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0 Download: 0

가정 내 이중 언어 사용 상황에 따른 상위 언어 및 학습 한국어 읽기 능력의 관계 연구

Title
가정 내 이중 언어 사용 상황에 따른 상위 언어 및 학습 한국어 읽기 능력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language and academic Korean reading proficiency as a consequence of children's bilinguality in the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Authors
구지민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이중 언어 습득에서 작용하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 가정 내 이중 언어 사용 상황을 상정하고 아동을 둘러싼 가정 내 이중 언어 사용 상황이, 성공적인 이중 언어 습득의 전제 조건이 되는, 아동의 상위 언어 습득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이중 언어 사용 능력이 전이된다는 가설을 취하고 있는 학습 언어 능력 중 학습 한국어 읽기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다문화 가족의 수가 점차 증가하면서, 대한민국이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을 이미 시작하였다는 사회적 판단은 이미 공고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다문화 가족 구성원에 대한 학계의 연구들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을 다루는 연구에 있어서는, 대체로 이들의 부족한 한국어 능력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 상황적 조건으로 이미 이중 언어 습득 환경을 갖추고 있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숨겨진 언어 능력으로 ‘상위 언어 습득 능력’을 가정하고 이중 언어 습득으로 인한 인지 발달의 언어적 측면의 개념에 초점을 기울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 상황이 아직은 사회적 정책 차원의 이중 언어 사용 주의(Bilingualism)를 논할 수 있는 시점은 아니라고 판단하여, 이중 언어 사용 주의보다 개인적 차원의 ‘이중 언어 사용’(Bilinguality)에 대한 개념을 도입하고, 다문화 가정 아동을 둘러싼 가정 내 이중 언어 사용 상황으로 이중 언어 사용의 개인적 차원 변인과 ‘가정환경자극검사’를 변용한 가정환경 언어 자극에 대한 척도 검사를 검사 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본 연구에서 관찰하고자 하는 세 가지 분야, 아동의 이중 언어 습득과 상위 언어, 학습 한국어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 역시 본 연구에서 관찰하고자 하는 세 가지 분야에 대한 부분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는데, 아동의 이중 언어 습득에 대한 부분에서는 아동의 이중 언어 습득 연구의 두 가지 큰 흐름을 검토하면서 아동의 이중 언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는 본 연구의 핵심 논의인 상위 언어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상위 언어 습득 능력의 전이 효과가 나타난다는 학습 언어 능력에 대한 가설을 살펴보면서 본 연구의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연구 방법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특히 상위 언어 습득 능력의 중요한 가설 중 하나인 상호 작용 가설에 따르면, 상위 언어 습득 능력은 언어 습득 뿐 아니라 읽기 학습과 같은 후기 언어 발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취학 전의 아주 어린 영아들도 어느 정도는 상위 언어 습득 능력을 갖고 있다고 한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과 가설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였다. 그리고 실험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와 자료 수집 도구에 대해 기술한 후, 연구 문제에 따른 자료 분석 방법을 설명하였다. Ⅳ장부터 Ⅵ장까지는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이중 언어 사용 상황과 상위 언어 습득 능력, 학습 한국어 읽기 능력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우선 Ⅳ장에서는 아동의 가정 내 이중 언어 사용 환경이 아동의 상위 언어 습득 능력 총합과 아동의 상위 언어 습득 능력의 각 하위 영역(동운어 자각, 어휘 자각, 구문 자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가정 내 이중 언어 사용 상황 중에서는 양 언어 구사 능력과 가정 내 언어 사용 자극 정도가 아동의 상위 언어 습득 능력의 총합 점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양 언어 구사 능력의 경우에는 아동이 한국어를 잘하거나 몽골어와 한국어 양 언어를 모두 잘 구사하였을 때 해당 아동의 상위 언어 습득 능력의 총합이 높은 결과를 보여, 아동의 균형적인 이중 언어 사용성과 상위 언어 습득 능력과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가정 내 언어 사용 자극의 경우, 아동의 가정 내에서 한국어 사용의 자극 정도가 강할수록 아동의 상위 언어 습득 능력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정 내 이중 언어 사용 상황과 아동의 상위 언어 습득 능력 중 각 하위 영역과의 관련성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상위 언어 습득 능력 하위 영역 중 동운어 자각 능력과 관련하여서는 상위 언어 습득 능력 총합과의 관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아동의 가정 내 언어 사용의 자극 정도가 가장 큰 영향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공동체의 존재 여부 또한 높은 영향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상위 언어 습득 능력 총합과의 관계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정 내 한국어 사용 자극의 정도가 강할수록, 음운 자극을 줄 수 있는 목표어 화자가 존재할수록 상위 언어 음운 능력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아동의 상위 언어 습득 능력 하위 영역 중 어휘 자각 능력과 관련해서는, 역시 아동의 상위 언어 습득 능력과 마찬가지로 가정의 언어 사용 자극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구문 자각 능력의 경우에는 한국어를 시작한 연령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가정 내 이중 언어 사용 상황과 아동의 학습 한국어 읽기 능력과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가정 내 이중 언어 사용 상황 중에서 양 언어에 대한 구사 능력이 아동의 학습 한국어 읽기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Ⅵ장에서는 아동의 상위 언어 습득 능력과 학습 한국어 읽기 능력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아동의 상위 언어 습득 능력과 학습 한국어 읽기 능력 간의 상호 관련성은 매우 높았는데 특히 상위 언어 습득 능력의 하위 영역 중 구문 자각 능력, 동운어 자각 능력과 아동의 학습 한국어 읽기 능력 간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정 내 이중 언어 사용 상황 중에서 언어 사용 자극과 공동체 존재 여부, 한국어 시작 나이에 대한 변인은 아동의 상위 언어 습득 능력을 통하여 학습 한국어 읽기 능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이들 간의 관계에 아동의 상위 언어 습득 능력이 매개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Ⅶ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들을 정리하여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밝혔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다문화 가정 아동 대상의 언어학적 접근들이 이들이 지닌 제한적 능력을 부각시킨다는 데 문제를 제기하고 이들이 지닌 잠재적 언어 능력에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문화 가정 아동을 위한 이중 언어 사용성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다문화 가정 아동의 잠재적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fine an essential factor for children to learn bilingual language proficiency along with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n which the bilingual usage in the family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ould influence successful bilinguality of children, establishing a hypothesis that children’s meta-linguistic ability and the ability to utilize bilingual language is transferred and is closely related to children’s academic Korean reading proficiency. Recently, there were changing views of social trends that the Korean society has entered into elementary levels of multicultural social system, as the number of familie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increased dramatically over the past decades. As a consequence, recent academic researches have concentrated on the trends and type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members, but researches in relation to the linguistic abiliti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have focused on their lack of proficiency in learning and reading Korean language. This research aims to focus on the meta-linguistic abi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s the child learn