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불안한 소설’의 풍경

Title
‘불안한 소설’의 풍경
Other Titles
The Landscape of an Anxiety Novel : Text reconstructed through visual medium
Authors
오자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덕현
Abstract
This paper elucidates the methodology employed in visual representations of a self-wrote novel The Second and the Fourth Thursdays. It aims to provide an explanation, in post-structuralist theories, on how the novel and visual artworks (de)construct and (re)contextualize each another. Recognizing the vacillation between a ‘signifier’ and a ‘signified’, the paper focuses on two sides of the artworks concerned: the subject matter of the novel and formal aspects of visual media. The novel illustrates a sense of mnemonic instability and incredibility I have felt in daily conversations. The sense stems from a psychological premise, known as ‘self-deception’ – that people are prone to manipulate their memories conducive to themselves. Based on academic analyses, the novel demonstrates how an imaginary self-deception aptly hides one’s true minds, eventually hindering a trustworthy understanding of the person. The communicational anxiety illustrated in the novel is either constructed or deconstructed by its visual representations – namely painting, photography, and moving images. In these inter-media experimentations, I situate myself as both author and interpreter(Orhan Pamuk), and vary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narrative and images delay the signification. For instance, one of my photographs, seemingly documenting certain scenes depicted in the novel, provides a new image irrelevant to the literature, which in turn adds a new context to it. Such unhinging usages of media and contents in the visual artworks are to be compared with some precedents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arts, as well. Overall, The Second and the Fourth Thursdays and its visual representations function as both the visual-textual metaphors and re-interpretations to the dubiousness of memories, which thereafter are embraced as expanded contexts of themselves. The literary and visual artworks would also invite other readers to partake in their unending contextual expansions.;본 연구는 불안을 소재로 본인이 쓴 소설 <둘째 주, 넷째 주 목요일>과 이 소설의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여러 시각매체를 활용하여 만든 미술작품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인의 소설을 여러 가지 시각매체로 재현하거나 내러티브를 해체하고 또 재맥락화 하는 과정의 작업을 후기구조주의의 문학 이론, 그리고 이런 문학이론의 영향을 받은 현대미술 등을 통하여 본인의 미술 작품들의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억을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조작하는 경향이 있다. 일상적인 대화 속에서 상대방의 진짜 속내를 알아내기 위해 예리하게 반응한다는 것은 소통 불가에 대한 불안이 숨어있기 때문이다. 증거 없는 기억은 왜곡되기 마련이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제가 생겼을 때 너무나 쉽게 자신에게 유리하게 기억을 조작한다. 본인은 이렇게 본인에게 유리하게 조작된 기억 때문에 타인과의 소통의 어려움을 겪을까 불안했고 이런 불안의 이유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소설을 쓰고 이를 사진, 회화, 영상 등 다양한 시각 매체로 이야기를 뒷받침하는 역할을 하는 이미지와 반대로 이야기의 어느 부분인지 알 수 없는 이미지들을 등장시켜 이야기를 구축함과 동시에 허물어버리는 작업을 하였다. 본 논문은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가 언어를 기표와 기의로 나누어 설명하듯이 본인의 작업 중 소설의 주제적인 측면과 시각매체를 활용한 형식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에 맞춰 실제 작업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 분석한다. 먼저 소설의 주제적인 측면은 철학가, 심리학자가 분석한 불안과 기억을 왜곡시키는 자기기만을 분석하는 것이다. 불안은 대상이 정해져 있는 두려움과 구분되게 인간의 정신적인 활동을 통해 다양한 가능성을 상상하기 때문이라는 철학적인 주장과 타자와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배척당할까 두려워하고 타자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망 때문이라는 심리학적 분석이 있다. 이러한 여러 불안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본인이 갖고 있는 불안이 여러 가지 모순되는 믿음 중 믿고 싶은 것만을 믿는 능력인 자기기만에서 시작함을 깨닫고 기억의 왜곡과 소통의 불안정성에 대한 소설을 쓰게 됐다. 작업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불안과 자기기만을 주제로 쓴 소설을 미술의 영역으로 끌어와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후기구조주의의 영향으로 소설가이면서 소설과 소설가에 대해 분석한 오르한 파묵(Orhan pamuk)의 소설론을 따랐다. 즉 본인은 저자임과 동시에 새로운 해석을 해내는 독자의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됐다. 자기기만과 타인과의 소통의 불완전성에 대한 불안을 주제로 직접 쓴 소설은 여러 시각매체를 이용하여 이미지와 내러티브를 구축하거나 해체한다. 이런 과정은 열린 형태의 텍스트인 후기 구조주의의 이론을 수용하여 사진-회화, 사진-영화, 사진-텍스트 등의 상호매체성을 이용하여 작업한 다른 작가들과 본인의 작업을 비교하여 작품 제작 과정의 의미를 살펴본다. 본인의 작품은 소설에서 시작하여 소설의 내러티브를 쉽게 상상하도록 도와주는 사진의 증거적 성격을 통해 소설 속 단어들을 시각화하며 소설을 읽던 것을 이미지로 확인하는 기쁨을 제공했다가, 소설의 내용과는 상관없이 등장하는 새로운 맥락의 이미지들로 본래의 소설을 해체하고 새로운 텍스트의 가능성을 등장시킨다. 이는 본인이 의심하는 기억과 소통에 대한 형식적 은유임과 동시에 불완전성의 소설을 통해 끊임없이 확장하는 텍스트를 탐구한다. 타인과의 소통의 불완전성과 타인의 기억을 포함, 자신의 기억까지 인간의 기억의 불확실성을 독자가 변형하고 새롭게 해석하는 시각-텍스트로 만들어내려는 본인의 시도는 적극적인 독자 혹은 관람객을 통해 정체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가는 시각-텍스트가 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