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8 Download: 0

키치(Kitsch)의 예술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

Title
키치(Kitsch)의 예술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rtistic Possibilities of Kitsch
Authors
박세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본 논문은 ‘나쁜 예술(Bad Art)’ 또는 ‘나쁜 취향(Bad taste)’이라고 여겨지는 키치(Kitsch)의 대중문화 속에서의 사회적인 기능을 바탕으로 키치의 예술적 활용의 예시를 통해서 키치의 긍정적 가치와 그 가능성에 대해서 재고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키치는 예술 교육을 받은 지식층으로부터 ‘나쁜 취미’ 또는 ‘나쁜 예술’이라 간주되는 것들을 가리키는 다양한 현대 용어들 중에 유일하게 국제적 지위를 획득한 단어이다. 이처럼 나쁜 예술로서 여겨지지만 끊임없이 생산 및 소비되는 이유는 키치가 대중들이 보편적으로 좋아하고 선호하는 대상을 ‘즉각적인 식별성’을 갖는 재현적, 관습적 규범들에 따라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키치의 개념은 최초의 대중적인 예술 운동이라고 말할 수 있는 근대 낭만주의 혁명이 취미의 규준을 완전히 상대화시킨 결과로서 나타난 것이다. 그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대중의 등장과 대중문화의 형성은 키치가 본격적으로 생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왜냐하면 그들은 지친 일상으로부터 이완과 오락의 욕구를 갖게 되어 고급예술 대신 이해하기 쉬운 키치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대중문화의 산물인 키치는 클레멘트 그린버그에 의해서 대용의 문화로 비판받는다. 반면에 해롤드 로젠버그는 키치를 대중문화의 시대에서 인간의 삶과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규정하고, 사회 속 키치의 기능에 주목하며 이를 옹호한다. 키치의 사회적 기능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것들은 공통적으로 키치의 부정적인 속성으로부터 기인한다. 자기기만적이며 무반성적 사고를 유도하는 키치의 속성은 대표적으로 키치를 부정적으로 보는 근거가 된다. 이와 달리 일각에서는 키치의 교육적 기능과 대중과의 소통이라는 측면에서 키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나타난 팝아트는 일상적 사물 및 대중문화의 산물을 고급예술로 제시한다. 이러한 팝아트의 대성공으로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이행이 이루어지면서 저급문화와 고급문화 사이 오랜 시간 굳건히 지켜오던 경계는 해체되고, 이와 더불어 키치는 예술의 새로운 아방가르드적 방법으로서 주목받게 된다. 수잔 손택은 이 같은 예술의 시대를 유미주의적인 새로운 감수성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캠프를 주창한다. 또한 본 논문은 키치의 예술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상호텍스트성에 주목하여, 예술적 키치가 상호텍스트성으로부터 비평적 거리를 확보하게 되고 감상자들에게 예술로서 읽히게 되는 지점을 살펴본다. 이처럼 포스트모더니즘에 들어서면서 키치의 예술화는 하나의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본 논문은 현대예술가 제프 쿤스, 무라카미 다카시, 피에르와 질의 작품 속에서 그들이 활용한 키치적인 요소들을 알아보고, 그들의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키치의 긍정적 가치에 통해 키치의 예술적 가능성을 재고해보고자 했다. 작품들을 통해 살펴 본 결과, 키치는 대중과 예술 간의 매개체로서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취향의 확장과 감상 영역의 확대 및 모더니즘 미술에서 얻지 못한 미적 즐거움과 감정적 유희를 느끼게 해준다. 이와 같은 키치의 예술적 활용이 가져다주는 긍정적 가치를 통해 키치의 예술적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This thesis aims to reconsider the positive values and potential of kitsch through examples of kitsch's artistic exploitation based on the social function of kitsch, which is considered as‘ bad art ’or 'bad taste'. Kitsch is the only word that has gained international status among the various contemporary terms, which refers to what is considered to be the " bad taste " or " bad art " from the intellectuals who received education of art. Considered to be such a bad art, the reason for continued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kitsch is that it's made of what the masses like and prefer and also created by representative and customary norms that are generally favored by the masses. Today's concept of kitsch is the result of the modern Romanticism revolution,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first major artistic movement, as a result of the relativization of taste's norm. Since then, the emergence of the mass and formation of mass culture resulting from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s made kitsch produced even more. It's because they chose kitsch which is easy to understand as an art alternative due to need for relaxation and recreation in the tired routine of their life. Kitsch, a product of mass culture, was criticized by Clement Greenberg as a substitute culture. On the other hand, Harold Rosenberg defined kitsch as being inseparable from human life in the era of mass culture, and noted the function of kitsch in society. This kitsch's social function comes in many forms, which are commonly attributed to kitsch's negative properties. Kitsch, which induces self-deceptive and non-reflective thinking, is typically basis for the underlying kitsch's bad assessment. On the other hand, some have praised positively in terms of kitsch's educational func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masses. In the middle of 20th century Pop art presents ordinary objects in our life and the products of mass culture as the advanced art. With the success of Pop art, there is shifting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and the boundaries of low culture and advanced culture are dismantled and kitsch had been noted at the same time as the new avant-garde method of art. Susan Sontag proposes a camp, claiming that this era of art should be understood as a aestheticism with a new sensibility. In addition, when the art is taking kitsch into their context with appropriation, the intertextuality represented by the art which can be read in the meaning of art. Thus, in postmodernism, making kitsch into art had become a new trend. This thesis aims to review the in kitsch elements of Jeff Koons, Murakami Takashi and Pierre et Gilles, and to rethink the positive values of kitsch through the its artistic potential. Through the works, kitsch enables to communicate between masses and art, and to expand of taste's ranges and also even feel aesthetic enjoyment and emotional amusement(play) which are not obtained from refined modernism art. The artistic potential of such kitsch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positive value of its artistic exploit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