naturally from the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and in relation to cognitive development in linguistic skills as a result of bilinguality. In addition, this research has its view that the entry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is not yet a point at which policy-based bilingualism can be discussed, thereby to introduce the interim term ‘bilinguality’ to focus on the individual’s ability to learn and utilize dual languages, and this study utilized modified tools of ‘Customized Individual Bilinguality Guideline’ and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to measure, observe and produce the report. The indexes of this research are listed as follows; Chapter I explain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introduces three parts of the observations from the recent researches related to children’s bilinguality, meta-linguistic ability and its ties with Korean language learning proficiency. Chapter Ⅱ pres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is research. This was also composed of three parts as according to observations. Children’s bilinguality have focused on two major trends in the related studies by analysis on the essential factors in children’s ability to bilinguality. In relation to meta-linguistic ability, research objective, hypothesis and methods are reflected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ability to utilize bilingual language is transferred from their close family members. In accordance with the hypothesis of interaction, meta-linguistic ability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language acquisition but also in later language development, and even the early childhood children are in possession of certain levels of meta-linguistic ability. Chapter Ⅲ describes prescribed methods of the research with reference to hypothetical models and analysis. Th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and data tools are properly described and methods to analyse data are explained in accordance with prescribed methods. From chapter Ⅳ to chapter Ⅵ, research results are analysed in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us of the children’s bilinguality, meta-linguistic ability and academic Korean reading proficiency. Chapter Ⅳ analyses the direct influence of children’s bilinguality in the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in reference to the total scores of children’s meta-linguistic ability level as well as sub-division of each meta-linguistic ability level (awareness on rhyme, vocabulary and sentence structure). As a result, children’s bilinguality and linguistic usage stimulation in the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bilingual proficiency and meta-linguistic ability. In terms of children’s bilingual proficiency, if the child is proficient with both Korean language and Mongolian language, the child have higher scores of meta-linguistic ability level than the other child with proficiency only in the Korean language, which means that the bilingual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meta-linguistic ability of children. In terms of children’s linguistic usage stimulation, where children have higher levels of usage stimulation of Korean language within the family, children also have a tendency to possess higher scores of meta-linguistic ability levels. There was a tendency of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bilinguality in the family, meta-linguistic ability and sub-divisions of meta-linguistic ability. The first sub-division of meta-linguistic ability, children’s rhyme awareness level has its close relationship with children’s linguistic usage stimulation in the family and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family.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measure, levels of usage stimulation of Korean language within the family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esence of the native language speakers and often leads to higher levels of meta-linguistic ability levels. Children’s vocabulary awareness level has strong ties with the linguistic usage stimulation within the family, as similar to meta-linguistic ability. Lastly, children’s awareness level on sentence structure depends on the age when children first learn the Korean language. In chapter V, results was analy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tatus of bilinguality in the family and children’s academic Korean reading proficiency. Based on the analysis, children’s bilingual proficiency in the family has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academic Korean reading proficiency. Chapter Ⅵ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eta-linguistic ability and academic Korean reading proficiency. There were high levels of reciprocal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children’s meta-linguistic ability and academic Korean reading proficiency,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sub-division of each meta-linguistic ability level such as levels of awareness on rhyme, vocabulary and sentence structure. These results were somewhat consistent with the outcomes from the studies where children’s bilinguality, linguistic usage stimulation, presence of the community and the age to start learning Korean language are all interrelated and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meta-linguistic ability as a result. As a conclusion, chapter Ⅶ summarized and analysed the outcome of the research, and presented the importance as well as the limitation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to produce a better research outcom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comes from the discovery that existing linguistic approaches focus on the limitation of the meta-linguistic level of the child from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and that in fact children possess higher potentials in the meta-linguistic ability than the usual. This research again brought importance of the bilingual language usage with children in the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the public policy making procedures in improving potential meta-linguistic ability of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