accepting various pieces before they try to write one. Through this process, learners can transform his or her daily experience into a poetic material and use rhymes and images to write one. This allows learners to escape from the prejudice prevailing in poetry, while relieving the burden of writing. The second is the materialization of poetic concepts focusing on the process of revision. In the performance of writing, poetic concepts are an essential element of poetry writing, and learners materialize poetic concepts by being inspired with the works of various senior poets. Learners at this point can secure poetic concepts based on the overall poetic situation revealed in the work of senior poets or specific poetic material. Learners can use these concepts to reflect on their own experience and accordingly can write poetry. The third is observation and self-expression to expand one's own world. It is the attitude educational goals and significance of creative education that leaners can express their own feelings by observing the surroundings and reflecting on oneself. Therefore, learners can write a poem by engaging in self-reflection in relation to the work of a senior poet. It is expected that the existing awareness that poem writing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result of writing will be transformed, and that a series of processes for writing will allow learners to experience the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Furthermore, this study could help learners build perspective as to how they look at literature and serve as an opportunity for learners’ self-inquiry.;이 연구의 목적은 문학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존의 시 창작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다양한 시적 영향관계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시 창작교육의 방향을 제시해보는 데 있다. 특히 헤럴드 블룸이 제시한 ‘영향’에 주목하여 창작교육을 위해 새롭게 재개념화한 영향의 정의를 통해 한국 현대시사에서 시인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창작교육의 방향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문학교육의 장에서 시 창작교육은 창작을 위한 과정의 안내 없이 교과서 내 재구성 활동만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과정을 생략한 시 창작교육은 학습자와 교사에게 창작 교육에 대한 부담감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학습자로 하여금 시의 형식적 틀만을 활용해 기존의 시를 모작 또는 개작해보는 활동만을 창작으로 제한시킬 우려가 있다. 미국 예일학파의 헤럴드 블룸은 해체이론의 관점에서 텍스트의 내용이 지니고 있는 영향관계와 그 영향에 대한 ‘불안’이라는 심리적 기제에 대해 주목한다. 헤럴드 블룸은 그의 책 󰡔시적 영향에 대한 불안󰡕에서 후배 시인의 수정비율을 여섯 가지로 밝힌다. 본고에서는 그의 견해를 바탕으로 시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영향을 ‘능동적 수용’, ‘주체적 수정’, ‘독자적 확장’의 세 가지 양상으로 정의하였다. ‘능동적 수용’은 선행 텍스트 및 선배 시인으로부터 받은 영감을 자신의 작품에 드러내는 것을 뜻하며, ‘주체적 수정’은 후배 시인이 자신만의 재해석을 더하여 기존의 텍스트와는 유사하지만 다른 모습을 띠게 되는 것, ‘독자적 확장’은 후배 시인이 자신만의 독창적인 시 세계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창작교육을 위해 재개념화한 영향의 정의에 따라 각각의 영향의 양상을 백석과 신경림, 김소월과 박목월, 정지용과 윤동주의 관계에서 살펴보았다. 신경림은 백석으로부터 소외된 이들에 대한 연민과 서사적 이야기 시의 형식을 수용하였으며, 박목월은 김소월의 자연친화적 정서와 민요적 율격에 자신만의 의미를 더해 수정주의적으로 변용하였다. 윤동주는 정지용의 작품에 드러난 비유적 표현과 대상과의 거리를 통해 독자적인 비유법과 자아를 발견하여 자신만의 시 세계를 확장하였다. 이 연구는 창작교육을 위해 새롭게 재개념화한 영향의 다양한 양상을 현대 시인 간의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살펴보는 가운데 기존의 작품과 청소년 작품과의 영향관계를 바탕으로 시적 영향관계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의 내용을 지식과 수행, 태도적 측면의 세 가지 차원으로 모색하였다. 첫 번째는 시의 수용을 통한 시 이해 지평의 확대이다. 학습자는 시의 창작에 앞서 다양한 작품을 수용하며 시가 일상적 경험과 운율을 바탕으로 구성된다는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일상적 경험을 시의 소재로 변환하여 사용할 줄 알며, 운율과 심상을 활용하여 한 편의 시를 창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학습자가 시에 대해 일반적으로 지니고 있는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창작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두 번째는 수정의 과정에 주목한 시상의 구체화이다. 창작의 수행에 있어 시상은 시 창작에 필수적인 요소로, 학습자는 다양한 선배 시인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시상을 구체화하게 된다. 이때 학습자는 선배 시인의 작품에 드러나는 전체적인 시적 상황이나 특정한 시어 등을 바탕으로 시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확보한 시상을 학습자는 자신의 경험에 반추시켜 보고, 자신만의 언어를 활용해 시를 창작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자기 세계 확장을 위한 관찰과 성찰의 자기 표현이다. 학습자가 자신의 주변을 관찰하고, 스스로를 성찰하며,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창작교육의 중요한 목표이자 의의이다. 학습자는 자신이 영감을 받은 선배 시인의 작품과 관련하여 자기 성찰적 의지를 다지며 시를 창작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창작의 결과에만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의 창작교육에 인식의 전환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창작을 위한 일련의 과정이 학습자로 하여금 문학의 수용과 생산을 함께 경험하고, 능동적으로 문학을 바라볼 수 있는 문학사적 안목을 기르며, 학습자 스스로 자기 탐구를 수행하는 계기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