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7 Download: 0

점·선·면을 통한 도시이미지 표현

Title
점·선·면을 통한 도시이미지 표현
Other Titles
Expressions of Urban Images using Dots, Lines, and Planes
Authors
도주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시간이 흐를수록 우리의 환경과 삶의 방식 그리고 그동안 축적된 미적 감성 등이 우리의 감각과 정신에 많은 영향을 준다. 우리는 고대부터 지금까지 우리 주변의 환경을 보면서 거기에서 영향을 받으며 조형적 이미지를 더해 왔다. 옛 조상들이 살았던 당시 산수가 가장 가깝고 친근한 자연으로 보았다면, 현대를 살아가는 본 연구자에게 자연은 태어나고 자란 도시가 된다. 즉, 오늘날 도시는 거대한 또 하나의 자연이 되었다. 자연이라고 할 수 있는 도시풍경을 사실적 재현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 숨어 있는 법칙들을 모색하기 시작하면서, 조형 해석에 의미를 갖게 되었다. 수묵화가 먹빛 하나로 모든 색깔을 대신함에 수묵으로써만 집중하여 작업하였다. 도시라는 3차원의 공간을 평면회화로 담아 다시 원래의 위치, 즉 조형의 근본으로 돌아가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자의 도시이미지는 평면조형 근본으로 되돌아가려는 회귀적 본능을 받아들이며 절제된 조형의 기본 요소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바탕으로 본 논문은 조형의 기본 요소를 통해 현대인이 갖고 있는 환경, 인공자연인 도시를 조형의 기본 요소인 점·선·면으로 풀어내기 위해 쓰였다. 따라서 동서양에서 말하고 있는 조형의 기본 화론인 석도의 일획론一劃論과 칸딘스키 예술론 중 점·선·면 이론을 선택하여 연구·고찰하는 것으로 이론적 배경을 삼았다. 석도의 일획론에 관하여 여러 가지의 해석이 분분하였기에 원문에 초점을 맞춰 해석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부족한 부분은 도올 김용옥의 석도화론을 참고하여 해석을 덧붙였다. 또한 추상미술의 선구자로서 예술가이자 사상가인 칸딘스키의 저서를 토대로 점과 선, 평면에 대한 회화 이론을 살펴보며, 두 이론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공통점을 받아들였다. 또한 조형의 기본 요소를 작가의 감정표현에 설명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동서양 작가들의 작품을 살펴보며, 그들의 작품을 통해 석도나 칸딘스키가 말하고 있는 조형의 근본으로 끝까지 남기고자 했던 회화의 구축방식, 그리고 그 속에 충분히 표현되고 있는 작가들의 개성이 눈에 보이는 그대로가 아닌 회화적 표현의 실현은 점·선·면의 집적의 결과임을 살펴보았다. 앞서 언급한 도시는 오늘날에는 생활공간으로서의 자연이 되고, 눈앞에 펼쳐진 도시의 인공적 풍경은 과거 화가들이 그러하였듯이 탐구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자신을 비춰볼 수 있는 거울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도시의 삶에 직결된 본 연구자는 도시를 관찰하며 삶을 바라본 바를 작품으로 표현하였고, 이러한 자연이 된 도시와 도시이미지를 토대로 작품에 점·선·면으로 형상화된 기로岐路에 대해 서술하였다. 예술가는 다양한 소재를 수많은 매체를 통해서 개성적으로 표출해내지만 그것은 결국 대상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내적 정서를 표출하는 것으로 귀결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자는 도시이미지를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조형의지로 대상을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인의 내면세계가 도시 풍경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표출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 언급하고 있는 일획과 점·선·면이 내포하고 있는 정신성은 조형의 출발이며 동시에 결과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연구되어진 조형의 근본요소를 가지고 다양하게 자기표현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결론으로 얻을 수 있었다.;Over time, our environments, lifestyles, and accumulated aesthetical feelings influence our senses and spirits. Since ancient times, we have been influenced by our environments, adding formative images to them. If our ancestors considered the landscape as the closest and most intimate nature, the researcher living in modern times considers the city as nature. That is, the city is one huge nature today. This study escaped from realistic reproduction of the urban landscape, started to seek all the laws hidden in nature, and gave meanings to formative interpretation. It worked on ink-and-wash paintings as they would use only inks instead of colors. It intended to return to the formative basis by expressing the three dimensional space of the city with plane paintings. That is, the urban images by the researcher accepted the instinct to return to the formative basis and expressed it with the basic and abstained formative elements. Based on this ground, through the basic formative elements, this study tried to express the modern people’s environments and the artificial urban nature using dots, lines, and planes. Its theoretical background was to analyze and consider ShiTao ’s Single-Stroke Theory, a basic formative painting theory, as well as dots, lines, and planes of Kandinsky’s Art Theory. As there were various interpretations regarding ShiTao ’s Single-Stroke Theory, Do-ol Kim Yong-ok’s ShiTao Painting Theory was specifically used to add some comments. In addition, based on books written by Kandinsky, the pioneer of abstract art, artist, and thinker, his painting theory about dots, lines, and planes was examined to grasp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ories, and then the common aspects were accepted.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western and eastern artists’ works where the basic formative elements could properly express the artists’ emotion, and through the works, it analyzed St’s and Kandinsky’s ways of establishment of paintings to abide by the formative basis, and found that their personalities resulted in invisible realization of pictorial expressions using dots, lines, and planes. The city is nature as the living space, and the urban artificial landscape can be the object of exploration and the mirror of reflection as it was for painters of the past. Thus, the researcher directly related to urban life explored the city, expressed it in works examining people’s lifestyles, and described turning points embodied by dots, lines, and planes based on the urban nature and urban images. Artists express various materials using lots of mediums in their own ways, which at last leads to self-expression and revelation of internal emotion. In this sense, the researcher expressed and schematized urban images based on individual art will. In conclusion,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how the researcher’s internal world could be expressed through the urban landscape, found that the spirituality of the single stroke, dots, lines, and planes could b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formative art at the same time, and concluded that it should be possible to perform self-expression with the elements of the formative basis in various wa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